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기술원 소개

농업기술 혁신으로 잘사는 강원농업 실현을 위한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을 소개합니다.

농축산물 안정생산 강화

주요추진계획

본문 시작

1. 수요자 맞춤 신품종 육성

1-1. 신품종 개발
  • 경쟁력 있는 강원형 신품종 육성
    • 품종 육성 : (’23) 2품종/년 → (’24) 5 → (’26) 5
      ※’24 사업비 : 1,229백만 원(국비 543, 도비 686)
현황 및 필요성
  • 소비시장 다변화·기후변화에 따른 다양한 품종 요구
  • 농업인과 소비자 요구에 맞는 맞춤형 품종개발 육성
2024 추진계획
  • 식량작물
    • 벼·잡곡 : 내재해‧특수미(12계통), 기계화‧기능성(콩 9, 수수 4, 조 4)
    • 옥 수 수 : 식미우수 찰옥수수(5계통), 용도별(색소 4, 팝콘 5)
    • 감 자 : 고품질 내재해성(6계통), 기능성‧다용도(5)
  • 원예작물
    • 딸 기 : 초촉성용 고당도·대과용(10계통)
    • 과 수 : 내재해·고당도 사과(2계통), 복숭아(4), 포도(4), 다래(6)
    • 화 훼 : 내서성·절화용 백합(5계통)
  • 특용작물
    • 산 채 : 곰취(다수성 2계통), 두릅(조·만생, 무가시 17), 곤드레(고품질 4)
    • 인삼·약초 : 인삼(다수성 20계통), 황기(내병성 19), 만삼(기능성 8)
    • 버 섯 : 잎새버섯(다수성 5계통), 느타리(고품질 4)
기대효과
  • 우리도 적합 품종개발을 통한 경쟁력 강화로 농가소득 증대
1-2. 종자생산 보급
  • 우리도 기후 적합 신품종 보급으로 농업경쟁력 제고
    • 보급면적 : (’23) 15,673㏊/년 → (’24) 14,728 → (’26) 15,500
      ※ ’24 사업비 : 553백만 원(국비 49, 도비 504)
현황 및 필요성
  • 지역 환경에 적합한 자체육성 신품종 조기보급·확산 필요
  • 우리도 농산물 경쟁력 제고 위한 고품질·기능성 품종 보급
2024 추진계획
  • 식량작물 : 6작목 24품종 14,703㏊
    • 옥수수(미백2호 등 8품종, 12,891㏊), 감자(풍농 등 4품종, 39.5ha)
    • 벼(고향찰 등 5품종, 914㏊), 잡곡(대왕2호콩 등 7품종, 858㏊)
  • 원예작물 : 3작목 19품종 13.2㏊
    • 포도(흑아롱 등 6품종, 6.3㏊), 다래(그린볼 등 9품종, 6.8㏊)
    • 백합(골드원 등 4품종, 0.1㏊)
  • 특용작물 : 7작목 11품종 11.3㏊
    • 산채(땅두릅·두릅, 7.7㏊), 버섯(다미 등 5품종, 2.5㏊)
    • 약초(참당귀 등 4작목, 1.1㏊)
기대효과
  • 우량종자·종묘 안정생산 및 보급 확대로 소득화 기여
1-3. 생산단지 조성
  • 지역 우수 국내 육성품종 보급 확대
    • 품종보급 : (’23) 23개소 → (’24) 42 → (’26) 80
      ※ ’24 사업비 : 1,887백만 원(국비 820, 도비 69, 시군비 948, 기타 50)
현황 및 필요성
  • 소비자가 요구하는 우리도 맞춤형 신품종 단지조성 확대 필요
  • 로열티 절감으로 농가소득 제고 및 국내육성품종 보급 체계화
2024 추진계획
  • 우리도 육성품종 생산단지 조성
    • 벼(2개소) : 고향찰벼 채종포 및 전문단지 조성
    • 잡곡(1) : 강안팥 채종포 및 재배단지, 생력장비 등
    • 두류(2) : 대왕2호콩 품종전시포, 소비자 홍보
    • 서류(2) : 풍농감자 비교실증포, 생력기계, 현장평가회
  • 국내육성 신품종 조기 보급
    • 벼(3개소) : 비교 전시포(해들 등), 채종포 운영, 판매‧유통 지원
    • 잡곡(1) : 수수‧보리 등, 채종포, 생력농기계, 브랜드개발
    • 서류(1) : 고구마, 육묘시설, 생력장비(정식기, 수확기 등)
    • 채소(4) : 딸기 품종 다양화, 마늘‧양파 내재해성‧내병성
    • 과수(2) : 사과‧복숭아 등 유망 신품종, 출하시기 분산 유도
    • 버섯(1) : 느타리 종균, 배지 원료(톱밥, 미강 등)
기대효과
  • 고품질 지역적응 신품종 조기 확산으로 농가소득 안정화
  • 국내육성품종 생산 및 유통체계 구축으로 농업경쟁력 강화

