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기술원 소개

농업기술 혁신으로 잘사는 강원농업 실현을 위한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을 소개합니다.

주요성과

기관 소개

본문 시작

1. 미래 신성장 농산업 선도

1-1. 사과 다축수형 기반 스마트 과원 모델 개발
스마트과원 기반 다축수형 모델 개발: 수세 강('후지' 등 10축, 중(8축), 약(6축)
  • 생산성 증대 효과: 강원 평균 2~2.5배 증수(5년생 총수입 9~13백만원/10a ↑
  • 노동력 절감(동계전정 80% ↓), 병 감소(83% ↓), 재해 경감(일소 피해 87% ↓) 등
다축형 평면수형 기반 스마트과원 첨단융복합 기술 테스트베드 활용
  • 자동개폐형 시설(방조망, 비가림), 무인방제(드론 등), 수확로봇/자율주행 등
현장평가, 교육(51회, 1,614명), 홍보(154건), 재배 매뉴엘 제작 및 보급 등
1-2. 스마트농업 전문인력 육성
스마트영농 지원 거점체계 구축
  • 교육장 운영(14개소): 재배실증(7품목), 이론교육·컨설팅·현장체험(144회 2,144명)
  • 테스트베드 조성(고성, 온실 510㎡, 교육장 90㎡) 및 고도화(철원·인제, 냉·난방기 등 설치)
스마트농업 이러닝 과정 운영
  • 6~8월(60일), 85명(농업인 55, 공무원 30) * 수료 73명(85%), 만족도 90점
  • 이론+가상실습(4과정 28시간), 작물재배, 복합환경제어, 시설관리 등
스마트농업 담당자 역량향상 교육 추진
  • 1차(3.28.~29.) 16명, 포천센터 · 농가현장, 전기제어 실습 및 선진 농가 방문
  • 2차(10.14.~15.) 9명, 시설원예연구소 · ATEC 운영현황 및 시설견학
  • 3차(11.18.~19.) 14명, 본원, 스마트팜 주요장애, 해충관리, 환경관리 등
1-3. 농산부산물 업사이클링 소재화 개발
감자껍질 추출물 활용 상품화: 선크림, 시카크림(출시 예정)
  • 특허출원(~'24): 감자껍질 추출물 상처치유 및 피부재생 효능 등
농산부산물 활용 시제품 개발: 10종
  • 환 ·젤리(산채, 아스파라거스), 퓨레(배, 복숭아, 토마토), 액상차(사과), 잼(다래, 포도), 침출차(블루베리, 아로니아)
사과박 활용 피혁 산업소재 개발: 가죽시트(사과박 15%)
1-4. 시군 농산물 가공센터 운영
농산물 가공 산업화 촉진
  • 가공센터 내실화: 총 17개소(상품개발 185건, 공정 표준화 5종, 기술이전 6종
  • 가공확대: 소규모 창업(3개소), 상품화(차류 등 8종), 기술지원(3회)
  • 성장지원: 창업대학(18회 34명), 담당자 직무연수(22명), MD품평회(18경영체)
특산자원 융복합 상품화
  • 기반조성: 생산 판매장(5개소), 시제품 출시 홍보(밀키트류 등 11종)
  • 상품기획: 레시피 기술전수(물닭갈비 등 2종), 포장디자인 · 브랜드(2), 시식회 등
신기술 현장확산 및 품질향상
  • 가공 신기술(5개소): R&D적용 제품개발(발효식초 · 백향과젤리 등 6종)
  • 품질향상(4): 노후시설 · 장비개선(4개소), HACCP 인증(2종, 한과 등)
1-4. 치유농업 산업화 모델 구축
치유농업 조기 확산 기반 조성
  • 기반확대: 치유센터 설계완료, 치유시설(9개소), 프로그램 개발(10종)
  • 네트워크: 사회서비스원-병원-복지단체 연계 협업(14시관 24회)
  • 인력양성: 시설운영자(44명), 치유농업사(38), 복지종사자 교육(42)
  • 성과확산: 프로그램 매뉴얼(7종), 전국 경진입상(2개소), 집중홍보(56건)
치유+복지정책 연계 민관협력 강화
  • 사회서비시원 협업 지투사업 발굴 → 복지부 승인(6월) →제공기관등록(2개소)
  • 유관기관 연계 치유프로그램 운영(39천명): 소방관, 치매안심센터, 노인복지기관 등
1-5. 호흡기질환자 대상 치유 상품개발
심신회복 호흡기능 개선 프로그램 개발
  • 심신회복 및 호흡기능 개선(3종, 농장형, 마을형), 4게절 운영 프로그램(1회/주)
    * 현장적용: 총 3회(농장 2, 마을 1), 탄광지역 호흡기질환자 대상(27명)
지역 식재료 활용 치유음식 개발
  • 오미자, 맥문동, 더덕 등 활용 호흡기 개선 음식 발굴(10종)
    * 호흡기 개선 지역 식재료 탐색 → 디자인단 · 수요자 · 전문가 협의 → 음식개발
수요자 맞춤형 치유프로그램 사업화 모델 구축
  • 바우처사업 연계 호흡기질환자 농촌치유프로그램 운영(48회 차/연)* 호흡기질환자 농촌치유프로그램 → 복지서비스(바우처산업) 활용 농장소득증대

