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촌생활문화

강원특별자치도의 농산물 활용 및 농촌생활문화 이해를 위한
강원특별자치도의 농촌생활문화 관련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생활전통문화

농업농촌자원

본문 시작

강원도 음식문화

강원도 음식문화- 일상음식




강원도의 식생활은 지난 날에는 지리적인 여건에 의하여 지역간 차이가 매우 컸으나, 풍요한 사회로의 전개가 시작된 1970년대부터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여기서는 강원지장의 일상음식과 보릿고개 음식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쌀밥이 주식이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여름동안은 보리밥이 주식이고, 조반석죽하는 집도 많았다. 그리고 어려운 식량난을 극복하기 위해 혼식을 장려하기도 하였다. 밥의 조리는 매우 특수한 조리법에 속한다. 쌀을 씻어서 물을 흡수시켜 다시 물을 부어 불에 올려 충분히 끓인다. 호화되어 밥물이 잦아들면 불을 약하게 하여 뜸을 들이는 과정을 거친다. 강원도의 쌀 주산지는 철원인데, 철원쌀은 맛이 좋아 전국에 알려져 있으며, 특히 민통선 이북지역에서 생산되는 쌀은 공해가 없어 "청결미"라 하여 전국 제일의 인기를 얻고 있다.

죽은 부드러운 유동식으로 예전에 양반집이나 궁중에서는 나이가 많은 어른들께 새벽에 초조반이라 하여 간단한 죽상을 차려서 대접하였다. 죽에 어울리는 찬품은 밥의 찬품과는 조금 다르다. 죽에 맞는 김치는 동치미, 나박김치 등 국물이 있는 김치이고, 찌개는 소금이나 새우젓으로 간을 한 맑은 찌개가 어울린다. 찬으로 마른 북어나 다시마, 미역 등으로 만든 찬이나 장조림, 장산적 등이 적당하다.별미죽으로 잣죽, 깨죽, 호두죽, 녹두죽, 콩죽, 율무죽 등이 있다. 보릿고개 시대의 대용식이었던 아욱죽, 애호박죽, 콩나물죽, 시래기죽 등은 현재 별미음식으로 애용되고 있다.

국수

국수는 점심때에 많이 먹고, 잔치에는 꼭 국수로 손님대접을 한다. 국수의 재료는 밀가루가 제일 많고 , 별미 음식의 재료로는 메밀, 녹두 등의 가루를 쓰고 있다. 국수는 가루를 반죽하여 가늘고 길게 만들어 끓는 물에 삶아서 여러 방법으로 먹는다. 따뜻한 국물을 먹는 온면과 육수나 동치미 국물에 말아 먹는 냉면 및 비빔국수가 있다.

밥이 주식인 우리의 일상식사에서 국은 거의 빠지지 않고 매 끼마다 밥상에 오르는 기본적인 찬물이다. 국의 종류는 맑은국, 토장국, 곰국, 냉국으로 크게 나눈다, 미역국은 산후조리와 장수식품으로 애용된다. 미역은 다시마와 함께 피를 맑게 해주는 해산물이다. 산후 얼마동안 미역국을 먹으면 산후병이나 다산병이 없어진다. 피를 맑게 해 주는 농축된 칼슘이 많기 때문이다. 콩나물국은 비타민C가 많아 스트레스에 강한 체질을 만들어 주고 장의 작용을 좋게 해 주는 한편, 변비 해소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감기 예방을 위하여 북어, 굵은파, 생강, 마늘 등을 넣어 끓여 먹기도 한다.

찌개

찌개는 재료에 따라 된장찌개, 고추장찌개, 새우젓찌개 등이 있다. 된장찌개는 토장국과 마찬가지로 맹물보다 쌀뜨물로 끓이면 맛이 좋고 건더기는 두부, 풋고추, 호박, 고기, 멸치 등을 많이 쓴다. 고추장찌개에는 건더기를 두부나 채소를 넣는데, 생선을 주재료로 하여 채소를 많이 넣고 맵게 끓인 국을 매운탕이라 한다. 새우찌개는 새우젓으로 간을 맞추고, 두부, 호박, 무, 조개류 등을 넣어 끓이면 담백한 맛이 난다.

