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과제명
쌈채 신작목 개발 연구
연구책임
송윤호
등록일
2007-09-27
조회수
3312
연도
2006
연구과제명
산채 신자원 개발 연구
과제구분
경상기본
첨부파일
ares060603.pdf
(다운로드 수: 693)
내용
과제구분 | 분야 (Code)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 | 수행기간 | 소속 | 책임자 |
기본 | LS0108 | 산채 신자원 개발 연구 | `05~`06 | 산채시험장 | 송윤호 |
LS0108 | 쌈채 신작목 개발 연구 | `05~`06 | 산채시험장 | 송윤호 | |
색인용어 | 산채, 쌈채, 병풍쌈, 파드득나물 |
<주요연구결과>
파드득나물과 병풍쌈의 재배화를 위하여 종자의 발아 및 육묘 방법을 검토하였고, 차광 35~75% 비가림하우스에서 생육을 조사하였다. 또한 파드득나물은 현재 재배되고 있는 일본 계통의 미쯔바와 생육 특성 및 수량을 비교하였다.
파드득나물의 발아를 위해서는 종자의 휴면으로 인하여 약 20일간의 5℃ 저온처리가 필요하였고 파종후 발아 온도는 20~25℃에서 양호하였으며 육묘를 위해서는 162공에서 60일이 소요되었다.
병풍쌈은 종자의 휴면 정도는 약해 10일 정도 저온 처리 후 발아 시켰을 때 발아율이 양호하였으며 적정 발아 온도는 15~20℃로 파드득나물보다 저온성이 강하였으며 육묘는 128공과 162공 트레이에서 매트 형성이 양호하였으며 육묘 기간은 53일 소요되었다.
차광 정도별 생육은 파드득나물은 35%에서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수량도 많았고, 병풍쌈은 차광율이 높을수록 생육이 좋았으나 인위적인 비가림하우스에서 재배는 불가능하였다.
파드득나물의 관능적 품질 조사 결과 향과 색에 있어서 우수하였으나 질감이 좋지 않아 식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았고 병풍쌈은 비가림하우스에서의 적응성이 문제되어 파드득나물은 육종적인 방법으로 병 풍쌈은 산지재배 형태로 재배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