2. 농축산물 안정생산 강화

2-1. 안토시아닌 고함량 칼라찰옥수수 육성
안토시아닌 고함유 자색찰옥수수 "색교찰113호" 개발
  • 중만생종(출사일수 71일), 이삭길이(17.4cm), 안토시아닌함량(384.8mg/kg)
  • 과피가 얇아 식감이 우수한 간식용 찰옥수수
2-2. 대립 · 다수성 수수 육성
기계화 수확용 수수 신품종 "강원203호" 개발
  • 출수기(8월8일), 단간, 찰성, 천립중(24g), 수량(316kg/10a, 소담찰대비 22% ↑)
2-3. 황육계 대과 강원 복숭아 육성
내한성 우수 황육계 복숭아 "강원1호" 개발
  • 숙기(8월 하~9월 상), 황육계, 고당도(13브릭스), 대과(평균과중 399g)
  • 내한성 우수, 이상기상에 착과 안정성 우수 * 천중도백도와 장호원황도 숙기 사이에 출하할 수 있는 황도 품종 대체 유망
2-4. 저장성 강한 극만생 다래 육성
극만생종 다래 신품종 "강원11호" 개발
  • 극만생종(10월 중하순), 대과(평균과중 23.1g), 연황색 과피
  • 당도 17.2브릭스(후숙 소요일수 7~10일), 식미 우수, 저장성 양호
숙기별 품종 육성 및 재배 매뉴얼 제작: 총 9품종(수분수용 1, 암그루 8)
  • 조생종(9월 상중, 청산 등 2품종), 중생종(9월 중하, 청가람 등 5품종), 만생종(10월 상, 그린하트)
2-5. 기능성 자색옥수수 전문생산단지 조성
기능성 자색옥수수 전문생산단지 조성 및 수확 후 품질관리 기술개발
  • 생산단지: 포업용(색소5호, 0.6ha), 알곡용(색소4호, 3ha/색소6호, 0.6ha)
  • 품질관리: 포엽 및 속대 수확 후 품질유지 저장기간 설정(-5도 이하)
맞춤형 기능성 간식 상품 및 화장품 시제품 개발
  • 혈당관리 간식 1종, 옥수수 발효물 고체향수 1종 제품 개발 및 판매
색소5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 인체적용시험 산업체 공동 추진
  • 눈건강 인제적용시험 진행, 전립선비대증 완화 식약처 개별인정 신청
2-5. 감자 신품종 농가 조기보급 확산
씨감자 생산기술 개발
  • 양액재배: 분무경 재식본수(3주/구, 72% ↑), 배지경 재식밀도(98개/㎡, 74% ↑)
통상실시 및 농가실증을 통한 신품종 재배확산
  • 품종보호권 통상실시: 풍농 110톤('23~'25), 자황 45톤('24~'27)
  • 농가실증 · 시범사업: ('22) 정선 · 화천 → ('23)양구 · 영월 →('24) 원주 · 삼척
자체육성 신품종 씨감자 생산 · 보급 협력체계 구축
  • 기본식물 공급: 감자종자진흥원, 풍농 등 2품종(1톤, 원원종 생산용)
  • 협력체계 구축: 포테이토팜, 대관령씨감자 영농조합법인
2-6. 고당도 씨 없는 포도 흑아롱 특화단지 육성
종묘 보급 및 기술 개발
  • 통상실시(2건): 영월(1품종, 13.5ha/3년), 횡성(4품종, 4.0ha/3년)