김치

김치는 채소를 절여서 저장 발효시킨 음식으로 반찬 중에 가장 기본이 된다. 발효하는 동안에 유산균이 생겨서 독특한 산미와 고추의 매운 맛이 식욕을 돋구고 소화작용도 돕는다. 김치에는 채소류 외에 젓갈류를 함께 넣어서 맛이 더욱 좋아지고 동물성 단백질의 급원이 되기도 한다. 겨울철의 김장 김치는 장기간 보존하지만 다른 계절에는 제철에 많이 나는 채소로 만들어 장기간 보존하지는 않는다.

나물

나물은 반상차림에 필수적인 찬물로서 그 재료에 따라 조리법과 양념이 조금씩 다르다. 조리법에 따라 무치는 법과 볶는 법이 있고 숫채, 생채, 잡채 등의 종류가 있다. 이 중 생채는 각 계절마다 새로 나오는 채소의 싱싱함을 그대로 살릴 수 있게 초간장, 초고추장, 겨자즙에 무친 것이다. 나물을 무칠 때에 양념과. 손맛이 어우러지도록 잘 주물러 무쳐 비타민의 흡수를 돕는다. 또한 숙채는 익힌 재료를 겨자즙이나 잣즙에 무친 것이다. 나물에는 참기름, 깨소금을 넉넉히 넣고 무쳐야 부드럽고 맛이 난다.

조림

조림요리는 반상차림에서 극히 일반적인 음식이며 그중 생선조림은 대표적인 반찬이다. 조림에는 생선조림, 육류조림이 있는데 육류조림은 특히 밑반찬으로 좋다. 생선조림을 할 때에는 간장이 끓을 때에 생선을 넣어 장국을 위로 끼얹어 살이 부서지지 않게 하여 생선 특유의 맛을 살린다.

전유어

전유어는 기름을 두르고 지지는 조리법으로 재료는 육류, 어패류, 채소 등을 주로 사용한다. 소금과 후추가루로 간을 한 다음에 밀가루와 달걀 푼 것을 입혀서 지진다. 지짐은 빈대떡이나 파전처럼 밀가루 푼 것에 섞어서 기름에 지져내는 음식이다. 특히 녹두를 갈아서 만드는 빈대떡은 맛이 좋다.

구이, 적

구이법은 불에 쬐기만 해도 조리되는 조리법이다. 오늘날의 불고기의 기원이 된다. 적은 육류와 채소, 버섯을 양념하여 꼬치에 꾀어 구운 것을 말한다. 적에는 익히지 않은 재료를 꼬치에 꾀어서 지지거나 구운 산적과 재료를 양념하여 익힌 다음 꼬치에 전을 부치듯이 옷을 입혀서 지진 누름적 등 두가지가 있다. 제사때에 쓰는 적으로는 육적, 어적, 소적 등의 3적이 있다.

회, 숙회

회는 육류·어패류와 채소류를 날로 또는 익혀서 초간장, 초고추장, 겨자즙 등에 찍어 먹는 음식이다. 회는 무엇보다도 재료가 신선해야 하고, 정갈하게 다루어야 한다. 육류회는 쇠고기의 연한 육회나 간, 천엽, 양 등의 내장류의 잡회가 있다. 어패류 중에는 민어, 광어 등의 신선한 생선과 굴, 해삼 등의 패류를 날 것으로 회를 한다. 어채는 흰살생선을 끓는 물에 살짝 익혀내는 숙회이고, 오징어, 문어, 낙지, 새우 등도 익혀서 숙회로 한다. 채소의 숙회는 미나리, 실파, 두릅 등이 주로 쓰인다.

장아찌

장아찌는 채소가 많은 철에 간장, 된장, 고추장 등에 저장하거나 소금물에 넣었다가 그 재료가 귀한 계절에 쓰는 찬을 말한다. 장아찌에 흔히 쓰이는 재료로는 마늘, 마늘쫑, 깻잎, 무, 오이 등이다.

