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 7. 8일 발표
강원도농업기술원에서는 장마기와 겹쳐 계속 확산이 우려되는 벼잎도열병, 여름배추 무름병, 사과 겹무늬썩음병, 고추, 감자 역병과 탄저병 등의 주요 병해충에 대하여『예보』를 발표합니다. 농업인 여러분께서는 본 정보내용을 참고하여 필요한 시기에 적기방제로 피해 예방과 농약사용량을 줄이면서 안전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벼 잎도열병 : 장마철 급속 확산으로 서둘러 방제 |
- 장마기간 중 벼가 연약해져 있고 비료를 많이 주어 잎색이 짙게 늘어진 논과 잎도열병 발생이 많았던 논은 급성형 병무늬가 빠르게 번지고 있어 방제를 소홀히 할 경우 많은 피해가 우려 됩니다.
- 논을 자주 살펴보고 병무늬가 보이거나 잎색이 짙어 병 발생이 우려되는 논은 서둘러 방제 약제를 뿌려주시되, 장마기간 동안에는 비가 멈춘 틈을 이용하여 방제하시기 바랍니다.
|
□ 고추, 감자 역병, 탄저병, 담배나방 : 예방위주 방제 |
- 물빠짐이 나쁜 고추밭과 감자밭에서 역병이 발생하여 번지고 있으며, 고추 주산지역을 중심으로 탄저병 발생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 특히, 역병은 빗물에 의해서 전염되므로 배수로 손질을 잘하여 물이 잘 빠지도록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 또한 담배나방과 진딧물, 총채벌레의 밀도가 늘어나고 있으니 포장을 자주 살펴 적용약제로 방제하시기 바랍니다.
< 강풍, 우박으로 피 받은 작물은 적용약제 살포, 엽면시비로 생육촉진!! > |
|
|
1. 잎도열병 |
- 장마전선이 다시 북상하여 비가 자주 오고 벼 포기내 습도가 높아지면 앞으로 발생면적이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병이 발생되어 병무늬가 급성형으로 계속 번지고 있는 논은 벼 포기가 주저앉는 피해가 나므로 즉시 침투이행성 약제로 방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7월 하순부터 벼이삭이 패기 시작하는 조생종 품종재배 논은 이삭도열병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 비가 올 경우에는 전착제를 혼용하여 살포하시기 바랍니다. |
2. 잎집무늬마름병 |
- 7월 중순이후 잦은 비와 무덥고 습한 날이 많아지면 벼 포기내 습도가 높아 병무늬가 윗잎으로 진전되어 출수기에 접한 조생종 품종은 이삭목 감염도 우려됩니다.
- 지난주까지 방제를 못한 논이나 7월 하순경 출수가 예상되는 품종은 약효가 오래 지속되는 약제로 비가 멈춘 틈을 이용하여 이번 주 내에 반드시 방제하시기 바랍니다.
|
3. 혹명나방, 흰등멸구 |
- 혹명나방은 6월 하순부터 중국에서 날아와 7월 중순부터 애벌레에 의한 피해가 예상되니 포장을 자세히 관찰하여 피해 잎이 1~2개 보이는 애벌레 초기에 방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흰등멸구도 중국에서 많이 발생하여 앞으로 계속 날아올 것으로 예상되며 장마가 끝나고 온도가 높아지면 밀도가 높아질 수 있으니 앞으로 발표하는 발생정보에 따라 방제할 수 있도록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
|
|
1. 고랭지채소 무사마귀병, 무름병 |
- 수확기에 접어든 포장에서 병이 발생되어 장마철에 온도․습도가 높게 지속되면 병균감염에 유리한 환경조건으로 병 발생을 조장하여 확산 될 우려가 매우 높습니다.
- 질소질 비료를 적게 주고 잎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포장관리를 철저히 하고 예방위주로 7일 간격으로 2~3회 정도 방제하시기 바랍니다.
|
2. 고추 역병, 탄저병, 담배나방 등 |
- 장마가 7월 하순까지 계속될 경우 토양 과습에 의한 병균 감염이 급격히 증가되고 피해포장도 늘어날 것으로 우려됩니다.