  • 재배기술 개발: GA처리(시기: 만개 ~ +5일, 농도: 50ppm), 착립수 설정(80립)
영월 흑아롱 재배면적 확대: ('24) 4ha → ('27) 12ha
  • 농가 조수익 증대: 18백만원/10a(캠벨얼리 대비 33% ↑)
흑아롱 품평회 및 홍보 활성화
  • 소비자 품평회: 캠벨얼리 대비 맛(22.3%), 식감(9.1%), 외관(70.2%) 우수
  • 홍보: 38건(통상실시 4, 품평회 5, 기타 29)
2-7. 고랭지 딸기 육묘 및 조기 생산기술 개발
삽목 육묘를 위한 적정 삽수 채취시기
  • 모주 발생 45일 이내 삽수 채취: 삽목 활착률 90% 이상
삽목묘 조기 화아분화 유도 방법
  • 야간냉방(20℃ 이하) + 단일(8시간) 45일 처리: 화아분화율 95%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고랭지 적정 정식기
  • 8월 상순: 10월 생산량 250.4kg/10a, 과중(20g 내외), 당도(8브릭스 이상)* 해발 800m 이상 비가림하우스 내 조기 화아분화된 묘 정식
2-8. 씨생강 수경재배 및 저장기술 개발
수경재배용 종강 규격
  • 36~55g 종강 파종 시 관행(25~30g)보다 수량 32.8% ↑, 수익 8,561천원/10a ↑
수경재배 시 육묘방법
  • 45일 육묘: 직파 대비 근경 생체중 70% ↑, 수량 72% ↑
씨생강 장기 저장방법(6개월)
  • 플라스틱 박스 + 상토 충진: 관행(자루) 대비 감모율 18% ↓, 무름병 65% ↓
2-9. 강원 아스파라거스 수출통합조직 구성 및 운영
수출통합조직(선도단계) 지정 및 운영
  • aT '24년 수출통합조직으로 신규 지정: 발대식 개최(3.15.)
  • 수출아스파라거스 R&D 협의체 구성 및 운영회의 개최: 5회* 수출통합조직: 승운무역+양구아스파라법인+화천아스파라법인+춘천연구회
일본 선박수출 선도유지 기술 수출실증 및 마케팅 지원
  • 유통 전 냉수(전해수) 침지 기술 실증: 신선도 ↑, 클레임 발생 ↓
  • 선박 수출량 증가: 25.6톤, 16만$(전년 13톤, 7만$ 대비 2배 ↑)
소비 확대를 위한 홍콩 신시장 개척
  • 시험수출: 6회 1.7톤, 항공/스티로폼 포장재(6kg)+아이스팩
  • 판촉전 및 기호도 조사: 2회, 한인홍, 품질 우수/200g 소포장 선호
2-10. 양송이버섯 배지 제조기술 개발
양송이 배지 주재료 및 배합 비율 설정
  • 관행(볏짚) 배지 → 밀짚펠렛, 면실피, 톱밥, 게분, 미강(36:36:13:12:3)
회전식 발효기 활용 배지 발효시 적정 수분함량 설정: 56~59%
  • 주의사항: 56% 미만(배양 중 오염) / 60% 이상(재료 뭉침 발생)
발효방법
  • 재료, 물 투입[일시투입] → 전발효[실온~60도] → 고온발효[60도, 0.5일] → 저온발효[50도, 3일] → 숙성[47도, 2일]
