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과제명
수종별 시용효과 평가 및 시비적량구명
연구책임
함진관
등록일
2006-06-15
조회수
4081
연도
2005
연구과제명
소경목을 이용한 수도작용 지효성 비료개발
과제구분
농업특정
첨부파일
ares050101.pdf
(다운로드 수: 1284)
내용
사업구분 : 농업특정 | Code 구분 : LS0201 | 벼(전반기) |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기간 | 연구책임자 | |||
소경목을 이용한 수도작용 지효성 비료개발 | 04~05 | 강원도원 작물경영연구과 함진관 | |||
수종별 시용효과 평가 및 시비적량구명 | 04~05 | 강원도원 작물경영연구과 함진관 | |||
색인용어 | 벼, 소경목, 완효성, 수량, 품질, 병충해 |
4. 적 요
본 연구는 산림 조림시 발생되고 있는 폐목(참나무속, 은사시나무, 소나무)을 이용 우드칩 지효성비료를 개발하여 벼재배 시용효과를 검토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앙 후 30일 지역 및 재배방법에 따른 생육 중 초장은 춘천 표준시비에서 가장 길고 강릉에서 짧았으며, 경수는 철원에서 가장 많고 춘천에서 적었다. 혼합수종은 표준시비 대비 지역간 처리별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중 간장과 수장은 철원에서 다소 길고, 강릉에서 짧았으며 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등숙율은 철원>춘천>강릉 순으로 나타났고, 전체수량은 춘천>철원>강릉 순으로 나타났으며 춘천에서 혼합수종은 표준시비 대비 유의성이 인정되었음.
- 쌀 품위 및 품질은 표준시비 대비 혼합수종처리에서 지역 및 처리간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음.
- 생육기별 식물체 건물중은 최고분얼기에는 춘천이 가장 높았고 강릉이 낮았으며 출수기 및 수확기에는 철원 표준시비에서 가장 높았다. 혼합수종은 표준시비 대비 건물중이 다소 떨어졌으며, 특히 생육후기에는 그 차이가 뚜렷하였다.
- 수확 후 식물체중 무기성분은 칼리가 가장 많고 마그네슘이 적었으며 혼합수종은 표준시비 대비 규산성분을 제외하고 무기성분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 시험후 토양의 화학성분은 산도, 유기물, 인산, 함량은 시험전보다 다소 증가되었으며, 특히 유기물함량 증가가 뚜렷하였다. 혼합수종처리는 표준시비 대비 유기물함량 및 양이온치환용량이 증가되었고 강릉을 제외하고 인산 및 규산함량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전 글
다음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