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기술원 소개

농업기술 혁신으로 잘사는 강원농업 실현을 위한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을 소개합니다.

미래 신성장 농산업 선도

주요추진계획

본문 시작

1. 스마트농업 육성

1-1. 데이터농업 촉진
  • 농업데이터 고도화 및 현장활용도 제고
    • 대상농가 : (’23) 49농가/년 → (’24) 54 → (’26) 60
      ※ '24 사업비 : 617백만 원(국비 291, 도비 326)
현황 및 필요성
  • 농업인구 감소 등 농업여건 변화 대응 스마트농업 수요 증가
  • 환경·생육·경영 전주기 데이터 수집체계 구축으로 과학영농 실현
2024 추진계획
  • 농업 빅데이터 수집 및 관리
    • 데이터 수집 : 파프리카 등 5작목, 10시군 54농가
    • 데이터 DB 구축 : 37항목(생육 14, 환경 7, 경영 16)
  • 강원 ICT 통합관제 시스템 운영
    • 시스템 운영 및 데이터 품질관리 : 7작목 135농가, 데이터 보정 등
    • 시설작목 재배환경 및 생산요인 분석 : 3작목(토마토‧파프리카‧딸기)
  • 스마트팜 현장지원센터 운영강화
    • 권역별 현장지원 : 컨설팅(20농가 80회), 사후관리(20개소)
    • 통합관제시스템 보고서 활용 기술지원 : 3시군, 3작목
기대효과
  • 표준화된 농업데이터 확보‧관리 통한 현장 활용도 향상
  • 데이터기반 현장 기술지원 및 농가 의사결정 편이성 제고
1-2. 스마트농업 모델 개발·확산
  • 스마트팜 모델 개발로 농업현장 핵심기술 경쟁력 제고
    • 현장실증 및 고도화 : (’23) 10개소/년 → (’24) 15 → (’26) 20
      ※ ’24 사업비 : 2,804백만 원(국비 1,187, 도비 905, 시군비 592, 기타 120)
현황 및 필요성
  • 스마트농업 모델 현장적용 확산으로 농가인식 제고
  • ICT 융복합 신기술 현장확산 위한 전문가 육성 필요
2024 추진계획
  • 스마트농업 모델 개발
    • 생력형 평면수형 : 착과량 설정(엽과비 3처리), 생산성·품질 비교
      ※ 과수 다축형 평면수형 시범 : 사과(평창 0.7㏊), 복숭아(원주 0.7㏊)
    • 노지 스마트농업 모델(3개소), 결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10)
    • 순환식 수경재배 모델 : 현장실증센터(1,138㎡), 6월 준공(예정)
  • 스마트농업 전문인력 양성
    • 시군 스마트영농 지원 거점체계 구축 : 데이터 수집‧분석, 실증
      ․테스트베드 교육장(14개소) : 시설‧노지(13), 신규기반(1)
      ․데이터기반 모니터링(5) : 환경측정(온습도·CO2 등), 자동제어
    • 전문과정 운영(3분야) : 선도농가, 시군 담당자, 데이터 조사요원
기대효과
  • 스마트농업 모델 개발·보급으로 우리도 원예산업 경쟁력 강화
  • 강원형 스마트농업 기술정립과 전문교육을 통한 인재 양성

