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역농산물 가공 산업화
1-1. 수요자 맞춤형 가공상품 개발
- 지역 농특산물 활용 가공상품 개발 및 실용화
- 상품개발 및 실용화 : (’23) 15건/년 → (’24) 16 → (’26) 18
※ ’24 사업비 : 369백만 원(국비 95, 도비 274)
- 상품개발 및 실용화 : (’23) 15건/년 → (’24) 16 → (’26) 18
현황 및 필요성
- 다양한 유통체인 맞춤형 특산 가공품으로 소비영역 확장 필요
- 소비자 기호에 맞춘 가공식품 개발로 농특산물 부가가치 창출
2024 추진계획
- 소비성향 대응 가공식품 개발
- 지역농산물 소비자 분석 및 상품기획 : 옥수수 등 2작목
- 상품개발 : 다래(건조다래, 착즙음료), 팥(디저트, 다류)
- 사 업 화 : 감자(옹심이파스타), 참당귀(건나물, 침출차)
- 기능성 증진 발효 가공기술 개발
- 발효미생물 DB구축(150종), 종균선발(조미용 1종, 특허출원)
- 선발 종균 실용화 : 종균보급(2개소), 현장컨설팅(5개소)
- 현장애로 농식품 가공기술 지원
- 식품부산물 활용 상품화 : 공정확립(효소‧건조처리), 시제품(스낵바 등)
- 현장 사업화 연구 : 잡곡(그레놀라, 전병), 오미자(스포츠음료)
기대효과
- 소비자의 기호를 반영한 가공 상품화로 시장중심 제품 개발
- 가공 상품 판매영역 확대(지역 축제, 고향사랑 기부제 답례품 등)
1-2.가공·창업 활성화 지원
- 농특산물 가공·창업 기반 구축 및 상품화로 농가소득 창출
- 농업인 가공창업 : (’23)108개소 → (’24)111 → (’26)123
※ ’24 사업비 : 3,040백만 원(국비 1,105, 도비 382, 시군비 1,463, 기타 90)
- 농업인 가공창업 : (’23)108개소 → (’24)111 → (’26)123
현황 및 필요성
- 상품개발, 가공창업, 마케팅 등 원스톱 시스템구축
- 지역 특화작목 기반 가공기술 개발, 표준화 및 상품화 체계 확립
2024 추진계획
- 농산물 가공 산업화 촉진
- 가공센터 내실화(11개소) : 시설·장비(1), 공정표준화(10),운영기록 데이터화
- 상품개발 기반(1) : 전용시설 설치(115㎡), 장비구축, 디자인 개발 등
- 가공확대(3) : 소규모창업(2), 가공 플랜트, 맞춤형컨설팅 등
- 성장지원 : 원스톱 창업 프로그램, 품평회, 홍보·마케팅 교육 등
- 지역대표 특화작목 상품화
- 기반조성 : 생산‧판매장 구축(6개소), 협의체 구성, 컨설팅
- 상품기획 : 제품생산(도라지막걸리 등 11종), 브랜드 구축, 포장디자인
- 신기술 현장확산 및 품질향상
- 가공 신기술(5개소) : 기능성 식초, 소핵과 가공품, 가공 체험키트
- 품질향상(4) : 시설장비 개선, HACCP 인증, 품질관리 기술
기대효과
- 소비 지향형 상품개발 및 품질향상으로 시장 경쟁력 강화
- 특화작목 활용 차별화된 상품개발로 부가가치 향상
2. 농업과학기술 서비스 확대
2-1. 친환경 영농기술 지원
- 과학영농기술을 통한 친환경 농업기술 실천농가 확대
- 실천농가 비율 : (’23) 16.9% → (’24) 17.2 → (’26) 17.9
※ ’24 사업비 : 1,673백만 원(국비 736, 도비 36, 시군비 901)
- 실천농가 비율 : (’23) 16.9% → (’24) 17.2 → (’26) 17.9
현황 및 필요성
- 지속가능한 농업 실현과 환경 보전을 통한 공익적 기능 확대
- 화학자재 사용 절감 및 안전농산물 생산에 대한 사회적 요구 증가
2024 추진계획
