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기술원 소개

농업기술 혁신으로 잘사는 강원농업 실현을 위한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을 소개합니다.

미래변화 대응 선도기술 개발

주요추진계획

본문 시작

1. 스마트농업 육성

1-1. 데이터기반 스마트농업 촉진
  • 농업 빅데이터 수집체계 고도화 및 현장활용도 제고
    • 대상농가 : (’24) 54농가/년 → (’25) 56 → (’26) 60
      ※ ' ’25 사업비 : 691백만 원(국비 297, 도비 394)
현황 및 필요성
  • 농업인구 감소 등 농업여건 변화 대응 스마트농업 수요 증가
  • 작물 파종에서 수확까지 생육 전주기 데이터 고도화로 과학영농 실현
2025 추진계획
  • 농업 빅데이터 수집 및 관리
    • 데이터 수집 : 파프리카 등 6작목, 10시군, 56농가
    • 데이터 조사원 육성(12명) : 역량교육(40h), 데이터 수집·분석 등
  • ICT통합시스템 운영 및 생산성 향상 모델 개발
    • 시스템 운영 및 데이터 품질관리 : 7작목 148농가, 가공·보정 등
    • 생산성 향상 모델 : 2작목(파프리카·토마토), 환경+비용+소득 분석
  • 스마트팜 현장지원센터 운영강화
    • 시스템 현장점검 및 사후관리 : 3시군 23개소
    • 재배기술 지원 : 현장 컨설팅(3작목 80회), 교육(3회)
기대효과
  • 스마트농업 데이터 관리 체계구축 및 현장 활용도 향상
  • 데이터 기반 현장 기술지원을 통한 농가 경영성과 제고
1-2. 스마트농업 모델 개발·확산
  • 스마트팜 모델 개발로 농업현장 핵심기술 경쟁력 제고
    • 기술개발, 현장시범 : (’24) 4건/년 → (’25) 5 → (’26) 5
      ※ ’25 사업비 : 1,118백만 원(국비 153, 도비 508, 시군비 377, 기타 80)
현황 및 필요성
  • 스마트농업 모델 현장 검증으로 신속 보급 및 농가 인식 제고
  • ICT 융복합 데이터 수집·분석 고도화를 위한 전문가 육성 필요
2025 추진계획
  • 스마트농업 모델 개발
    • 평면수형 환경제어시설 효과 검정 : 사과(다목적망), 복숭아(비가림)
      ※ 과수 다축형 평면수형 시범 : 3시군(강릉․삼척․양구), 2.1㏊
    • 친환경 수경재배 실증센터 : 순환식 수경재배 실증(파프리카)․교육
  • 스마트농업 전문인력 양성
    • 스마트농업 현장확산 기반 구축 : 환경제어, 현장실증
      ․테스트베드 교육장(15개소) : 시설 운영(14) 및 고도화, 신축(1)
      ․데이터기반 모니터링(4) : 환경측정‧제어(차광‧차열‧환기 등)
    • 맞춤형 교육 : 집합‧온라인(농업인+담당자), 현장 컨설팅 등
기대효과
  • 스마트농업 모델 확산으로 우리도 농산업 경쟁력 강화
  • 지속적인 전문교육 강화로 스마트팜 전문가 양성