2. 바이오 소재 산업화

  • 농생명자원(천연물·미생물) 활용 바이오 소재산업 활성화
    • 소재개발 및 산업화 : (’23) 5건/년 → (’24) 5 → (’26) 7
      ※ ’24 사업비 : 487백만 원(국비 65, 도비 422)
현황 및 필요성
  • 기능성 지역특산작목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천연물 산업 급성장
  • 우리도 보유 유전자원 활용 그린바이오 신소재 발굴 및 개발 필요
2024 추진계획
  • 지역 특화품목 기능성 소재 산업화
    • 토종다래 :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도 분석, 연육효과 검정
    • 감 자 : 껍질 기능성 평가(항산화 등), 피부 진정효능(노화억제 등)
    • 참 당 귀 : 지대별 지표성분 분석(3지점), 친환경 방제제 개발(1종)
  • 농특산자원 소재 발굴 및 기반 구축
    • 향료자원 : 유망자원 수집, 상품화(구절초 향수, 토종홉 활용 등)
    • 농생명자원 과학영농관 구축(’24~’25) : 1식(652㎡), 실시설계
  • 유용미생물 현장 실용화
    • 작물 생육촉진 효과 검정 : 유용균 29종, 2작목(무, 상추)
    • 배양센터 지원 : 특허균주 보급확대(4시군→6), 품질관리(16시군)
기대효과
  • 농산물 소재 활용 산업화 적용 위한 원천기술 개발
  • 신소재 발굴 및 부가가치 제고 통한 농가소득 증대

3. 저탄소 농업구조 전환

  • 지속가능 저탄소 농업기술 개발 및 실용화 확대
    • 탄소중립 농업기술 개발 : (’23) 4건/년 → (’24) 4 → (’26) 5
      ※’24 사업비 : 2,596백만 원(국비 1,020, 도비 140, 시군비 1,396, 기타 40)
현황 및 필요성
  • ’30년까지 우리도 비산업부문 온실가스 목표 감축량(’18년 대비 97%↓)
  • 온실가스 감축 및 토양개량 위한 바이오차 실용화 기술 요구
2024 추진계획
  • 바이오차 농업 활용 평가
    • 제조원료 확대 및 특성평가 : 가축분(2종), 농림부산물(3종)
    • 목재 바이오차 효과분석 : 토양개량 및 작물 생산성(2작목)
    • 원료별 농업환경 영향 평가 : 작물생육, 양분수지, 시용량 등
  • 저탄소 농업기술 확산
    • 논벼(4개소) : 논물관리, 완효성 비료, 바이오차 등
    • 시설‧노지작물(10) : 토양환경 개선(바이오차), 연작장해 예방 등
  • 영농부산물 안전처리 지원
    • 파쇄지원단 운영(16개소) : 미세먼지 대응 파쇄 지원, 안전교육 등
      ※ 취약계층(고령농업인 등) 영농부산물 수거‧처리 불편 해소
기대효과
  • 바이오차, 비료사용 절감기술 개발·보급으로 탄소저감 기여
  • 농업인 탄소중립 인식 확산 및 지속가능 농업생산 기반 구축

4. 치유농업 확산

  • 농촌자원 활용한 유형별 치유 상품 개발·운영
    • 치유프로그램 개발 : (’23) 7건 → (’24) 12 → (’26) 22
      ※’24 사업비 : 1,252백만 원(국비 460, 도비 359, 시군비 371, 기타 62)
현황 및 필요성
  • 고령화, 고소득화, 사회적 스트레스 등 치유서비스 수요 지속 증가
  • 생활인구 유입 확대 위한 지역자원 가치 홍보‧확산 필요
2024 추진계획
  • 치유농업 산업화 모델 구축
    • 기반확대 : 치유농업센터(도원), 치유공간 조성(9개소), 콘텐츠 개발
    • 인력양성 : 시설운영자(40명), 치유농업사, 협력인력(복지사 등) 교육
    • 네트워크 : 유형별 수요자 매칭, 농업-복지 연계 기관협력
    • 성과확산 : 품질관리, 프로그램 경진, 매뉴얼 제작, 정보망 등록
  • 농촌공간 활용한 서비스 확대 지원
    • 유휴공간 활용(3개소) : 원격근무‧여가서비스 환경조성, 식물식재 등
    • 차세대 농촌체험(3) : 초중등 학교텃밭 조성, 진로 프로그램 운영
    • 협업강화 : 직무연수(2분야), 품질관리, 농촌여행 상품개발(코레일)
기대효과
  • 농업‧농촌자원 활용 치유농업 성장모델 제시로 소득 증대
  • 매력 있는 상품개발로 가치 지향적 농촌체험 활성화
최종수정일 : 2024-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