  • 고온발효~숙성 기간 동안 수분은 56~59% 유지
2-11. 두릅재배 노동력 절감 및 수확 후 고나리 기술개발
두릅 근삼 아주심기 기술개발
  • 삽수 규격 설정 및 실증포 조성(횡성 안흥, 10a) → "대아" 입모율 91.1%
  • 관행재배(1년생 굴취묘 정식) 대비 경영비 절감 및 수확기 단축(3→2년)
시장 선호규격 설정 및 신선도 유지용 적정 포장재 선발
  • 선호 규격: 200g 이하 소포장 · 순 무가시, 적색부 25% 미만 등
  • 산소투과필름(50,000cc/㎡ · day) 포장 시 관행(PET용기) 대비 유통 일수 증가(5→10일)
2-12. 참당귀 쌈채소 재배기술 개발
배지경 관비재배 시 봄철 파종 적기: 2월 하순
  • 재배기간(2월하~5월하, 85일), 수확 횟수(2회/3개월), 수확량(3kg/㎡)
연중생산 토경재배 시 파종적기: 9월 상순
  • 첫 수확(이듬해 5월 상), 수확 횟수(4~5회/년), 수확량(3.7~4kg/㎡), 총수입(80~89천원/㎡)
쌈채소 생산 후 종근 재활용
  • 재활용 종근(쌈채소 2회 생산 후 종근) → 건근수량 299kg/10a(농가 대비 3.3배 ↑)
2-13. 농작물 병해충 대응체계 구축
병해충 신속 예찰 및 적기 방제
  • 예찰 · 방제단 운영(전 시군): 예찰앱 활용(6,047건), 전문인력(49명), 상시예찰
  • 역량강화(228명), 예 ·. 관찰포 운영(234개소), 정보지(1만부), 카드뉴스(15회)
  • 병해충 격리실험 및 교육장 조성, 고위험병해충 정밀진단(49건)
검역병해충 신속 공적방제
  • 사전 예방: 중앙 · 도 · 시군 합동 궤양조사(4회), 사전 방제(전 시군 1,620ha)
  • 과수세균병: 상시예찰( 전시군, 5,975ha), 공적 방제(6시군 2.63ha)
  • 씨스트선충: 공적방제(5시군, 387ha), 유인녹비 · 비기주작물 및 약제살포
돌발해충 시기별 정밀예찰 및 협업방제
  • 발생조사(2회): 월동난(3월, 3종) 472ha → 성충기(8월, 4종) 1,636ha
  • 협업방제: 농림지 협업연시(5월 74명), 공동방제 2,554ha(약충기 835, 성충기 1,719)
2-14. 무, 배추 주요 병해충 영상진단기술 개발
무, 배추 병해 영상자료 확보('21~'24): 21,884점(무 10,142 배추 11,742)
  • 무(6종): 검은무늬병, 노균병, 무름병, 뿌리혹병, 시들음병, 탄저병
  • 배추(6종): 검은무늬병, 검은썩음병, 노균병, 무름병, 뿌리혹병, 시들음병
    - 병해 영상자료 딥러닝 완료 → 영상진단앱 정확성 테스트 중
무, 배추 주요 병해 표준영상자료 제공: 13종(무 7, 배추 6)
  •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NCPMS) 업데이트, 기술보급서 작성

