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기술원 소개

농업기술 혁신으로 잘사는 강원농업 실현을 위한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을 소개합니다.

현장 중심의 맞춤형 기술 확산

주요추진계획

본문 시작

1. 농업 신기술 조기 확산

1-1. 식량작물
  • 식량 자급률 향상 및 신기술 확산 지원
    • 현장기술 : (’24) 23개소 → (’25) 43 → (’26) 60
      ※ ’25 사업비 : 1,628백만 원(국비 744, 도비 34, 시군비 822, 기타 28)
현황 및 필요성
  • 지역 적합 고품질 신품종 육성·보급으로 외래품종 대체 요구
  • 기후변화 등 영농애로 해결을 위한 재배안정 기술 보급 필요
2025 추진계획
  • 신육성 품종 확산
    • 벼(4개소) : 국내육성(해들·고향찰벼 등) 전문단지, 채종포 조성
    • 잡곡(1) : 생산단지 조성(다수성·기계화 적합), 파종·수확기 등
    • 콩(2) : ‘대왕2호’ 보급, 비교전시포 운영, 신품종 홍보
    • 감자(2) : ‘풍농·자황’ 등, 재배기술 교육 및 현장컨설팅
  • 안정생산 기술보급
    • 논벼(3개소) : 내재해성 품종(내병성·수발아 등), 드문모 심기 등
    • 밭작물 기계화(6) : 경운·파종·시비 동시작업, 폐비닐 수거장치
    • 자동화 기술(2) : 관수·관비 시설, 무인예찰 트랩(해충 포획량 판별)
기대효과
  • 신품종 · 신기술 확산으로 생산 효율성 및 재배 안정성 증대
  • 현장애로 해결로 농작물 피해 최소화 및 안정적 생산 유지
1-2. 원예 · 축산 안정생산
  • 비용 절감 및 기상재해 대응 기술 적용으로 농축산물 생산성 향상
    • 현장기술 : (’24) 26개소 → (’25) 58 → (’26) 90
      ※ ’25 사업비 : 4,074백만 원(국비 1,797, 도비 118, 시군비 2,029, 기타 130)
현황 및 필요성
  • 농촌 고령화 및 일손 부족에 따른 경영비 절감 기술 확산 시급
  • 기상재해 대응 농축산물 안정생산 환경조성을 위한 신기술 투입
2025 추진계획
  • 경영비절감
    • 국내품종 보급(8개소) : 과수(사과‧복숭아), 과채류(딸기), 화훼(국화)
    • 노동력 절감(4) : 자동 관수, 작업자 추종 운반로봇, 무인방제
    • 자원 재순환(4) : 수경재배 양액 재활용(미세버블 및 여과 살균)
  • 이상기상 대응
    • 시설(9개소) : 고온 경감(순환팬, 차광‧차열망, 포그냉방 등)
    • 노지(7) : 저온·우박 등 피해 저감(햇빛차단망, 온풍기 등)
  • 고품질 축산물
    • 가축사양(5개소) : 스마트 영상진단 기반 정밀사양 관리(한우‧돼지)
    • 생산기술 향상(10) : 영양관리(TMR, 맞춤형 블록‧보조사료 등)
    • 축산 환경개선(7) : 온·습도 조절, 화재 예방(원적외선 보온 등)
기대효과
  • 기후변화 대응 및 생력화 기술 현장적용으로 지속가능 농업 육성
  • ICT 적용 가축사양·축사환경 관리로 환경친화형 신기술 조기 확산