2. 신 성장작목 육성

2-1. 성장 유망작목
  • 우리도 신소득 유망작목 개발 및 안정생산 체계 구축
    • 기술개발 : (’23) 4건/년 → (’24) 5 → (’26) 6
      ※ ’24 사업비 : 484백만 원(국비 75, 도비 212, 시군비 165, 기타 32)
현황 및 필요성
  • 농산물 수입 확대, 소비변화 대응 신소득작목 육성·보급 필요
  • 기후·생산환경 변화 따른 유망작목 발굴 및 안정생산 체계구축
2024 추진계획
  • 딸기
    • 무병종묘 생산 : 조직배양묘, 행잉베드 우량삽수(묘령, 규격 등)
    • 고랭지 신작형 : 꽃눈분화 유도(근권냉방 등 3처리), 보온개시(3시기)
    • 육묘단지 실증·시범(6개소) 및 종합컨설팅 지원(육묘방법 등)
  • 생강
    • 우량종구 생산 : 수경재배(용기규격, 양액조성), 육묘일수(30일 등 4처리)
    • 수확 후 저장기술 : 재배방식(토경‧수경), 저장 중 성분변화(유리당 등)
  • 산채
    • 두 릅 : 생력화 실증(직근삽 재배 등), 수출용 규격설정 및 포장방법
    • 땅두릅 : 촉성재배용 종근 생산기술 개발(정식기, 퇴비시용량)
기대효과
  • 신작목 재배법 개발로 농가소득 제고 및 안정생산 기반 확립
2-2. 지역 전략품목
  • 지역여건에 맞는 특화품목 육성으로 경쟁력 있는 농업기반 조성
    • 지역활력화 작목기반 : (’24) 14개소 → (’26) 40 * (’19~’23) 93개소
      ※’24 사업비 : 6,323백만 원(국비 250, 도비 2,401, 시군비 2,652, 기타 1,020)
현황 및 필요성
  • 지역특화품목 체계적인 관리로 지속가능한 지역 핵심산업 육성
  • 현장애로 수요를 연구‧지도‧민간의 유기적 협력 통한 문제해결
2024 추진계획
  • 지역활력화작목 기반조성
    • 품목별 생산기반 및 규모화 단지 조성, 가공상품화 등
    • 사업대상 조직화‧규모화, 브랜드 개발‧홍보 등 판로 확대
  • 기술보급 다변화 모델
    • 다래 소득 안정화 : 수확 후 관리기술 개발, 브랜드화 등
      ※ 토종 다래 역량 강화 컨설팅 : 멘토-멘티 전문교육, 홍보・마케팅
기대효과
  • 특화품목 발굴 ·육성으로 농업인 소득향상 및 지역경제 활성화
  • 공공+민간 연계 현장애로기술 해결 통한 농업 발전모델 구축

