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및 필요성
◦ 우리도 14시·군 24개소에서 복합균 또는 고초균, 효모, 유산균, 광합성균으로 구성된 유용미생물을 2,000톤 정도 생산, 보급하고 있으나 객관적 효과 검증이 미흡함
◦ 농촌진흥청이 개발하여 특허받은 유용미생물의 작물별, 용도별 매뉴얼 확립 및 시군 농업기술센터와 농가보급을 위한 미생물 배양법과 활용지침서 개발 필요
활용 내용
◦ 고랭지배추
- 유용미생물(Bacillus vallismortis BS07M)의 처리농도는 107cfu/ml 수준
- 처리방법 : 고랭지배추 육묘 시 7일 간격 3회 침지 및 엽면 처리
◦ 시설상추
- 유용미생물(Bacillus vallismortis BS07M)의 처리농도는 106cfu/ml 수준
- 처리방법 : 상추 정식 후 7일 간격 3회 관주 처리
◦ 유용미생물 활용 방법
- 유용미생물 처리 시기는 플러그 육묘상토에 파종, 발아 후 본엽이 2∼3엽 출현시부터 7일 간격 3회 처리
- 유용미생물 처리 시 플러그 육묘상토가 흥건히 적시어지도록 충분히 침지하고 잎의 앞 ․ 뒷면에 고루 묻도록 엽면 살포
- 관주처리는 근권이 흥건히 젖도록 충분히 관주
- 유용미생물 배양액은 냉장 보관하여 사용하고, 가급적 한번에 모두 사용
파급효과
◦ 강원도 시군 유용미생물 생산·보급 시 우수 균주확보 및 효율성 증대
◦ 고랭지배추 및 시설상추 주산지 농업기술센터에 유용미생물(Bacillus vallismortis BS07M)의 배양기술 이전으로 미생물 배양사업의 실효성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