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이웅예성(heterostylous)에 따른 결실특성 비교
연구책임
강안석
등록일
2005-05-19
조회수
1636
연도
2004
연구과제명
가시오갈피 우량계통선발 및 대량증식기술 개발
과제구분
지역특화기술개발
첨부파일
내용
사업 구분지역특화기술개발수행구분전반기연구기간’03~(2년차)
연구과제명가시오갈피 우량계통선발 및 대량증식기술 개발연구책임자강 안 석
세부과제명이웅예성(heterostylous)에 따른 결실특성 비교
세부과제책임자북부농업시험장 지방농업연구사 정 햇 님 ( 033-458-4783 )
색인용어가시오갈피, 개화, 결실, 이웅예성(heterostylous), 성 분화
 
주요결과요약
 
(시험 1) 화사길이 분류군별 화분생산능력 검정
  • 가시오갈피를 화사길이별로 분류하여 개약 여부, 화분활력 및 발아력을 검토한 결과 장화사 분류군의 경우 95% 이상의 개체에서 개약이 이루어졌으며 활성화분비율이 80.5%로 가장 높게 나타나 웅성기관의 활력이 높은 것으로 판단됨.
  • 단화사 분류군의 경우 개약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수분수로의 능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 되었음.
  • 중화사 분류군의 경우 35.6%의 개체에서 정상적인 개약이 관찰되었음.
(시험 2) 화사길이 분류군별 수정능력 검정
  • 화사길이와 주두신장길이 간에는 고도의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남
    즉, 웅성기관이 발달이 활발한 경우 자성기관의 발달수준이 낮고(불완전 웅성화서), 반대로 웅성기관의 발달이 저조한 경우 자성기관이 정상적으로 발달(불완전 자성화서)하였음.
  • 가시오갈피 성분화 분류
    - 장화사 분류군 : 불완전 웅성화서
    - 단화사 분류군 : 불완전 자성화서
    - 중화사 분류군 : 불완전 양성화서
금후계획
  • 가시오갈피 채종 및 수분수용 우량계통 선발 기초자료 활용
  • 가시오갈피 성 분화에 따른 생육 및 결실특성 비교 : 학회발표(’05)
  • 가시오갈피 채종포 조성을 위한 적정 혼식비율 : 영농활용(’06)
R0506b 이웅예성에 따른 결실특성 비교.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