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연구결과활용자료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제목
퇴비 부숙도 측정방법별 판정결과 비교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3-05-31
조회수
659
연도
2012
담당자
김세원
구분
영농활용
내용

퇴비 부숙도 측정방법별 판정결과 비교

■ 연구 배경
 ○ 미부숙 불량퇴비로 인한 민원발생 및 오남용 사례 다발
 ○ 퇴비 품질등급 지침이 마련되어(’09.12.28 농진청) 제품등급 세분화되고, 부숙도 기준 설정되어 관리강화(농진청 고시 2010-8호)
 ○ 부숙도 측정방법 3가지 및 판정기준 명시되어 있음(농진청 고시 2011-46)

■ 주요 연구성과
 ○ 부숙도 측정방법별 특징 및 경제성
 ○ 동일시료에 대한 측정방법간 결과판정값 비교 참고자료 제시
   - 동일시료에 대한 부숙도 측정방법간 결과값 차이가 심함
   - 무발아종자 검정시 부숙도 기준 강화를 위한 치상기간 조정 필요 : 5일⇒ 3~4
 ○ 현행 비료공정규격상 부숙도 측정방법

■ 파급효과
 ○ 양질의 퇴비 유통을 위한 부숙도 측정방법 적용
 ○ 일선 시군농업기술센터에서 대농업인 민원발생시 신속한 해결을 위해 상기부숙도 측정키트 활용 적극 권장
 ○ 생물학적 방법인 무 발아종자 테스트는 신뢰도가 높고 비용이 적게 들지만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기계적 측정법에 보완하여 활용 추천

2012-영농활용-퇴비부숙도_측정방볍별_판정결과비교.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