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농업현장정보

농업현장정보

본문 시작
제목
2025년 제38호 주간농사정보(9. 29. ~ 10. 5.)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5-09-30
조회수
22
연도
2025
내용

2025년 제38호 주간농사정보(9. 29. ~ 10. 5.)


분야핵심기술 및 정보    


농업정보

• (기상) 평년(영서 14.2~15.6℃, 영동 15.7~16.7℃)과 비슷하거나 낮음

• (강수량) 평년(영서 4.9~27.7㎜, 영동 2.9~21.6㎜)과 비슷하거나 많음

• (저수율) 82.5%(평년 79.0%보다 높음)  ※ 9. 25. 기준


• (적기 수확) 벼의 수확 적기는 외관상 충분히 익고 수분함량이 25% 이하일 때이며 출수 후 조생종 45~50일, 중생종 50~55일, 중만생종 55~60일

• (건조 및 저장) 일반용은 45℃, 종자용은 40℃ 이하에서 건조하며, 저온저장은 수분함량 15%, 저장온도 10~15℃, 상대습도 70~80% 정도 유지

• (땅심 높이기) 볏짚 3~4등분 절단 400~600kg/10a 시용, 깊이갈이 실시


밭작물

• (콩) 콩 꼬투리에 푸른빛이 없고 노란색이나 갈색으로 변할 때 수확하고 콤바인으로 수확할 때는 수분함량 18~20% 정도에 실시

• (가을감자) 예비저장은 온도 12~15℃, 습도 80~85%에서 1주일 정도 실시, 본 저장은 3~4℃, 습도 80~85%에 보관

• (고구마) 10월 상중순까지 수확, 아물이(큐어링) 처리

• (보리·밀) 보리·밀은 월동 전에 본 잎 5~6매 확보, 파종 전 종자소독

• (유채) 파종적기는 남부지역 10월 상순, 제주도 10월 중순


채소

• (가을 배추‧무) 결구 시작된 포장은 1일 10a당 200ℓ 물 인공 관수

• (마늘‧양파) 파종과 아주심기 후 비닐피복으로 지온 높임, 토양수분 적정 관리

• (시설채소) 보온준비, 10월~11월 상순 외부 매개충 유입 우려 집중관리

• (딸기) 아주심기 후 1개월 후 보온실시, 야간온도 12~15℃ 관리


과수

• (수확) 상처 나지 않도록 온도가 낮을 때, 비 그친 후 익음 정도에 따라 2~3회 나누어 수확하여 품질 확보

• (가을거름) 쇠약해진 나무 수세 회복 및 저장양분 축적으로 이듬해 봄 생육 촉진


화훼

• (국화 관리요령) 생육이 지연되는 로제트 현상을 타파하기 위해 조생종은 5℃ 이하에서 15일, 만생종은 4주 이상 저온 경과시켜 줌


특작

• (인삼) 10월 중순~11월 상순사이 표준이랑 규격, 방향에 맞춰 조성

• (약용작물) 더덕은 10월 중순 이후부터 수확이 가능하며, 30~50g 이상 수확, 둥굴레 종근 파종 시기는 10월 상순~11월 상순이 적당함

• (느타리버섯) 온·습도 관리에 유의하며, 생육기 습도는 75~85% 유지


축산

• (겨울 사료작물) 지역별 최저기온 고려한 적정 품종 및 파종 시기 선택

• (환절기축사관리) 일교차 대비 방풍·보온 철저, 면역력 저하 가축관리

• (AI·구제역·ASF) 농장·근로자 소독 생활화, 울타리 등 차단 방역 철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