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농산물 생산이력제 도입 경영성과 분석
연구책임
한종수
등록일
2007-09-27
조회수
3722
연도
2006
연구과제명
고품질 안전농산물 생산,유통 개선방안 연구
과제구분
경상기본
첨부파일
ares060114.pdf (다운로드 수: 716)
내용

과제구분

기본연구

수행시기

전반기

중장기Code

 

RIMS Code

SS0101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

연구분야
(Code)

수행
기간

연구실

책임자

고품질 안전농산물 생산·유통 개선방안 연구

농업경영
SS0101

’06~’06

강원도농업기술원
작물경영연구과

한종수

농산물 생산이력제 도입 경영성과 분석

색인용어

  생산이력, 생산성, 경영성과, 소득

4. 적  요

  WTO 및 FAT등 국제 무역규범의 다양한 변화로 개방화시대를 사는 현대인들은 늘어나는 농산물 수입과 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농식품의 소비패턴이 급속히 변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축산물의 광우병, 농식품으로 야기되는 집단식중독으로 인하여 식품안전사고가 자주발생되면서 식품 안전성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농축산물에 대한 생산이력제 도입은 자국농산물의 경쟁력 강화와 국민건강이라는 양면에서 새로운 농가소득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품질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고 농식품의 생산?유통?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서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을 제공하는데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사료되는바 2004년부터 2006년에 걸쳐 농촌진흥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농산물이력추적시범도입 지역을 대상으로 생산?유통?판매단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006년 현재 농촌진흥청에서 추진한 강원도내 생산이력제 기반조성 시범사업 지역은 춘천시 등 6개시군, 재배면적이 446ha로 작목은 파프리카 등 7품목, 243농가가 참여하고 있다.
  2. 우리나라에서 추진되고 있는 생산이력제는 2003년부터 농촌진흥청, 농림부, 지방자치 단체, 생산자단체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3. 2006년 강원도지역에서 추진한 농산물생산이력제 도입 시범지역의 작목별 경영성과를 분석한 결과 시설토마토, 친환경복숭아, 쌀 등에서 일반재배농산물과의 농업소득 상승  효과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4. 농산물생산이력제를 시범도입 농가의 추진 동기는 소득증대, 수입농산물과의 차별화 전략 및 농산물 안정성과 신뢰성 확보에 있었다.
  5. 농산물생산이력제에 대한 생산자의 의향은 현재 재배하고 있는 작목과 영농규모를 확대하여 지속적으로 이력농산물을 생산 할 경우 농가경영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6. 생산자 측면에서 예측되는 소비자가 선호하는 생산이력농산물은 과일, 엽채류, 과채류 등으로 분석되어 소비자들은 생체로 이용하는 농산물에 대하여 안전성을 고려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7. 생산이력농산물의 주요 유통경로는 농협, 원예조합 등 기존의 일반농산물의 유통경로와 크게 다르지 않아 이에 대한 다양한 판매처 개척이 요구되었다.
  8. 생산이력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는 알고 있다가 53.4%, 성별로는 여성이 43.9%, 연령별로는 40대 이하가 50%로 나타났다.
  9. 소비자가 생산이력농산물을 구매하는 주요 원인은 안전농산물이라는 이미지가 74.1%로  이력농산물이 안전성에 대하여 어느 정도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0. 일반농산물에 비하여 이력농산물의 가격차이가 몇%정도이며 구매할 의사가 있는지에 대한 소비자의 성향은 20%정도 가격차이는 지불의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1. 농산물에 대하여 이력제를 도입할 필요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은 반드시 도입해야한다는 응답이 25.3%, 필요하다라는 의견이 67.4%로 이력제 도입에 필요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ares060114.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