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과제명
북부농업시험장 연구 총설
연구책임
강안석
등록일
2005-05-25
조회수
1875
연도
2004
연구과제명
과제구분
내용
2004년도 북부농업시험장에서는 기능성강정작목인 가시오갈피에 관한 연구, 인삼초작지 부족과 친환경영농의 추진으로 인하여 강원도내 인삼재배가 급증함에 따라 고품질 우량묘삼자급체계를 확립하고자 우량묘삼의 안정적 기술개발, 국내에서 아직 개발되지 않아 중국에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새로운 약초개발의 일환으로 방풍번식 기술개발연구, 강원북부지역에 알맞은 고품질 다수성 벼품종 및 계통선발, 통일대비 북한적응성 콩품종 육성, 강원도내의 축산중심지인 철원지방에 배출되는 돈분뇨 재활용 연구등 총 6개작목 7과제, 13세부과제를 수행하였다. |
가. 소득자원연구 분야 |
민통선지역 기능성 특화작목인 가시오갈피의 경우 종자개갑율의 향상을 위하여 GA3 300ppm에 24시간 침지한 후에 무가온 시설내 상온층적할 때 개갑일수 단축(40여일)과 개갑율 향상(82.5%)의 효과가 있었으며 가시오갈피 913종의 수집지역계통 간에 생장량, 내병성 등 특성을 비교하여 34계통을 2차 선발하였고 이를 토대로 16개 Primer를 분리, 200개 밴드를 분석한 바 있다. 또 가시오갈피의 이웅예성에 따른 결실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장화사 분류군을 웅성기관의 발달이 현저하여 불완전 웅성화서로, 단화사는 웅성기관이 퇴화된 불완전 자성화서로, 중화사는 불완전 양성화서로 각기 분류하였다. 묘삼의 해가림시설자재 선발 및 적정관수 시점 및 관수량을 구명하고자 하는 시험을 수행한 결과, 묘상내 최고기온은 PE 2중직(차광지+차광막2중직)에 비하여 PE 1중직(차광지+차광막 1중직)이 낮게 나타났으며 해가림구조, 후주연결식의 경우 전주목을 150cm길이로 하였을 때 180cm보다 전체수량 및 규격묘생산에서 유리하였다. 관수 시점은 근 신장기에서 비대기 사이의 토양수분이 30kPa일때 관수하는 것이 지하부 생육에 유리하였다. |
나. 작물연구 분야 |
강원북부지역은 강원지역의 주요한 미작중심지이다. 즉 논면적 15,000ha로 그중 오대벼가 50% 이상 재배되고 있어 미질유지 및 재해안정성 차원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고품질 안정다수성의 품종을 개발하고자 작과원 및 영연계통을 재료로 계통선발한 결과 작과원 계통인 SR 20386-188-2-1-2-3-2-1과 영연계통인 YR 17429-31- 2-1-2-2-1-1과 YR 17421-51-2-1-3-3-2-1이 오대벼에 비하여 수수가 많고 연차간 수량변이가 적어 3계통을 지적시험에서 수행할 예정이다. 북한적응성 콩 품종 육성시험을 1999년부터 2004년까지 수행한 결과 106조합을 인공교배하여 F₁양성은 연평균 20,911계통을, F2 세대 이후는 115조합 4776계통을 선발하였다. 생산력검정 단계로 2년간 25계통을 선발한 결과, 2HS982-3SSD-10과 2HS983-3SSD-21 2계통이 유망시되어 철원 춘천 등지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수행할 예정이다. 축산분뇨활용이 환경농업의 이슈로 부각된 이래로 돈분슬러리 액비의 재활용을 위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어왔다 그러나 아직 실용화 단계로는 미진한 점이 많이 있다. 본 연구는 미생물, 온도 폭기 처리를 각각 수행한 결과, 가장 유효한 것으로는 폭기처리를 들 수 있겠고 폭기처리 3개월 경과 후에는 암모니아가스를 휘산시키면서 황화수소등 악취물질 발생이 경감되는 결과를 얻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