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농업현장정보

농업현장정보

본문 시작
제목
식물의 방출물질에 의한 실내환경개선효과
작성자
 
등록일
2007-04-06
조회수
5625
연도
2007
내용
    1. 음이온
 식물을 실내에 둠으로써 신체가 자연의 균형을 회복한다는 사실은 「이온균형 : ion balance」이라는 관점에서도 지지할 수 있다. 
이온균형이란 지구상의 생명을 가진 것은 모두 양이온과 음이온이 항상 경합하여 중화상태가 될 때 비로소 건강해진다고 하는 개념이다. 
인체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1cm3당 400~1000개(평균 700개)의 음이온이 존재해야 한다. 
그러나 매연,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의 대부분의 대기 오염물질은 양이온으로 대전되어 있어 양이온을 증가시켜 이온균형이 무너짐으로서 건강을 해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자연상태와 가까운 환경에서는 공기중의 음이온과 양이온의 비율이 1.2 : 1 정도이며 도시지역, 오염지역 등은 음이온과 양이온의 비율이 역전되어 1 : 1.2~1.5이상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파이토케미칼(Phytochemical) 
식물에 의한 실내 환경개선은 첫째, 식물의 흡수, 흡착에 의해서 오염물질이 제거되는 공기 정화 기능과 둘째, 식물에서 직접 방출되는 여러 가지 화학물질에 의해서 인간의 건강을 이롭게 하거나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효과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식물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화학물질을 통칭하여 파이토케미칼(Phytochemical)이라고 한다. 
Phytochemical에는 피톤치드와 허브향, 꽃향, 정유 등의 용어가 내포되어 있다. 산림욕의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로 알려진 피톤치드(phytoncide)는 다른 생물에게는 공격적으로 작용하지만 인체에 대해서는 유익하며 우리 일상생활에 유용하는 것은 경험적으로 잘 알려진 사실이다. 
피톤치드의 효능은 크게 3가지로 분류하면, 쾌적감과 소취·탈취 효과, 항균·방충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우리 일상생활에 도입하여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나무향은 피톤치드 그리고 초본류 식물의 향은 허브, 꽃에서 발생하는 향을 향기라고 부르고 있다.
 따라서 피톤치드의 효능에 준하는 기능을 허브 향 이나 실내식물의 향에서 구명하여 실내환경 개선에 이용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 참조
식물의 방출물질에 의한 실내환경개선효과.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