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2) 고랭지 채소 대체작목 작부체계 구명
연구책임
이재홍
등록일
2008-06-24
조회수
3449
연도
2007
연구과제명
고랭지 채소 대체작목 개발연구
과제구분
기본연구
첨부파일
2007_rs_0904.pdf (다운로드 수: 531)
내용
과제구분 기본연구 수행시기 전반기
중장기 Code   RIMS Code 2007B00110000076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 연구분야
(Code)
수행기간 연구실 책임자
고랭지 채소 대체작목 개발연구 채소
LS0208
06~07 고원농업시험장
고원작목연구실
김시창
1) 고랭지 쑥갓 재배작형 구명 채소
LS0208
06~07 고원농업시험장
고원작목연구실
김시창
2) 고랭지 채소 대체작목 작부체계 구명 채소
LS0208
06~07 고원농업시험장
고원작목연구실
이재홍
색인용어 고랭지, 쑥갓, 시금치, 상추, 작부체계

4. 적 요

2006년도 작부체계별 생육 및 수량조사 결과 작부체계 I(쑥갓+시금치)에서 쑥갓의 상품수량은 1,564kg/10a였고, 후기작인 시금치의 상품수량은 703kg/10a로, 고온기(7~8월)에 직파되어 발아율이 낮았다. 작부체계 II(상추+쑥갓)에서 상추는 10회 수확, 평균 엽중 20.2g/주, 총수량은 4,393kg/10a이고, 후기작 쑥갓은 상품수량이 1,478kg/10a이였다. 작부체계 III(상추+시금치)에서 상추는 9회 수확, 평균 엽중은 14.5g/주, 총수량은 2,845kg/10a이었으며, 시금치의 상품수량은 1,180kg/10a이었다. 그리고, 작부체계 IV(쑥갓+시금치+상추)에서 쑥갓의 상품수량은 2,062kg/10a, 시금치 542kg/10a, 상추는 6회 수확, 평균 엽중 14.6g/주, 총수량은 1,914kg/10a이었다.
2007년도 작부체계별 생육 및 수량조사 결과 작부체계 I(쑥갓+상추)에서 쑥갓의 상품수량은 1,223kg/10a였고, 후기작인 상추는 5회 수확, 평균 엽중 20.0g/주, 수량은 2,420kg/10a이었다. 작부체계 II(상추+쑥갓)에서 상추는 7회 수확, 평균 엽중 15.8g/주, 총수량은 2,766kg/10a이고, 후기작 쑥갓은 상품수량이 2,036kg/10a이었다. 작부체계 III(상추+시금치)에서 상추는 7회 수확, 평균 엽중은 17.1g/주, 총수량은 2,897kg/10a이었으며, 시금치의 상품수량은 748kg/10a이었다. 그리고, 작부체계 IV(쑥갓+시금치+상추)에서 쑥갓의 상품수량은 1,112kg/10a, 시금치 812kg/10a, 상추는 7회 수확, 평균 엽중 11.8g/주, 총수량은 1,999kg/10a이었다. 2006년도 작부체계별 경제성 분석 결과, 당해연도 시세를 기준으로 보면 작부체계 Ⅱ의 소득이 8,632천원/10a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작부체계 Ⅲ으로 5,778천원/10a이었으며, 작부체계 Ⅰ이 1,990천원/10a으로 가장 낮았다. 평년시세를 적용할 경우 마찬가지로 작부체계 Ⅱ의 소득이 9,727천원/10a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작부체계 Ⅲ으로 7,772천원/10a이었으며, 작부체계 Ⅰ이 1,938천원/10a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007년도 작부체계별 경제성 분석 결과, 당해연도 시세를 기준으로 보면 작부체계 Ⅳ의 소득이 11,772천원/10a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작부체계 Ⅰ로 6,837천원/10a이었으며, 작부체계 Ⅲ이 3,820천원/10a으로 가장 낮았다. 평년시세를 적용하면 작부체계 Ⅳ와 Ⅱ가 각각 소득이 8,798천원/10a, 8,794천원/10a으로 비슷하였고, 작부체계 Ⅰ이 6,577천원/10a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007_rs_0904.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