2. 농업과학기술 서비스 기반 확대

  • 현장 기술수요에 부응하는 과학영농 시설·장비 등 기반확충
    • 기반시설‧장비 : (’24) 33개소 → (’25) 60 → (’26) 85
      ※ ’25 사업비 : 11,009백만원(국비 3,320, 도비 2,927, 시군비 4,762)
현황 및 필요성
  • 지역 지도기반 시설·장비 최신화로 대농업인 서비스 향상
  • 퇴비부숙도, 토양·농약분석 등 과학영농서비스 수요 증가
2025 추진계획
  • 첨단과학 영농기반 구축 · 운영
    • 기반시설(5개소) : 신품종 전시포, 친환경농업관리센터, 교육장 등
    • 지도장비(22) : 토양·미생물 종합분석, 농산물 가공·교육용 등
    • 종합검정실 운영(18) : 토양 화학성·중금속 분석, 시비처방 교육
  • 농촌진흥공무원 역량 강화
    • 직무전문화 : 지도사업 온라인 플랫폼, 현장 교육(과수·병해충 등)
    • 조직활성화 : 신규지도사 역량강화, 전문지도연구회 운영(38개회)
  • 농업기계 현장 전문인력 양성
    • 장비 활용, 취약계층 중심 순회기술교육, 신기종 현장실습
    • 농촌현장 사고예방 및 안전이용 기술지원 : 홍보·캠페인 등
기대효과
  • 과학영농 기반 현대화로 기술수준 향상, 신뢰도 제고
  • 현장중심 기술지원 확대로 영농현장 애로사항 신속한 해소

3. 농식품 가공 산업화 기반 구축

3-1. 소비트렌드 맞춤형 가공 기술 개발
  • 지역 농특산물 활용 가공기술 개발 및 실용화
    • 기술개발 및 실용화 : (’24) 16건/년 → (’25) 17 → (’26) 18
      ※ ’25 사업비 : 478백만 원(국비 117, 도비 361)
현황 및 필요성
  • 지속 가능 먹거리 생산체계 구축을 위한 융복합 푸드테크 부상
  • 건강에 대한 소비자 인식 변화로 저칼로리·저당류 상품 선호
2025 추진계획
  • 소비자 맞춤형 농식품 개발
    • 소비선호 분석(파프리카 등 2작목), 상품개발(콩·옥수수 간편식)
    • 고령친화식품 : 소재화(통곡물, 과일 등), 가공품(저당 간식류)
    • 사업화(5종) : 옥수수(음료 등 2종), 감자, 고추냉이, 돌배
  • 발효식품용 종균 생산 기반 구축
    • 자원화 : DB구축(100점), 유산균 기능성 검정(250점), 특허출원(1종)
    • 실용화 : 종균 보급(3종), 기술이전 및 현장 컨설팅(2개소)
  • 농업부산물 업사이클링 자원화
    • 소재기반 구축 : 가공적성 탐색(15항목), 식품·산업 소재화(2종)
    • 자원화 모델 개발 : 단계별(수거~유통) 발생 및 활용현황 분석
기대효과
  • 농식품 부산물 자원화로 부가가치 제고 및 선순환 체계 구축
  • 소비자 트렌드 반영 맞춤형 상품개발로 시장 진입 활성화
3-2. 농산물 가공 활성화
  • 지역특화작목 가공 상품화로 농가소득 향상
    • 품목제조 등록 : (’24) 185건/년 → (’25) 190 → (’26) 200
      ※ ’25 사업비 : 1,994백만 원(국비 660, 도비 329, 시군비 940, 기타 65)
현황 및 필요성
  • 농산물가공센터를 농식품 가공‧창업 성장지원 거점 기지화
  • 소비자 맞춤형 상품개발로 시장경쟁력 강화 필요
2025 추진계획
  • 가공센터 운영 활성화
    • 시설고도화(1개소) : 상품개발 전용공간 조성, 운영기록 데이터화
    • 가공확대(4) : 신규 창업(자색옥수수 등), 노후시설‧장비 개선(2)
    • 품질관리(6) : 공정개선, 레시피 표준화, 창업대학(2~5월), 컨설팅
  • 농산물가공 신기술 보급
    • 특산자원 융복합(1개소) : 상품기획(3품목), 기반구축(4개소), 협의체
    • 가공 신기술(6) : 무가당 와인‧소핵과 상품화(차류‧제빵) 등
  • 가공상품 소비시장 확대
    • 강원댁 브랜드 확산 : 전문점‧간편식 홍보물(7종), 서비스 교육
    • 유통확대 : 온·오프라인 입점, 수도권 특판 행사, 품평회 등
    • 협업강화 : 상품기획, 포장기술‧디자인, 판로개척 등
기대효과
  • 차별화된 상품개발로 농산물 소비 촉진 및 부가가치 창출
최종수정일 :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