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촌생활문화

강원특별자치도의 농산물 활용 및 농촌생활문화 이해를 위한
강원특별자치도의 농촌생활문화 관련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생활전통문화

농업농촌자원

본문 시작

삼국 ~ 고려복식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복식




삼국시대의 복식은 부족연맹사회의 복식을 근거로 발전하였으며 「삼국지」에 부여에서는 흰옷감으로 만든 대몌포와 바지를 입었고, 모피로 만든 구를 입었으며 예에서는 바지에 곡령을 입었다고 하였다.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머리에는 관모를 썼고, 저고리는 엉덩이까지 내려오며 직선으로 교차시켜 여미는 형태로 바지는 홀태바지 형이고 치마는 길이가 길고 끝단까지 잔주름이 잡혀 있고 두루마기는 무릎 아래로 내려갈 만큼 길었다. 신은 주로 화를 신고 이도 함께 신었다. 이와 같이 우리옷의 기본 형태는 체형에 맞추어 실용적이고 활동적이며 북방 아한대성 기후에 알맞다.

저고리

기본복식인 저고리는 남녀와 상하가 모두 착용한 것으로 삼국시대에는 유라고 불렀고 위해, 우태, 우치, 웃옷으로 바뀌어 갔다. 남자 저고리의 형태를 보면 길이는 엉덩이까지 내려오고 소매는 통소매이며 깃, 여밈, 소매부리 도련에 선을 둘렀으며 특히 앞을 터서 여미는 카프탄형으로 가운데에서 오른쪽 여밈으로 고정되었다. 여자 저고리도 같은 형태였으나, 저고리의 길이, 소매배래, 깃의 모양이 다양하게 바뀌었다.

바지

북방 유목민이었던 우리 민족에게 꼭 필요했던 복식으로 남녀 모두의 기본적인 하의로 겉옷이나 치마 아래에 입었고 폭이 넓은 대구고와 폭이 좁은 궁고가 있었다. 백제의 바지는 단에 선이 둘러져 있고 오늘날의 양복 바지 처럼 대님을 묶고 있지 않다.

치마

치마는 크게 상(裳)과 군(裙)으로 구분해서 입었다. 상은 남자도 입는 예복용 치마이고 군은 여자들만 입는 길고 넓은 치마이며 저고리와는 달리 삼국시대부터 지금까지 큰 변화가 없었다. 치마라는 용어는 조선시대에 들어와 정착된 말로서 적마, 쵸마, 츄마, 치마로 정착했음을 볼 수 있다.

두루마기

두루마기는 저고리와 바지 위에 입었던 겉옷으로 구에서 비롯 되었다. 민족의 방한을 목적으로 입었던 옷으로 상하가 모두 착용한 것으로 보아 두루마기는 의례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관모

북방계 유목민이었던 만큼 방한용이나 햇빛가리개로 관모를 착용했을 것으로 보이며 삼국시대에는 절풍, 책, 변, 건귁, 갓, 금속관 따위로 다양한 형태의 관모가 등장하였다.

대(帶)

대는 유, 군, 포에 두루던 띠로 부족국가시대부터 사용한 듯하나 삼국시대에 이르러서는 의복을 정돈하는 실용성 뿐 아니라 품계를 구분하는 목적도 띄게 된다.

버선

버선은 발에 신는 것으로 말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마, 저포 따위로 만들었다.

삼국 이전에 이미 풀과 가죽을 이용한 신을 신었다.
고구려에서는 목이 짧은 이와 신목이 길고 밑침이 두꺼운 화를 신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