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정보
•(기 상) 평년(영서 23.5~25.1℃, 영동 23.1~25.1℃)과 비슷하거나 높음
•(강수량) 평년(영서 19.1~72.3㎜, 영동 13.8~56.8㎜)과 비슷하거나 많음
•(저수율) 54.9% (평년 76.9%보다 낮음) ※ 7. 18. 기준
벼
•(후기 논 관리) 중생종, 중만생종은 출수 15일 전부터 이삭 팬 후 10일까지 논물이 마르지 않도록 관리
•(병해충 방제) 이삭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흰잎마름병, 세균벼알마름병, 혹명나방, 벼멸구, 흰등멸구, 열대거세미나방, 먹노린재 주의보 발령 공동방제 등 적기방제 실시
밭작물
•(콩) 콩 잎줄기마름병, 노린재 등 병해충 방제, 과번무 개체 측면 순지르기
•(땅콩) 가뭄 시 관수 필요, 갈색무늬병 발생 시 즉시 적용약제 살포
•(고구마) 일조 부족 또는 지상부 웃자란 경우 칼리질 비료를 엽면시비 해줌
•(참깨) 1모작(5월 파종)은 적기수확, 2모작(6월 파종)은 순지르기 실시
•(가을메밀) 남부 및 제주지역 적기 파종
채소
•(고추) 도복된 고추는 신속히 일으켜 세우고, 북주기를 실시해 뿌리 노출 방지
•(고랭지 배추‧무) 노균병, 무름병, 뿌리마름병 등 방제 철저
•(시설채소) 침수 피해가 심하거나 병든 식물체는 조기에 제거해 전염원 차단
과수
•(집중호우·태풍) 쓰러진 나무 지지대 고정, 살균제 및 4종복비 엽면살포
•(사과 착색관리) 웃자람가지 제거, 반사필름 피복, 잎따주기, 과실 돌려주기 등
•(탄저병) 탄저병 발생하면 병든 과실은 땅에 묻거나 소각하여 2차 전염 차단
화훼
•(시설) 태풍 시 집중호우와 바람에 대비해 시설물 관리 철저
•(장미) 시설 내 온도 30℃ 이하, 습도관리 주의, 흰가루병 및 노균병 방제
특작
•(인삼) 집중호우로 인한 생리장해와 탄저병, 점무늬병 등 병해충 발생이 증가할 우려가 크므로 이에 대비해야 함
•(약용작물) 8월 하순까지 웃거름을 주어 생육을 촉진하고, 가을 파종에 대비해 종자나 종묘를 미리 준비함
•(버섯) 고온 피해 예방을 위해 온도·환기·습도를 정밀하게 관리하여 균이 잘 자라도록 해야 함
축산
•(폭염대비) 물통 등 축사 내부 청결관리, 가축사육기상정보시스템 활용
•(축사화재 예방) 축사 내 소화기 비치, 환풍기 등 전기·전선 관리, 보험 가입 등
•(AI‧구제역ASF) 농장 출입 전 소독 생활화, 울타리 점검 등 차단 방역활동 철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