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기술 및 정보
농업정보
• (기상) 평년(영서 12.9~14.5℃, 영동 14.6~15.8℃)과 비슷하거나 높음
• (강수량) 평년(영서 1.7~10.1㎜, 영동 1.6~10.0㎜)과 비슷하거나 많음
• (저수율) 82.4% (평년 78.6%보다 높음) ※ 10. 1. 기준\
벼
• (적기 수확) 벼의 수확 적기는 외관상 충분히 익고 수분함량이 25% 이하일 때이며 출수 후 중생종 50~55일, 중만생종 및 만식재배는 55~60일
• (건조 및 저장) 일반용은 45℃, 종자용은 40℃ 이하에서 건조하며, 저온저장은 수분함량 15%, 저장온도 10~15℃, 상대습도 70~80% 정도 유지
• (땅심 높이기) 볏짚 3~4등분 절단 400~600kg/10a 시용, 깊이갈이 실시
밭작물
• (콩) 콩 꼬투리에 푸른빛이 없고 노란색이나 갈색으로 변할 때 수확. 콤바인 수확적기는 성숙 후 10일경, 수분함량 18~20% 정도에 실시
• (가을감자) 예비저장은 온도 12~15℃, 습도 80~85%에서 1주일 정도 실시, 본저장은 3~4℃, 습도 80~85%에 보관
• (들깨) 종실용 들깨 수확은 개화 후 30~32일인 10월 상중순에 실시
• (보리‧밀) 월동 전에 본 잎 5~6매 확보, 파종 전 종자소독 실시
• (유채) 파종적기는 남부지역 10월 상순, 제주도 10월 중순
채소
• (가을 배추‧무) 결구 시작된 포장은 1일 10a당 200ℓ 물 인공 관수, 병해충 방제
• (양파) 줄기 굵기 6~7.5㎜, 키 25~30㎝, 엽수 4매 정도, 뿌리 및 잎 절단 없는 묘 선택
• (시설채소) 보온효율 향상, 10월~11월 상순 외부 매개충 유입 우려, 집중관리
• (딸기) 아주심기 1개월 후 보온 실시, 수경재배 EC 0.6~0.8 저농도 급여
과수
• (수확) 과실은 익음 정도에 따라 2~3회 나누어 수확하여 품질 확보 수확은 상처 나지 않도록 온도가 낮을 때, 비 그친 후 실시
• (배) 중만생종(신고, 추황배)은 과실 수확 직후~낙엽 전 가을거름 주기
• (단감) 수확 30일 전 시비, 만생종은 10월 상중순에 가을거름 주기
화훼
• (칼라) 잎이 노랗게 시들기 시작하면 구근 굴취, 세척 및 침지 소독 후 환기가 잘 되는 20~25℃ 장소에서 1~4일간 충분히 건조
특작
• (인삼) 개갑이 완료단계이므로 수분이 정체되지 않도록 물주는 속도를 조절하고, 개갑이 완료되면 파종 2~3일전 용기에 꺼내 뿌림
• (약용작물) 수확기에 있는 황기, 지황, 천궁 등의 약초는 수확 후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초종별 건조온도를 준수하여 건조함
• (버섯) 겨울 재배를 위한 폐상작업을 철저히 하고, 배지나 종균 등을 미리 확보하여 준비함
축산
• (화재예방) 전기 사용량 증가 대비 시설 안전점검 및 농장 내 소화기 비치
• (환절기축사) 일교차 대비 방풍·보온 철저, 면역력 저하 가축 건강관리
• (AI·구제역·ASF) 농장 출입 전 소독 생활화, 울타리 등 차단 방역 철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