3. 특화작목 기술력 향상

3-1. 원예작물
  • 원예작물 고품질 생산기술 개발 및 지역 특화작목 육성
    • 기술 개발 : (’23) 5건/년 → (’24) 6 → (’26) 7
      ※’24 사업비 : 293백만 원(국비 94, 도비 199)
현황 및 필요성
  • 우리도 기후특성에 맞는 고품질 안정생산 현장 기술수요 증가
  • 자유무역협정 확대에 따른 수출 경쟁력 향상기술 개발 필요
2024 추진계획
  • 수출 채소 현장애로 기술개발
    • 파프리카 : 순환식 수경재배 실태조사(장비, 활용성 등), 기술지원
    • 아스파라거스 : 신품종 특성검정(27종), 시범수출(홍콩), 종합기술지원
  • 과수 안정재배 기술개발
    • 사 과 : ‘썸머킹’ 북부지역 적정 수확기(만개 후 100일 등 8처리)
    • 복숭아 : ‘대홍’ 숙기·생리장해 진단기술(휴대용 비파괴당도계 활용)
    • 포 도 : ‘흑아롱’ 생장조정제 혼용 효과 검정(GA+TDZ 등 5처리)
    • 다 래 : 자체 육성 신품종 재배 기술서 발간(청산 등 9품종)
  • 신품종 모델과원 조성 및 과종별 모니터링
    • 모델과원 조성(영월 등 3시군), 현장평가·세미나(포도 등 3과종)
    • 생육 모니터링 : 사과 등 4과종(동해, 서리피해, 과실특성 등)
기대효과
  • 우리도 원예작물 안정생산 및 특산단지화로 지역 브랜드 육성
3-2. 식량작물
  • 신품종 최적 재배법 및 현장 중심 기술개발 강화
    • 기술 개발 : (’23) 5건/년 → (’24) 6 → (’26) 7
      ※’24 사업비 : 675백만 원(국비 320, 도비 355)
현황 및 필요성
  • 지역 특성에 적합한 품종선정 및 안정생산 기술 개발
  • 자체육성 신품종 조기확산 위한 최적 재배기술 개발‧보급
2024 추진계획
  • 벼, 잡곡
    • 식량자급률 향상 작부체계 : 동계(금강밀) + 하계(벼‧콩‧팥)
    • 동해안 벼 품종선발 : 2개소(강릉·고성), 7품종, 내재해평가(수발아 등)
    • 신품종 최적 시비시험 : “고향흑찰”, 질소시비량(7㎏/10a 등 5처리)
    • 콩 안정채종 기술개발 : 2품종(청아, 대왕2호), 수확시기(3처리)
  • 옥수수
    • 자색옥수수 재배 및 수확 후 관리 : 품질유지조건 설정(4처리)
    • 디지털 육종 : 특성평가(1,060계통), 이미지 활용 특성비교(이삭 등)
  • 감자
    • 씨감자 생산성 향상 기술 : 배양묘 정식방법 등
    • 신품종 산업화 패키지 모델 : 풍농(생산+가공+유통)
    • 병 방제기술 : 더뎅이병 등 2종(발생요인 분석 및 약제선발 등)
기대효과
  • 농가 맞춤형 재배기술 개발로 부가가치 향상 및 농가소득 제고
3-3. 산채 특용작물
  • 경쟁력 우위 산채·특용작물 품질 고급화 및 소비시장 확대
    • 고품질 생산기술 개발 : (’23) 22건/년 → (’24) 13 → (’26) 18
      ※ ’24 사업비 : 350백만 원(국비 107, 도비 243)
현황 및 필요성
  • 신규 산채자원 발굴 및 고품질 생산기술 개발 필요
  • 기능성 특용작물 안정 생산기반 구축으로 소비처 확산
2024 추진계획
  • 산채
    • 곤 달 비 : 조기생산용 시설재배 기술개발(2중하우스+터널재배)
    • 섬쑥부쟁이‧영아자 : 재배특성 검정(종자 발아조건, 토양함수율 등)
    • 모시대 등(5종) : 자원수집 및 특성검정(자생지 생육환경 등)
  • 인삼, 약초
    • 인 삼 : 뿌리썩음병원균 밀도분석 지원(예정지 20개소, 재배지 6)
    • 황 기 : 수량증대(파종시기 설정), 품질 표준화(생산-유통 협의체 운영)
    • 참 당 귀 : 쌈채용 생산기술(배지높이, 수확시기), 채종농가 육성(2개소)
  • 버섯
    • 양 송 이 : 통돌이발효기 활용(배지조성, 발효방법, 배양기술)
    • 잎새버섯 : 고품질 다수확 배지(재활용배지, 비트펄프 등 5종)
기대효과
  • 산채‧특용작물의 안정 생산시스템 구축으로 시장경쟁력 강화

4. 농업 신기술 보급

4-1. 비용절감 및 안정생산
  • 자동화 생력 기술 및 생산성 향상으로 농업경쟁력 제고
    • 현장기술 : (’23) 25개소 → (’24) 62 → (’26) 120
      ※’24 사업비 : 2,610백만 원(국비 1,265, 도비 28, 시군비 1,293, 기타 24)
현황 및 필요성
  • 농촌 고령화, 노동력 감소 대응 첨단기술 적용 확대 필요
  • 이상기상 대응 신기술 적용으로 농산물 안정생산 기반 구축
2024 추진계획
  • 생산비 절감
    • 벼(2개소) : 드문모심기, 자동조향장치, 드론활용 등 노력 절감
    • 밭작물(4) : 해충 유인기술(페로몬트랩 등), 생력화기계 등
    • 채 소(9) : 효율적 물관리(스마트관개, 수경재배 등), 장기성 피복재
  • 자동화 기술
    • 채 소(2개소) : 자동주행 약제방제, 작업자 추종형 운반로봇
    • 과 수(3) : 무인방제기 활용 과원 종합관리(병해충 방제, 엽면시비 등)
  • 이상기상 대응
    • 벼(2개소) : 내재해성(수발아, 도복 등) 품종, 병해충 적기 방제
    • 밭작물(3) : 지중배수 제어시스템(점적관개‧지하수위 조절 등)
    • 채 소(6) : 시설 고온경감(포그냉방 등), 노지 환경조절(저온성필름)
    • 과 수(6) : 저온‧고온 등 피해 대응(미세살수, 햇빛차단망 등)
기대효과
  • 노동력 절감, 기상변화 대응 신기술 확산으로 지속가능한 농업 육성
4-2. 축산물 품질고급화
  • ICT 접목 축산기술 확대를 통한 고품질 축산물 생산
    • 가축 사양기술 향상 : (’23) 21개소 → (’24) 57 → (’26) 120
      ※ '24 사업비 : 3,376백만 원(국비 1,624, 도비 4, 시군비 1,628, 기타 120)
현황 및 필요성
  • ICT 등 융복합 기술 접목한 축사 환경관리로 안전축산물 생산
  • 고품질 축산물 생산 위한 정밀 사양관리 신기술 확산 필요
2024 추진계획
  • 정밀 사양관리
    • ICT 통합제어(6개소) : 축종별 생체정보 분석(발정·분만시기 예측 등)
    • 축사환경제어(5) : 고온기 축사 환경관리, 가축 스트레스 저감
  • 생산기술 향상
    • 고품질 한우(4개소) : 맞춤형 영양관리(미네랄블록), 자가배합사료 공급
    • 조사료 자급화(4) : 영농부산물 사료화, 조사료 단지(컨설팅, 품질검사)
  • 축산환경 개선
    • 가축질병 예방(9개소) : 초유은행, 유용미생물 보급
    • 퇴비 자원화(6) : 고품질 자가퇴비 생산, 퇴비 발효시스템
    • 꿀벌 안전 사양관리(2) : 양봉사 환경개선, 벌통 내부 환경관리
기대효과
  • 최신 실용기술 적용으로 축사 환경관리 및 가축사양 개선
  • 고품질 축산물 생산 및 경영비 절감을 통한 농가소득 증대

