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농업현장정보

농업현장정보

본문 시작
제목
벼 키다리병 예방에 ‘온탕 소독’ 효과 커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8-03-26
조회수
771
연도
2018
내용

- 농촌진흥청, 벼 키다리병 예방 위한 올바른 볍씨 소독 방법 소개 -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벼 키다리병 예방을 위한 올바른 볍씨 소독 방법을 소개했다.

벼 키다리병은 이삭이 팰 때 감염된 종자가 1차적인 전염원이 되는 종자전염병으로, 못자리부터 본답 초기와 중기에 가장 많이 발생해 매년 벼 농가에 피해를 입히고 있다.

가장 효과적인 방제방법인 볍씨 소독에 대한 기술 개발과 교육, 홍보로 벼 키다리병 발생은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지난해 못자리에서는 전년대비 43%, 본답에서는 19.7%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못자리 발생현황 : (‘15) 5.6% → (‘16) 4.6 → (‘17) 6.6

* 본답 발병필지율 : (’15) 23.9% → (’16) 12.2 → (’17) 14.6

볍씨 소독을 할 때 먼저 소금물가리기를 통해 쭉정이 벼를 골라내면 소독 효과를 20~30% 높일 수 있다.

종자의 까락(까끄라기)을 없앤 뒤 메벼는 물 20L당 소금 4.2kg, 찰벼는 물 20L당 소금 1.3kg을 녹인 다음 볍씨를 담근다. 물에 뜬 볍씨는 골라내고 가라앉은 볍씨는 깨끗한 물에 2~3회 씻어 말린다.

소금물가리기를 마친 볍씨는 적용 약제별로 희석배수에 맞게 희석한 다음 약제 20L당 볍씨 10kg을 30℃의 온도로 맞춰 48시간 담가두면 된다.

병 발생이 심했던 지역에서 생산한 벼를 종자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우선 30℃ 물에 침투이행성1)약제를 섞고 종자를 넣어 48시간 담갔다가 싹이 트기 시작할 때 다른 약제로 바꿔 24시간 담가두거나 습분의2)처리 뒤 바로 파종하면 방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해마다 같은 계통의 약제를 사용하면 내성3)이 생길 수 있으므로 2~3년 주기로 약제를 바꿔주는 것이 좋다. 볍씨소독용 살균제는 총 24품목이 등록돼 있다.

온탕 소독은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벼 재배 농가뿐만 아니라 일반 재배 농가에서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볍씨 소독 방법이다.

60℃의 물 300L당 볍씨 30kg을 10분 동안 담갔다가 꺼내어 바로 식혀주는 것으로, 물과 종자의 양 등 소독조건만 제대로 지킨다면 90% 이상의 방제 효과를 볼 수 있다.

특히 약제 소독을 하기 전 온탕 소독을 하면 방제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일부 약제의 경우, 온탕 소독 후 약제 소독을 했을 때 95% 이상의 방제 효과가 나타났다.

단, 온탕 소독 시 고온에 민감한 ‘고운벼’, ‘삼광벼’, ‘운광벼’, ‘일미벼’, ‘풍미벼’, ‘동진1호’, ‘서안1호’, ‘신운봉1호’ 등은 위의 소독조건을 지키지 않으면 발아율4)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벼 키다리병 방제는 파종 전 철저한 종자 소독으로 대부분 예방할 수 있으나 무엇보다 병에 걸리지 않은 건전한 종자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벼꽃이 피는 시기에 병원균 포자가 바람에 날려 주변의 건전한 벼까지 감염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인근 농가와 공동방제를 해야 한다.

볍씨 소독 이후에는 적정 파종량을 지키고 고온육묘를 하지 않는 등 육묘관리에도 신경 써야 한다.

농촌진흥청 작물보호과 홍성기 농업연구관은 “지난해 본답에서 벼 키다리병 발생이 다소 증가해 병원균의 종자감염률이 높을 것으로 되므로 볍씨 소독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라며, “특히 발아기계를 사용할 때 종자를 과도하게 겹쳐 쌓으면 소독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물과 종자의 양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
1) 침투이행성: 약제를 작물체의 국소에 사용해도 전신적으로 효과를 나타내는 성질
2) 습분의: 젖은 종자에 가루 농약이 고루 묻도록 하는 방법
3) 내성: 약제의 반복 사용에 의해 약효가 저하되는 현상
4) 발아율: 파종된 종자수에 대한 발아종자수의 비율(%)

[문의] 농촌진흥청 작물보호과 최효원 063-238-3278, 논이용작물과 박동수 055-350-1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