- 대부분 역병과 탄저병은 함께 발생되는 포장이 많으니 감염된 포기는 즉시 뽑아내고 적용약제를 혼합하여 동시 방제하시기 바랍니다.
- 고추 담배나방, 총채벌레, 진딧물 등 해충 발생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으니 발생초기에 밀도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3. 고랭지 감자 역병, 참깨 잎마름병 |
- 고랭지 감자밭에서 역병이 발생될 우려가 매우 높으며, 참깨도 일부지역에서 잎마름병 증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 방제가 소홀했거나 병이 발생되고 있는 밭은 10일 간격으로 적용약제를 뿌려 주시되 약액이 포기 전체에 골고루 묻도록 충분한 양을 뿌려 주시기 바랍니다.
|
4. 온실가루이, 담배가루이, 총채벌레 등 |
- 토마토, 착색단고추, 장미 등에 온실가루이, 담배가루이, 꽃노랑총채벌레 등의 해충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 이들 해충은 같은 약제를 계속 사용하면 약제 저항성이 생겨 방제효과가 떨어지니 농약을 바꾸어 가며 방제하시기 바랍니다.
|
5. 사과 점무늬낙엽병, 갈색무늬병, 겹무늬썩음병 |
- 점무늬낙엽병 병무늬가 발생되고 있고 일부 과원에서는 갈색무늬병도 발생되어 번지고 있으며, 겹무늬썩음병도 감염될 시기니다.
- 불필요한 도장지는 제거하고 장마기간 중에는 비오기 전후에 중점 방제하시되 진딧물, 응애류, 나방류 등의 해충이 발생될 경우에는 동시에 방제하시기 바랍니다.
|
장마대비 농작물 관리요령 |
- 수로나 논두렁의 풀을 베어 물이 잘 흘러가도록 하고 논의 물꼬를 낮추어 논둑이 무너지지 않도록 한다.
- 비닐하우스 주위의 배수로를 정비하여 빗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고 비가림 하우스는 비닐이 벗겨지지 않도록 비닐끈 등으로 고정시켜 준다.
- 찰옥수수 등 수확적기가 된 작물은 서둘러 수확하고 과수 등은 받침대를 미리 손질하여 비바람에 쓰러지거나 가지가 찢어지는 것을 막아준다.
- 기타 고추는 지주끈 정비와 농작물 병해충 사전방제에 힘쓴다.
|
기상전망(7.10~7.14일) _ (춘천기상대 제) |
- 날 씨 : 이번예보기간에는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흐리고 비가 오는 날이 많겠음.
- 기 온 : 평년(내륙 : 최저 19~20℃, 최고 27~29℃, 동해안 : 최저 19~20℃, 최고 25~27℃, 산간 : 최저 15~17℃, 최고 22~24℃)과 비슷하겠으나, 중반에는 조금 낮겠음.
- 강수량 : 평년(내륙 : 41~59mm, 동해안 : 20~32mm, 산간 : 43~48mm)과 비슷하겠음.
- 육상날씨 및 기온(최저/최고)
구 분 |
7.10 (일) |
7.11 (월) |
7.12 (화) |
7.13 (수) |
7.14(목) |
강 원 영 서 |
흐리고 비 |
흐리고 비 |
흐리고 비후 갬 |
구름많음 |
구름많음 |
강 원 영 동 |
흐리고 비 |
흐리고 비 |
흐리고 비후 갬 |
구름많음 |
구름많음 |
기 온 |
춘 천 |
22 / 27 |
22 / 27 |
23 / 29 |
22 / 30 |
22 / 30 |
(℃) |
강 릉 |
22 / 26 |
22 / 26 |
23 / 28 |
22 / 29 |
22 / 29 |
※ 날씨 예보는 전화 국번 없이 131번 (http://gangwon.kma.g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