5. 농작물 병해충 대응

5-1. 사전예방 강화
  • 병해충 신속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 최소화 및 안정생산
    • 예찰․방제단 확대 운영, 전문인력 역량교육(상시)
      ※ ’24 사업비 : 6,646백만 원(국비 3,396, 도비 704, 시군비 2,546)
현황 및 필요성
  • 이상기후, 국제교류 증가에 따른 병해충 유입 및 확산 추세
  • 병해충 발생 상시조사 통한 선제적 대응체계 구축 필요
2024 추진계획
  • 병해충 신속 예찰 및 적기 방제
    • 예찰‧방제단 운영(19개소) : 병해충예찰·진단·방제, 전문역량교육
    • 병해충 예찰‧관찰포 운영(234개소) → 발생정보 제공(10회/년)
  • 검역병해충 신속 공적방제
    • 사전예방 : 전염원 사전제거(1~4월), 우려지역 전담관리(중앙·도)
    • 과수 세균병 : 사전 약제방제(1,620㏊), 정밀예찰·진단
    • 배추 씨스트선충류(5시군) : 공적방제(436㏊), 발생조사(상시)
  • 돌발해충 정밀예찰 및 협업방제
    • 발생조사(2회) : 월동 난(3월), 성충 조사(7~8월)
    • 협업방제(2) : 관계기관 정보공유(농업+산림), 공동방제(약‧성충기)
기대효과
  • 농작물 병해충 신속대응으로 농산물 안정생산 도모
  • 외래‧검역병해충 선제적 대응으로 농업 피해 최소화
5-2. 진단 · 방제기술 개발
  • 농업현장 병해충 방제기술 개발 및 대응체계 구축
    • 피해경감 및 대응기술 개발 : (’23) 13건/년 → (’24) 14 → (’26) 15
      ※ ’24 사업비 : 241백만 원(국비 145, 도비 96)
현황 및 필요성
  • 기후변화와 작목 다양화로 돌발병해충 발생 및 피해 증가
  • 현장 중심 병해충 신속진단 및 종합 방제체계 구축 필요
2024 추진계획
  • 고랭지 배추 주요 병해충 방제체계 구축
    • 주요 병해 발생양상 및 요인 분석 : 노균병‧뿌리혹병 등 6종
    • 반쪽시들음병 방제법 개발 : 신속진단, 토양소독, 약제효과 등
    • 토양 내 선충·병 상호작용 분석 : 선충밀도‧발병도 등
  • 문제 병해충 발생환경 분석
    • 국가관리 병해충 정밀분포 조사 : 과수화상병‧바이러스 7종
    • 딸기 주요 병해충 발생 양상 분석 : 탄저병‧시들음병‧응애 등
  • 병해충 신속 대응체계 확립
    • 농작물 병해충 신속 진단·처방 : 병해충 진단, 방제안내 등
    • 무·배추 주요 병해 영상진단체계 구축 : 무름병 등 12종
기대효과
  • 주요병해 조기진단·방제 통한 피해경감으로 농가소득 안정화
  • 문제 병해충 종합 방제체계 구축으로 농산물 안정생산 기여
최종수정일 : 2024-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