3. 현장 중심 기술기반 구축

3-1. 농특산물 가공상품 개발
유통 및 소비자 트렌드 조사: 2작목(옥수수, 콩), 패널(20~70대, 300명)
  • 옥수수: 간식대용 수요 ↑, 저칼로리 및 저당 제품(20~30대)
  • 콩: 건강식 및 영양섭취 수요 ↑ → 영양성분 강화 제품(50대 이상)
소비자 인식 기반 상품개발: 5작목(팥, 잡곡, 다래, 오미자, 참당귀)
  • 다래(정과, 착즙음료), 팥(죽, 차), 잡곡(그래놀라), 오미자(스포츠음료), 참당귀(도시락, 장아찌)
3-2. 지역특산 수제맥주 개발 및 사업화
기술이전: AFY-17 균주를 이용한 옥수수 맥주 제조기술
  • 농담브루어리(홍천), 효모 3종 보급, 저온(10℃) 생육 우수
지역특산물 이용 당화액 제조방법 설정 및 양조특성 분석
  • 엿기름(맥아 대체 62.5%), 거피 황옥수수(맥아 대체 25%) 당화액 제조법
  • 효모 3종(AFY-6, AFY-7, AFY-17), 양조발효 및 품질 DB 구축(7종)
지역특산물 활용 수제맥주 사업화
  • 사업화 3종: "옥시기 비어", "쌀로 비어", "감자바우 비어"
3-3. 순환식 수경재배 현장실증 및 농가컨설팅
순환식 수경재배 실증센터 건립('22~'24)
  • 시설개요: 사업비(2,900백만원), 면적(1,138㎡), 용도(교육, 연구시설)
순환식 수경재배 농가 배양색 분석 및 재배 기술지원
  • 급배액 분석(378점), 분석항목(pH, EC, 양·음이온 등 10종), 기술지원 10건
    * 순환식 수경재배 농가현황: 7농가 6.3ha, 3작목(파프리카 5, 방울토마토 1, 딸기 1)
3-4. 미래 대응 신기술 확산 보급 인프라 구축
미래 대응 신기술 개발, 지역 수요에 기반한 시설 구축 · 장비 확대
  • 기반(7개소): 과학영농실증포 무인방제 시설, 스마트농업 교육시설 등
  • 장비(26): 과학영농 분석방비, 가공·교육장비, 농업기계 현장출동 차량
'24년 지역균형발전사업 우수사례 선정(강릉 "원스톱 농업기계 임대서비스")
  • 우수기관 수상(국무총리 표창), 지방시대 엑스포 연계 우수사례 홍보(11.6.~8.)
3-5. 과학영농 현장기술지원
종합검정실 운영(18개소): 토양환경 및 가축분뇨 부숙도 관리
  • 토양검정(중금속, 직불제, 친환경 인증 등) 33,328건, 가축분뇨 분석(5항목) 8,900건
  • 분석실무교육(2회 13시군), 숙련도 기술지원(3회), 홍보 · 기술자료 배부(1만부)
농산물 안전분석실 운영(6개소): PLS 대응과 농약 안전사용 지원
  • 안전성 분석 3,727점(잔류농약 3,256, 농업용수 471)
  • 기관 연계 현장실습교육(24주), 신규 분석실 현장컨설팅(1시군)
미생물 배양센터 운영(15개소): 작물 생육 증진, 면역력 강화 등 기술 활용
  • 농축산용 유용미생물 공급 2,438톤(농업용 1,624, 축산용 814)
  • 담당자 실무교육(1회), 도 자체 품질관리(2회), 기초활용서 배부(190부)

