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우량 묘삼생산을 위한 관수방법 구명
연구책임
강안석
등록일
2005-05-24
조회수
1875
연도
2004
연구과제명
우량묘삼 육묘기술 개발
과제구분
경상기본
첨부파일
s050809_우량 묘삼.pdf (다운로드 수: 394)
내용
사업구분경상기본수행구분전반기연구기간’03~(2년차)
연구과제명우량묘삼 육묘기술 개발연구책임자강 안 석
세부과제명우량 묘삼생산을 위한 관수방법 구명
세부과제책임자북부농업시험장 지방농업연구사  김 시 창 ( 033-458-4783 )
색인용어묘삼, 관수, 수분장력, 텐시오메터

[주요결과요약]

  • 재배방법별 관수시점에 따른 지상부생육은 각처리별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지하부생육은 전반적으로 토직묘(밭) 처리구가 양직묘, 토직묘(논)에 비해 양호하였고, 근중은 0.85~0.92g/주 으로 가장 좋았다.
  • 수확 후 생육상황은 근장 35.0~40.7cm, 근직경은 10.2~13.2mm를 보였고 10a당 수량은 3월 30일 처리구에서 249kg, 4월 20일 처리구에서 318kg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 규격묘삼 생산량은 양직 30kpa에서 54.5%로 가장 높았으며, 양직묘에서는 적변율이, 토직묘에서는 달래삼 발생율이 많았으나, 수량성은 처리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관수시기는 6월상순, 8월전반에 걸쳐 집중되었고, 양직 30kpa, 토직 30kpa에서 관수횟수가 10회로 타처리구에 비해 가장 많았다.
  • 전 생육기간 중(5월~10월) 총 강수일수는 80일, 강수량은 977mm로 전년대비 강수일 수는 17회 정도 많았고, 강수량은 483mm 적은 경향을 보였다.
s050809_우량 묘삼.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