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1) 작부체계에 의한 지력증진 기술 개발 외 1
연구책임
김세원
등록일
2007-09-27
조회수
3388
연도
2006
연구과제명
고랭지 토양 지력증진에 관한 연구
과제구분
경상기본
첨부파일
ares060308.pdf (다운로드 수: 540)
내용

과제
구분

분야
(Code)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

수행
기간

소속

책임자

기본

농업환경
ES0101

 고랭지 토양 지력증진에 관한  연구

’05~’09

환경농업연구과
토양관리연구실

김세원

농업환경
ES0101

 1) 작부체계에 의한 지력증진 기술개발

’05~’08

김세원

농업환경
ES0101

 2) 작물 간작재배에 알맞은 녹비작물 선발

’06~’09

김세원

1. 당해년도 주요 연구결과

1) 작부체계에 의한 지력증진 기술개발

(시험 1) 작부체계에 따른 토양비옥도 향상 시험

  • 1년차 콩, 감자, 무, 배추 등 재배후 2년차 콩 재배한 결과, 콩 생육 및 수량차이는 없었음
  • 전년 대비 토양 EC와 인산함량이 콩재배후 감소하는 경향임

(시험 2) 녹비작물을 이용한 지력증진 연구

  • 녹비작물은 10종(화본과 4, 두과 6)을 공시한 결과, 월동후 출현율은 호맥, 그루밀이 양호하였고 헤어리벳치는 35% 수준이었으며 기타 초종은 월동이 불가하였음
  • 호맥과 그루밀은 월동후 토양경도가 2.7~3MPa로 매우 높고 근권도 상대적으로 깊어 뿌리 활착이 견고하였음
  • 토양내 반전투입전 초장은 호맥 132㎝로 가장 컸으며, 건물중은 호맥 860㎏/10a, 그루밀 453, 헤어리벳치 350이었고 올보리는 월동이 곤란하여 국내산 맥류 대체가능성 미흡함
  • 건물율은 헤어리벳치가 33.3%로 가장 높았고 호맥과 그루밀에 비해 질소함량이 2배이상으로 10a당 질소 10kg이상의 공급효과 가능.
  • 반전투입후 가을배추 재배결과 처리간 수량차이 없었음

2) 작물 간작재배에 알맞은 녹비작물 선발

  • 고추는 호맥 간작시 홍숙기가 지연되었으며, 헤어리벳치 간작시 덩굴성으로 고추 생육에 장해를 주어 간장이 작았고 수량성은 녹비작물 휴간 간작시 23~36% 감수되었음.
  • 배추는 무처리 대비 녹비작물 간작시 약 20%정도 감수되었고, 무는 호맥 간작시 41%까지 큰 수량감소를 나타내었으며, 헤어리 벳치를 간작할 경우 20%, 그루밀의 경우 15%가 감수되었음.
  • 무, 배추의 경우 휴간 통풍이 곤란하여 무름병 등 발생이 많았음. ◦입식작물별 약간 차이가 있으나, 호맥은 8월하순, 그루밀은 8월 중순경 하고현상이 나타났으며, 헤어리벳치는 10월이후까지 생육이 왕성하게 유지되었음.
  • 녹비작물별 초장은 고추정식후 110일 경과후 호맥 62, 그루밀 48, 헤어리벳치 95㎝였으며 배추 수확기에 호맥 31, 그루밀 28, 헤어리벳치 36㎝, 무 수확기에 호맥 52, 그루밀 40, 헤어리벳치 46㎝로 배추의 경우 배추의 생육이 왕성하여 피복에 따른 녹비 작물의 생육지연이 나타났음.
  • 녹비작물의 수량은 파종후 110일 경과한 후 호맥은 작물별로 570~770g/0.5㎡, 그루밀은 205~430g/0.5㎡, 헤어리벳치는 235~1855g/0.5㎡으로 차이가 있었음.
  • 7월 집중호우기에 토사유실 저감효과를 측정한 결과 고추/호맥, 고추/헤어리벳치 처리구에서 0.1~0.5톤/10a(95~99%저감) 매우 효과가 우수하였음.

ares060308.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