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농업현장정보

농업현장정보

본문 시작
제목
2025년 제37호 주간농사정보(9.22.~9.28.)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5-09-25
조회수
23
연도
2025
내용

2025년 제37호 주간농사정보(9.22.~9.28.) 핵심기술정보


농업정보

• (기상) 평년(영서 15.9~17.1℃, 영동 16.7~17.7℃)과 비슷하거나 높음

• (강수량) 평년(영서 3.5~13.5㎜, 영동 7.3~38.3㎜)과 비슷하거나 적음

• (저수율) 64.0% (평년 77.6%보다 낮음)  ※ 9. 17. 기준


• (적기 수확) 벼의 수확 적기는 외관상 충분히 익고 수분함량이 25% 이하일 때이며 출수 후 조생종 45~50일, 중생종 50~55일, 중만생종 55~60일

• (건조 및 저장) 일반용은 45℃, 종자용은 40℃ 이하에서 건조하며, 저온저장은 수분함량 15%, 저장온도 10~15℃, 상대습도 70~80% 정도 유지

• (땅심 높이기) 볏짚 3~4등분 절단 400~600kg/10a 시용, 깊이갈이 실시


밭작물

• (수확) 수확기에 접어든 밭작물은 적기 수확 및 건조, 뒷그루 작물의 파종 지연 예방

• (보리·밀 파종) 월동 전 본 잎 5~6매 확보를 위한 적기 파종


채소

• (가을배추‧무) 결구가 시작된 지역에서 가물 경우 물주기

• (마늘·양파) 난지형 마늘 적기 파종, 양파 묘상 관리

• (시설채소) 작목별·지역별 정식포장 준비, 시설 내 환기관리 등  


과수

• (배) 수관 외부의 큰 과실부터 3~5일 간격으로 2~3회 나누어 수확

• (단감) 쇠약해진 나무 수세 회복 및 양분 저장을 위해 가을거름 시비


화훼

• (프리지아) 아주심기 후에 잎이 완전히 전개될 때까지는 환기팬을 돌리고 햇빛을 차단하여 땅 온도를 최대한 낮추어 관리


특작

• (약용작물) 도라지는 파종 후 2~3년 이상 재배한 것을 가을이나 봄에 수확하고, 황기는 2~3년생의 포기에서 건실한 종자를 채종함

• (느타리버섯) 품종별 온·습도 관리에 유의하여 생리장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관수 후 버섯에 수분이 오래 정체되지 않도록 환기관리에 주의함


축산

• (겨울 사료작물) 지역별 최저기온 등을 고려하여 적정 품종 및 파종시기 선택

• (환절기축사관리) 일교차 대비 방풍·보온 철저, 면역력 저하된 가축 건강관리

• (AI·구제역·ASF) 농장 출입 전 소독 생활화, 울타리 점검 등 차단 방역활동 철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