2. 기후변화 선제적 대응

2-1. 고랭지 농업
  • 고랭지배추 안정 생산기술 및 대체작목 개발
    • 피해경감 및 대응기술 개발 : (’24) 14건/년 → (’25) 15 → (’26) 16
      ※ ’25 사업비 : 320백만 원(국비 25, 도비 295)
현황 및 필요성
  • 이상기후 및 돌발 병해충 확산으로 고랭지배추 면적 급감
  • 고랭지작물 안정 생산기술 개발 및 대체작목 육성 보급
2025 추진계획
  • 고랭지배추 안정생산 체계 구축
    • 지력증진 기술(녹비 등), 내병성 평가(18품종), 정식기계 실증 등
    • 주요 병해 발생양상 조사 및 반쪽시들음병 방제 약제 선발
  • 고랭지딸기 육묘체계 구축
    • 무병종묘 생산·보급 : 묘 분양(5만주), 삽수 저장방법(6처리)
    • 육묘기술 현장실증(6개소) 및 종합컨설팅(삽목기술 등)
  • 고랭지 대체작목 개발
    • 잡곡 적응성 평가 : 3작목(콩‧팥‧수수), 파종시기(3처리)
    • 옥수수 채종 가능성 평가 : 미백2호, 수량성 검정 등
기대효과
  • 고랭지작물 안정 생산체계 확립으로 농가경영 안정화 촉진
  • 고랭지 적합 대체작목 개발 보급으로 농가 신소득원 창출
2-2. 병해충 적기 예찰 · 방제
  • 병해충 확산 방지 및 신속방제 위한 기관별 협업체계 강화
    • (시군) 예찰조사・초동조치→(도) 진단・방제명령→(도・시군) 공적방제 이행
      ※ ’25 사업비 : 9,919백만 원(국비 4,730, 도비 467, 시군비 4,550, 기타 172)
현황 및 필요성
  • 이상기후, 국제교류 증가에 따른 병해충 유입 및 확산 추세
  • 검역병해충 신속진단을 위한 식물병해충 정밀검사기관 지정 필요
2025 추진계획
  • 과수세균병 확산 대응
    • 사전대응 : 전염원 제거, 표준운영절차 수립·모의훈련, 정밀예찰(6회)
    • 예방약제 : 전시군(1,782㏊), 적기방제 3회(개화전 1, 개화기 2)
    • 신속진단 : 정밀검사기관 지정(2월), 진단‧방제명령(3월∼)
  • 검역해충 공적방제
    • 토마토뿔나방(전시군) : 월동조사(1‧2월), 분포조사(3~12월), 방제(1,060㏊)
    • 씨스트선충류(5시군) : 재배시기 및 발생 밀도별 맞춤방제(456㏊)
  • 병해충 신속예찰 및 방제
    • 예찰 · 방제단 운영(19개소) : 신속 예찰‧방제, 전문인력 역량 강화
    • 병해충 예찰‧관찰포 운영(234개소) → 발생정보 적기 제공(10회/년)
    • 돌발해충 : 발생조사(2회/월동난‧성충기), 협업방제(2회/약‧성충기)
    • 이상기상 대응 : 과수 냉해 예방(요소‧붕산), 기상정보 기반 방제(화상병)
기대효과
  • 정밀예찰 등 방제체계 일원화로 병해충 확산 최소화
  • 일반‧검역 병해충 신속 대응으로 농산물 안정생산 제고
2-3. 농업환경 다변화
  • 농업환경 모니터링 및 주요 병해충 신속대응 체계 구축
    • 농가현장 서비스 달성률 : (’24) 106%/년 → (’25) 107 → (’26) 110
      ※ ’25 사업비 : 853백만 원(국비 344, 도비 509)
현황 및 필요성
  • 농업환경 변화 지속적 모니터링 및 현장 지원 서비스 강화
  • 기후변화와 작목 다양화로 돌발병해충 발생 및 피해 증가
2025 추진계획
  • 농업환경 모니터링 및 현장 지원
    • 토양 · 농업용수 변동평가 : 밭토양(226지점), 농업용수(54)
    • 민원 분석 지원 : 퇴 · 액비, 유기성 비료, 친환경 · GAP 인증
  • 주요 병해충 방제기술
    • 딸기 육묘시 병 방제 : 탄저병 등 3종(약제‧처리시기 등)
    • 아스파라거스 해충 방제 : 총채벌레 등 2종(저항성 검정 등)
      ※ 농약직권등록시험 : 아스파라거스잎벌레, 약제 5종, 춘천 등 2지역
    • 옥수수 스마트방제기 효과 검증 : 병해충 방제가, 경제성 등
  • 농가현장 민원 신속 대응
    • 병해충 신속진단 기술 : 딸기(시들음병 등), 옥수수(줄기썩음병)
    • 농작물 이상증상 대응 : 원인 구명 및 현장 컨설팅
기대효과
  • 농업현장 애로기술 해결 통한 농가 경영안정 도모
  • 병해충 신속 진단 및 방제기술 개발로 농작물 피해 최소화
2-4. 탄소배출 저감
  • 농경지 지속가능 저탄소 농업기술 개발 및 실용화 확대
    • 탄소중립 농업기술 개발 : (’24) 4건/년 → (’25) 5 → (’26) 5
      ※ ’25 사업비 : 2,235백만 원(국비 794, 도비 138, 시군비 1,263, 기타 40)
현황 및 필요성
  • 바이오차 활용 확대를 위한 작물별 실용화 기술개발 요구
  •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농경지 온실가스 감축기술 활용 필요
2025 추진계획
  • 지속가능 농업환경 기술 실용화
    • 산업곤충 부산물 농업활용 평가 : 갈색거저리 분변토 비료효과(배추 등)
    • 바이오차 시용효과 분석 : 4작목(뿌리작물 2, 엽채류 2)
    • 토양개량제 효과 분석 : 태백 등 8시군, 미생물제제 등 3종
  • 저탄소 농업기술 확산
    • 농작물 환경개선(7개소) : 토양개량(바이오차), 천적활용 방제 등
    • 논 온실가스 감축(5) : 물관리(중간물떼기), 질소시비량 감소
  • 영농부산물 안전처리 지원
    • 파쇄지원단(17개소) : 영농부산물 수거‧파쇄, 사전 안전교육 등
      ※ 미세먼지 계절관리제(12~3월) 및 산불조심기간(2~5월) 연계 중점 운영
기대효과
  • 지속가능 농업기술 실용화 촉진으로 순환농업 및 탄소저감 실현
  • 영농부산물 안전처리 체계 마련으로 산불방지 및 미세먼지 저감

3. 바이오 소재 산업화

  • 특산작목 및 유용미생물 활용 바이오 소재산업 활성화
    • 소재개발 및 산업화 : (’24) 5건/년 → (’25) 5 → (’26) 7
      ※ ’25 사업비 : 589백만 원(국비 198, 도비 391)
현황 및 필요성
  • 농업의 미래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농생명자원 활용 확대 필요
  • 농업 생산성 향상 및 신소재 개발을 위한 그린바이오 산업 활성화
2025 추진계획
  • 특산작목 기능성 소재 개발
    • 시래기 무 : 뿌리 추출물 항알러지 효능 검정(세포독성·동물실험)
    • 토 종 다 래 : 숙기별 소화효소 및 줄기 항염 활성 검정
    • 자색옥수수 : 맞춤형 기능성 식품, 화장품용 점증제 등
    • 향 료 자 원 : 유망자원 수집·증식, 품질관리(기능성분·이력관리 등)
  • 유용미생물 활용 기술
    • 실용화 기술 : 길항균(3종) 활력 증진용 유기질퇴비 선발
    • 시군배양센터 지원(15개소) : 종균보급, 전문교육, 품질관리(2회/년)
    • 유용미생물지원센터 신축(’25~’27) : 629㎡, 38억, 기본·실시설계
기대효과
  • 농생명자원 소재 활용 산업화 적용을 위한 원천기술 개발
  • 신소재 발굴 및 부가가치 제고 통한 지속가능 농업 실현
최종수정일 :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