4. 지속가능한 농업 · 농촌 가치확산

4-1. 농작업 안전재해 예방 서비스 구축
농작업 안전관리 기술보급 확산
  • 기술보급: 작목별 안전(9개소), IOT마을(2), 안전사고 예방(2), 보호구(7천점)
    * 성과효과: 농작업 안전관리 수준(41.1% ↑), 위험성 수준(59.1% ↓)
  • 전문인력: 안전리도 위촉(130명), 강사 선발(15) → 현장예방활동(242회)
    * 안전실천 역량강화 경진 "전국 대상"(도원), 안전365 영상공모전 수상(장려, 2점)
민관협업 강화 및 체계구축
  • 기반마련: 도 안전추진단 구성(8→11기관), 조례제정(1→4시군) 확산
  • 실천확산: R&D보호구 착용 릴레이(2종 1,138점), 교육(117회), 홍보(75건)
폭염대비 농업인 온열질환 예방 대응
  • 교육 · 홍보: 응급처치· 안전(1,020명), 안전실천 결의(4회 100), 리플릿, 문자전송 등
  • 현장밀착: 현장예찰· 홍보(147회), 긴급회의(4회), 안전리더 에방활동(150명)
4-2. 늘봄학교 교육과정 연계 농촌체험 활성화
"교육청(늘봄) - 기술원 - 농장 협업 농촌체험" 활성화
  • 늘봄연계 교장단 설명회(2회, 60명), 프로그램 개발 컨설팅(10), 응급처치(25), 연구회(31)
    * 학교 늘봄프로그램 경진: 철원 뽕이네교육농장 대상(전국 1위)
늘봄정책 연계 체험 학습프로그램 품질관리
  • 농장주 교사양성(60명), 프로그램 개발 컨설팅(10), 응급처치(25), 연구회(31)
  • 품질인증 자격취득: 11개소(기존 7, 신규 4)* 인증기준(25항목): 서면, 현장심사
교육기관 연계 "늘봄학교형 농촌체험프로그램" 시범운영
  • 총 24회(8~12월), 68명, 관내 4학교 · 5개 농장, 교육과정연계 프로그램
    * 5기관 협의를 통한 다자간 의견 수렴 → 농촌체험프로그램 시범운영 모델 구축
4-3. 신품종 · 신제품 시장 진입 마케팅 전략 지원
신품종 · 가공식품 소비자패널 평가(50명): 5회 8품목, 설문 및 집단토론
  • 가공식품 8품목(감자큐브 옹스타, 약선나물밥, 당귀음료, 다래주스 등)
  • 품질(맛, 식감 등), 외관(포장 디자인 및 방법, 용량 및 가격), 개선 방안
도매시장 시장성 평가: 1회 1품목(풍농 감자)
  • 감자 전문 경매사 · 중도매인 8명, 시식 및 관능 테스트
  • 품질(맛, 식감), 외관(크기, 모양), 보완점 및 판매경로
MD(상품기획전문가, Merchandiser) 평가: 2회 7품목
  • 소비자 평가 우수 7품목(다래주스, 약선나물밥, 버섯 된장찌개 등)
  •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 상품기획 전문가 7명
    * 시장진입(예정): 다래주스(대형마트), 나물밥/산나물잡채(백화점, 수출업체)
3-4. 미래 대응 신기술 확산 보급 인프라 구축
청년농업인 역량강화
  • 도 4-H연합회(10회 216명), 핵심역량 워크숍(3회 93명), 대학 4-H육성(6회 205명)
  • 품목모임체(5품목 110명), 도 4-H 경진대회(6분야 219명), 국외연수(일본 17명)
    * '24청년농업인 수상자(10명): 도농업인대상, 4-H 유공표창(8), 한국 4-H 대상(특별상)
영농정착 및 유통 판로 지원
  • 기초영농(18개소), 스마트방제단(2개소, 드론), 로컬판매 활성화(공동브랜드, 꾸러미상품)
  • 우수상품 전시(3회 36상품), 웹전단지 제작 배부(45상품), 시군홍보관(16시군)
유관기관 협력 및 대외홍보
  • 미래청년농 육성 4-H 지도교사 연수(4회 147명), 농업고교 현장실습(13회 108명)
  • 유망 청년농 언론보도(68건), 농진청 '똑똑청년농부' 홍보(30건, 영농수기)
최종수정일 : 2025-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