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촌생활문화

강원특별자치도의 농산물 활용 및 농촌생활문화 이해를 위한
강원특별자치도의 농촌생활문화 관련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생활전통문화

농업농촌자원

본문 시작

철원, 화천, 양구

철 원

주천 쌍다리놀이

철원읍 주민들은 주변에 농경지가 적기 때문에 광할한 오덕지구 농경지에 농사를 짓기 위하여 대교천을 건너야 하고 오덕주민들은 주변에 산이 없어 대교천을 건너 금학산과 천황지 등에서 화목을 채취하여야 하는 서로의 필요성에 따라 다리를 가설하였으나 현재와 같이 영구적인 아닌 임시방편적으로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매년 장마때마다 대교천이 범람, 다리가 유실되어 전 주민들은 다리 놓기에 온힘을 기울였다.
그 방법으로는 정월 대보름날 철원, 동송주민이 다리 양편으로 갈라서 돌던지기와 햇불싸움을 하고 밀리는 편이 지는 것으로 하였으며, 지는 편은 그 해의 다리를 가설하고 이기는 편은 술과 음식을 준비하였다.
싸움이 끝나면 술과 음식을 나누어 먹으면서 한바탕의 춤과 노래판이 벌어져 흥을 돋구면서 양쪽 주민의 단합을 기하였으며 다리가 완성되면 보름달 아랫 장수의 노인을 선두로 다리밟기를 시작하는데 자기 나이만큼 밟아야 무병장수하고 1년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유래가 있다.

농기싸움놀이

농촌에서 일터를 옮길 때는 반드시 농기를 앞세우고 농악을 울리며 다녔다. 이때 먼저 만들어진 농기는 형이므로 앞에 갔다. 일터에서 북을 울려 상대를 부르면 응답을 해야하는데, 어겼을 경우에는 농기를 뺏는 싸움이 벌어진다. 싸움은 신호에 따라 갈려가 상대방 깃봉을 뺏는 것이다. 진쪽은 승자에게 술과 음식을 대접한다.

머슴날놀이

농촌에서는 주인과 머슴 간의 화합을 다지는 풍속이 있었으니, 곧 농사가 시작되는 음력 2월 초하루를 머슴날 또는 일꾼날이라 해서 머슴을 잘 대접하였다. 이 날에는 주인이 술과 음식을 푸짐히 장만하여 광주리나 짚으로 만든 꾸러미에 담아 뜰안의 나무에 올려놓는다. 그러면 머슴은 마음대로 음식을 먹고 풍물을 즐기고 놀았다.

토성 풍년낟가리 놀이

토성에서는 정월 대보름에 당굿을 곁들여서 낟가리를 세우는 놀이를 한다. 그때는 마을을 깨끗이 청소하고 볏가리를 만들거나 장대에 벼이삭 짚단을 묶고 그 밑에 새끼줄을 매달아 벼이삭을 상징한 낟가리를 세운다. 그리고 천황신, 지황신, 산신을 제사하고 농악을 즐긴다. 이 놀이는 마을 청소-풍년 낟가리쌓기 - 고사-장원 머슴 행차놀이-마당놀이 등 5과장으로 되어 있다.

화천

나무꾼 농목 장치기놀이

고구려부터 전래하였다는 이 놀이는 농한기에 초동들이 함께 농목(땔나무)을 하러 다니면서 지게로 행상을 꾸려 행인에게 장난을 치고 또 농목이 끝나는 날에는 좋은 농목더미를 차지하기 위해 벌이는 장치기(지게작대기로 칡구리를 쳐서 농목가리에 집어넣는 놀이)가 포함된다. 이 놀이는 지게놀이-농목장치기-지게행상-지게행상싸움-한마당 잔치의 순이다.

중상 거줄싸움

화천의 대보름 풍속에 거줄다리기라는 줄다리기가 있다. 웃말과 아랫말이 정초에 거줄을 만들기 시작하는데 작년의 패자가 암줄, 승자가 수줄을 만든다. 만든줄이 끊어지면 무조건 지기 때문에 정성껏 만든다. 싸움에서 이기면 승전고를 울리고 축하하고, 패자는 작두를 가지고 나와 거줄을 썰어 승자에게 바친다. 승자는 풍년을 확신하면서 그것을 논에다 거름으로 골고루 뿌린다.

냉경지 소금배 오는날

화천은 오지여서 생필품의 공급이 여의치 못했다. 그래서 서너 달에 한번씩 한양에 마포나루에서 출발한 소금배가 북한간을 거슬러서 냉경지(하리 뱃터)에 이르면 뱃터는 그야말로 난장판이 된다. 먹거리가 등장하고 물물교환이 이루어진다. 파장이 될 무렵이면 선주는 술과 안주를 내어 주민에게 보답하고 주민들은 배가 무사히 가도록 고사를 지내주었다.

양구

양구 바랑골농요

고바랑골은 동면 대암산 중턱에 자리잡은 팔랑리의 옛이름인데, 여기에는 예로부터 전래하는 고유의 농요가 있다. 밭을 갈 때의 소몰이 소리, 얼러지타령, 김맬 때의 메나리, 타작할 때 부르는 도리깨 소리 등이 독특하다. 마을사람들은 농사를 짓거나 마을에 행사가 있으면 이러한 농요를 부르며 즐긴다.

방산 동두보제

방산면에는 숙종 때 박재룡이라는 장사가 박달나무로 가래를 만들어 개설한 동두보가 있다. 4월 초파일이면 보의 개설을 기념하는 제사를 지낸다. 지금도 박장사의 9대손이 지낸다. 동두보는 송현리와 장평을 잇는 보(洑)로서 길이가 10리에 이른다. 주민들은 보의 안전과 박장사를 기리기 위해 보의 머리에서 제사를 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