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고랭지 밭토양 성토지 시비기술 개발
연구책임
김세원
등록일
2006-06-13
조회수
2544
연도
2005
연구과제명
고랭지농업 안정생산기술 연구
과제구분
기관프로젝트
첨부파일
ares050306.pdf (다운로드 수: 628)
내용
사업구분 기관프로젝트 수행구분 전반기 연구기간 04~(2년차)
연구과제명 고랭지농업 안정생산기술 연구
세부과제명 고랭지 밭토양 성토지 시비기술 개발
연구책임자 환경농업연구과   지방농업연구사   김 세 원 (033-258-5741)
색인용어 성토지, 시비량, 부산물비료, 토양개량제, 목탄, 제올라이트

4. 주요결과요약
  • (시험 1) 고랭지 성토지 모재토양 이화학성 조사
    • 홍천 내면 및 평창 도암지역 등 성토지 조사지점 20개소의 입식작목은 감자, 무, 배추 순이었고 평균 경사도는 4.8%였음
    • 성토지 모재토양의 화학성 분석결과, 평균 pH 5.9, EC 0.04dS/m, 유기물 2.3g/kg, 인산 31㎎/㎏, CEC 5.3cmol(+)/kg, NO3-N 0.3㎎/㎏으로 매우 척박
    • 입경 2㎜이상의 자갈함량이 21~30%정도인 지점이 가장 많았고, 점토함량은 평균 5.5%로 최저 1.7%에 불과한 지점도 있었으며 모래함량은 60~80% 수준임
  • (시험 2) 성토후 무재배지 년차별 적정시비량 설정
    • 부산물비료 1600kg/10a 수준까지는 검정시비량 증가에 따라 생육과 수량이 비례하는 경향이었으나, 2400kg/10a에서는 검정시비 1.5배 순준에서 가장 양호하였음
    • 성토지에서는 부산물비료 시비량에 따라 생육과 수량 차이가 컸음.
    • 수량은 부산물비료 2400kg/10a와 검정시비 1.5배 처리시 가장 높았음.
  • (시험 3) 성토지 비옥도 향상을 위한 토양개량제 시용효과
    • 공시된 토양개량제 2종의 물리화학성 조사결과, 목탄은 pH 8.8로 알칼리성이었고, 제올라이트는 EC 2.38dS/m로 목탄보다 높았으며, 양이온치환능력은 제올라이트가 26.4cmol(+)/kg로 목탄(16.2)보다 높았으며, 보수력은 목탄이 매우 높았음
    • 생육은 토양개량제의 시용량 증가와 비례하여 양호하였으며, 부산물비료를 주지 않을 경우 토양개량제 효과는 미미하였음
    • 수량은 목탄 시용시 25~30%, 제올라이트는 15~25% 증가효과가 있었는데 목탄은 500kg/10a이하에서도 효과가 기대되며, 제올라이트는 시용량에 비례하여 증수됨
ares050306.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