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과제명
주요 농작물 병해 발생예찰 시스템 구축
연구책임
이재홍
등록일
2006-06-13
조회수
2389
연도
2005
연구과제명
주요 농작물 병해충잡초 감시체계구축사업
과제구분
국책기술개발
첨부파일
ares050317.pdf
(다운로드 수: 500)
내용
사업구분 | 국책기술개발 | 수행구분 | 전반기 | 연구기간 | 01~05(완결) |
연구과제명 | 주요 농작물 병해충잡초 감시체계구축사업 | 연구책임자 | 조 원 대 | ||
세부과제명 | 주요 농작물 병해 발생예찰 시스템 구축 | ||||
연구책임자 | 환경농업연구과 지방농업연구사 이 재 홍(033-258-5742) | ||||
색인용어 | 벼, 고추, 병해, 발생예찰 |
4. 주요결과요약
가. 벼 병해조사
- 도열병 분생포자의 최초채집일은 춘천 7월 19일, 철원 7월 12일, 원주 7월 10일이었으며, 전체채집수에 있어서는 춘천은 437개, 철원 565개, 원주는 274개가 채집되었으며, 채집시기에 있어서는 7월 하순부터 8월 상순사이에 많이 채집되었다.
- 도원에서 실시한 잎도열병의 병반면적율 조사결과 6월 24일 조사에서는 병 발생이 조사되지 않았고, 7월 15일 사에서는 5개시군 모두 병발생이 조사되었고 철원이 0.1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도원에서 실시한 이삭도열병의 이병수율 조사결과 모든 시군에서 조사되어졌고 철원이 이병수율 평균 4.3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강릉이 1.40%, 춘천이 0.42% 순으로 조사되었다.
- 도원에서 실시한 잎집무늬마름병의 6월 24일 이병경율 조사에서는 홍천과 원주에서만 조사되어졌고 각각 0.2, 0.1%로 낮게 나타났으며, 7월 15일 조사한 병반고율에서는 홍천과 원주가 각각 12.2, 12.7%로 높게 나타났으며, 피해도 조사에서는 강릉이 11.1%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 도원에서 실시한 흰잎마름병 조사에서는 발생이 조사되지 않았다.
- 시군센타에서 실시한 잎도열병의 병반면적율 조사에서 철원은 7월 20일부터 조사되었고 평균 병반면적율 0.02로 낮게 나타났으며, 원주는 7월 13일부터 조사되었고 7월 27일에는 평균 0.05%로 조사되었다.
- 시군센타에서 실시한 이삭도열병의 이병수율 조사에서 철원은 8월 30일 조사에서 0.94%, 원주는 4차조사에서 5.89%로 나타났다.
- 시군센타에서 실시한 잎집무늬마름병의 조사에서 철원은 7월 20일 부터 조사되었고 8월 24일 병반고율조사에서 8.06%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피해도는 0.50%로 낮게 나타났고, 원주는 7월 6일부터 조사되었고 8월 24일 조사에서 30.70%였으며 피해도는 35.63%를 나타냈다.
- 시군센타에서 실시한 흰잎마름병조사에서는 두지역 모두 발병이 조사되지 않았다.
- 도원에서 실시한 탄저병 피해과율의 7월 24일 조사에서는 평창에서만 0.6%로 조사되었고, 8월 24일 조사에서는 세지역 모두 발생이 조사되었으며 평창이 5.3%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홍천, 영월 3.6, 2.2%의 순으로 나타났다.
- 도원에서 실시한 역병 발병면적율의 7월 10일 조사에서 홍천이 2.1%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영월, 평창 1.1, 0.4%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9월 10일 조사에서는 영월이 18.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이 홍천, 평창 10.9, 9.6%의 순으로 나타났다.
- 홍천군센타에서 실시한 역병 발병면적율 조사에서는 6월 8일부터 조사되었고 9월 14일 조사에서 20.43%였으며, 탄저병 피해과율 조사에서는 7월 20일부터 조사되었고 9월 14일 조사에서 10.73%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