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병해충발생정보

병해충발생정보

본문 시작
제목
2025년 9월 농작물 병해충 발생정보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5-09-11
조회수
46
연도
2025
구분
예보
첨부파일
내용

2025년 9월 농작물 병해충 발생정보 중점 방제대상 병해충


식량작물병해충

  • 이삭도열병: 출수기 이후 저온〮다습한 환경이 조성되면 이삭도열병발생이 우려됨. 발생 후에는 방제가 어려우므로 예방위주로 방제해야 함.
  • 흰등멸구〮벼멸구: 발생초기 방제가 중요하므로 볏대아래쪽을 지속적으로 살펴보며 방제밀도에 따른 방제를 실시함.
  • 끝동매미충:강원도 일부지역에서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배설물에 의해 그을음병을 유발하여 생육장애를 가져오고, 수량감소를 초래함.

채소 병해충

  • 씨스트선충류: 수확후에는 녹비작물을 재배하여 토양환원작업 실시함(6~8(6~8주소요).
  • 토마토뿔나방: 발생포장은 등록약제를 작물에 충분히 묻도록 살포하고, 친환경농가의 경우 교미교란제를 설치하고 유기농업자재를 충분히 살포해야함.
과수 병해충
  • 탄저병: 주요관리 과수병으로 장마기 이후 습도가 높고 25℃ 전후의 온도에서 감염이 잘 이뤄지므로 주의가 필요하고, 지난해 발생이 많았던 농가는 예방적으로 적용약제살포를 권장함.
  • 점무늬낙엽병: 흑색의 작은 반점을 형성하고 과실이 성숙하면 반점주변이 적자색으로 됨
    겹무늬썩음병, 갈색무늬병과 동시에 방제하는 것이 효과적임.
다음 글
다음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