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 배경
○ 치콘은 고급채소로 소비 및 생산 확대중이나 고품질 치콘 생산을 위한 치커리 종근 재배기술이 미흡한 실정임
- 일본 소비량 : 1,300톤/년(’07 수입 : 474톤, 289백만엔, 단가 608엔/kg)
- 국내 소비량 : 전량 수입 의존(’08 수입 : 120톤, 960백만원, 단가 8,000원/kg)
○ 치커리 GAP표준재배지침서는 발간되어 있으나, 치콘생산용 종근 재배를 위한 세부기술정보가 없음
○ 치콘 생산용 치커리 종근의 수량성만을 고려한 토성별 적정 질소시비량은 설정되었으나(’11.강원), 시비량별 종근내 질소 과다축적시 치콘 품질에 미치는 영향 구명 필요
■ 주요 연구성과
○ 치콘 고품질 생산을 위한 치커리 질소시비량 설정
■ 파급효과
○ 성토지는 토양비옥도가 낮지만 감자, 무, 당근 등 근권 수확 작물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물리성을 갖고 있으므로 대체 소득작물인 치커리 재배 적지로 추천
○ 적정 시비기준 설정에 의한 양분손실 최소화 및 고품질 치콘 안정생산
○ 고품질 치콘 수량성을 고려한 질소비료 감비 가능
- 성토지 : 당근검정량 질소기준 1.7배 → 1.1배 (△11kg/10a)
- 일반지 : 당근검정량 질소기준 1.6배 → 1.3배 (△ 4kg/10a)
■ 유사 영농활용과의 차이점
○ 치콘 우량종근 생산을 위한 치커리 질소시비량 설정(’11.강원)
⇒ 질소시비량에 따른 치콘 품질을 고려한 감비 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