- 종합검정실 운영
- 토양환경 개선(물리·화학성, 중금속), GAP・친환경 인증 등 지원
- 공익직불제 화학비료 사용기준 준수 지원, 시비처방서 발급
- 농산물 안전분석실
- 농약 안전사용 지원 : 잔류농약(463성분) 및 농업용수(14) 분석
- PLS 대응 시장 출하 전 컨설팅, 농약안전사용 교육 등
- 친환경 농업실천
- 가축분뇨 분석(18개소) : 퇴·액비 부숙도 및 성분 검사, 처방서 발급
- 신기술보급(9) : 부숙도 분석기반 확충, 화학 농자재 절감 지원
- 미생물 배양센터 : 농·축산용 유용미생물 생산·공급
기대효과
- 화학비료·농약 사용 절감으로 토양환경 보전 및 안전농산물 생산
- 친환경 농업기술 실천 확대를 통한 농업의 지속가능성 확보
2-2. 과학영농 서비스기반 구축
- 기술개발·보급기반 및 적기 영농지원 체계구축
- 기반시설·장비 : (’24) 16개소 → (’26) 45 * (’19~’23) 161개소
※ ’24 사업비 : 11,268백만 원(국비 4,005, 도비 1,679, 시군비 5,584)
- 기반시설·장비 : (’24) 16개소 → (’26) 45 * (’19~’23) 161개소
현황 및 필요성
- 지역농업 여건에 맞는 기술개발 촉진과 확산기반 확대 필요
- 현장요구 대응 및 안정적 진흥사업 추진 위한 역량강화 확대
2024 추진계획
- 첨단 과학영농 기반 조성
- 기반시설(7개소) : 병해충 예찰‧진단실, 실증시험포, 교육관 등
- 지도장비(9) : 미생물 배양, 가공센터, 농업기계 교육장비 등
- 농업기계 현장전문 인력 양성
- 원격 화상수리 : 상담 및 현장지원, 자가 수리능력 향상
- 현장 전문가 : 신기종 농업기계 및 현장실무, 순회 기술교육
- 농촌진흥공무원 역량강화
- 직무전문가 : ASTIS 활용, 현장문제 해결(과수, 가공기술 등)
- 조직활성화 : 조직력 강화, 리더십‧현장소통 강화 등
기대효과
- 맞춤형 과학영농기술 보급으로 지도사업 신뢰도 제고
- 진흥공무원 현장역량 강화로 농산업 및 환경변화 신속 대응
3. 농업환경 다변화 대응
- 기후변화 대응 농업환경 모니터링 및 안정생산 기술개발
- 농가현장 서비스 달성률 : (’23) 104%/년 → (’24) 106 → (’26) 110
※ ’24 사업비 : 359백만 원(국비 156, 도비 203)
- 농가현장 서비스 달성률 : (’23) 104%/년 → (’24) 106 → (’26) 110
현황 및 필요성
- 연작장해 및 기상재해로 고랭지 농산물 수급 불안 심화
- 농업환경 변화 지속적 모니터링 및 현장 지원 서비스 강화
2024 추진계획
- 농업환경 모니터링 및 이상증상 해결 지원
- 농경지·수질 모니터링 : 시설재배 토양(156지점), 농업용수(54)
- 민원 등 분석지원 : 친환경·GAP 인증, 퇴·액비화, 유기성 비료
- 농가 현장진단·처방 : 작물 생리장해, 토양 시비관리, 약해 등
- 지속가능 고랭지 배추 안정생산 기술
- 연작지 토양개량 종합기술 효과검정 : 토양소독, 미생물제, 부숙퇴비 등
- 토양개량제(바이오차·미생물제 등) 평가 : 적정양분 유지, 작물생육
- 알배기 배추 생산기술 표준화 : 재식방법, 적품종, 수확기준 등
- 고랭지 휴경지 대체작목 재배기술 개발
- 노지 양채류 품종별 적응성 평가 : 상추, 브로콜리, 샐러리
- 잡곡류 윤작 가능성 검토 : 콩(청아), 팥(강안), 수수(황금찰2호)
기대효과
- 기후변화 대응 및 고랭지농업 현장애로 해결로 생산안정성 증대
최종수정일 : 2024-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