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촌생활문화

강원특별자치도의 농산물 활용 및 농촌생활문화 이해를 위한
강원특별자치도의 농촌생활문화 관련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토종동식물

농업농촌자원

본문 시작

까치

까치

〔까마귀 科〕

학명 :
Pica Pica Sericea Gould.
영명 :
Black-billed Magpie
일명 :
カササギ
속명 :
깐치, 깐챙이
  • 유사종
    • 물까치 : Cyanopica cyanus Koreansis Yamashina
  • 기원 및 유래
    •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찾아온다는 속담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 이야기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중국과 몽고의 공통된 풍습이다.일본에서는 까치가 서식하지 않았지만 토요토미히데요시가 조선을 침략하여 까치를 가져갔으며 그후 일본에 토착화되어 번식하고 있고 일본은 까치의 번식지를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 형 태
    • 일반적으로 조류는 암수 가운데 수컷이 훨씬 화려하고 아름다운 법이지만 이 새의 경우는 암수 구별이 불가능하다. 머리, 어깨, 턱밑, 멱, 윗가슴, 아랫배는 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다. 허리에는 잿빛을 띤 흰색의 띠가 있으며 배는 흰색이다. 꼬리는 심한 쐐기 모양이며 녹색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다. 부리는 약간 짧으며 검은색이다. 다리도 또한 검은색이다. 몸길이는 약 45cm이다.
  • 생 태
    • 제주도와 울릉도를 뺀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서식 및 번식을 하는 텃새이다. 대개 단독으로 생활할 때가 많고 높은 산이나 인적이 드문 곳에서는 보기 힘들고 도시의 정원, 농경지 근처 등 주로 인간 근처의 평지에서 생활한다. 둥우리는 지난해에 사용하였던 둥우리를 보수하여 이용하기도 하며 나뭇가지위에 4∼20m 높이에 마른 나뭇가지를 주재료로 하여 둥근모양으로 만든다. 알 낳는 시기는 2∼5월이고 2∼7개의 알을 낳는다.
  • 식 성
    • 설치류(쥐), 소형조류의 알과 새끼, 양서류, 작은물고기, 곤충류, 농작물(쌀, 보리, 콩, 감자), 과실(사과, 복숭아, 포도)등 잡식성 조류이다.
  • 이미지
    • 쉬고 있는 모습

      쉬고 있는 모습

    • 쉬고 있는 모습

      쉬고 있는 모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