편육

고기를 덩어리째 푹 삶아 물기를 뺀 수육을 눌러 굳힌 다음 얇게 저민 것이 편육이다. 편육에 사용되는 고기의 부위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쇠머리나 우설, 양지머리, 돼지머리가 특히 좋은 편육감으로 꼽힌다. 편육은 사용되는 고기의 부위에 따라 그 종류가 다르다. 돼지고기 편육은 새우젓과 함께 배추김치에 싸서 먹으면 맛이 잘 어울린다. 최근에는 이를 보쌈이라 한다.

튀각, 부각

튀각은 다시마를 기름에 바싹 튀긴 것이고, 부각은 감자, 고추, 깻잎, 김 등을 그대로 말렸다가 필요할 때 튀겨서 먹는 밑반찬이다. 이 두 반찬은 식물성 지방을 많이 섭취할 수 있는 음식이다.

포에는 육포와 어포가 있는데, 육포는 쇠고기를 간장으로 조미하여 말리고, 어포는 생선을 떼서 소금으로 조미하여 말린 것이다. 포는 혼례식의 폐백의식에 쓰이며, 최고급 술안주이기도 하다.

쌈은 김, 상추, 쑥갓, 배추잎, 취,호박잎, 깻잎, 생미역 등으로 밥을 싸서 먹는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불고기, 생선회 등을 먹을 때에도 상추나 깻잎을 싸서 먹는다.

강원도 음식문화 - 보릿고개음식

보릿고개 음식 - 보릿고개란 묵은 곡식이 다 떨어지고 보리는 아직 여물지 않아 농가생활에서 가장 살기 어려운 음력 4∼5월을 가리키는 말이다. 麥嶺이라고도 한다. 특히 강원도는 평야지대가 적고 산간지대가 많아 오곡(쌀, 보리, 수수, 조, 콩)의 생산이 적어 식량생산이 부족한 지방이었으므로, 1970년대 초까지만 하여도 火田을 일구어 감자, 메밀, 기타 잡곡을 심어 부족한 식량 확보에 노력을 하였으나, 90% 가까운 소작농가는 설이 지나면 곡식이 떨어져 산에 가서 한약재를 채취하기 시작한다. 그 중 식사로 대용되는 것이 갈근이다. 그래도 일주일에 하루는 곡식을 먹어야지 그렇지 않으면 몸에 이상이 나타난다. 그래서 다른 한약재를 팔고, 봄누에를 쳐서 식량을 보충하기도 한다. 이어서 감자, 옥수수와 보리가 수확되면 지긋지긋하고 지루한 보릿고개가 일단 끝나게 된다. 이 보릿고개가 1970년대에 없어졌다. 강원도의 식생활은 지난 날에는 지리적인 여건에 의하여 지역간 차이가 매우 컸으나, 풍요한 사회로의 전개가 시작된 1970년대부터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여기서는 강원지장의 일상음식과 보릿고개 음식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朝飯夕粥

추수가 끝나면 누구나 아침에는 혼식밥을 먹고, 저녁에는 죽이며, 점심은 굶을 때가 많았다.

장례쌀

절약농가는 지주로부터 장례쌀을 얻어 온다. 추수 후에 보리로 갚는데, 한섬을 얻어오면 두섬을 갚아야 한다. 갚을 능력 범위 내에서 대여해 준다.

갈근

갈근은 원래 생약이다. 다량의 전분을 함유하여 약용으로 발한, 중풍, 설사 등에 특효가 있으며, 칡차로 많이 음용된다.

감자

감자는 夏至 감자가 최상급이다. 비타민C와 칼슘이 많은 알카리성 건강식품으로 식사용으로 먹기도 하고 부식으로도 쓰인다.

옥수수

옥수수는 영양가가 매우 높다. 위, 신장, 양기에 좋으며, 곡식 중의 보약이라 일컬어진다. 강원지방에는 잡곡 수확 중에서 옥수수의 생산이 제일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