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농업현장정보

농업현장정보

본문 시작
제목
2025년 제40호 주간농사정보(10. 13. ~ 10. 19.)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5-10-14
조회수
6
연도
2025
내용

2025년 제40호 주간농사정보(10. 13. ~ 10. 19.) 핵심기술 및 정보


농업정보

• (기상) 평년(영서 10.9~12.3℃, 영동 13.1~14.5℃)보다 높음

• (강수량) 평년(영서 1.4~11.0㎜, 영동 1.8~23.6㎜)과 비슷하거나 많음

• (저수율) 87.7% (평년 79.1%보다 높음)   ※ 10. 10. 기준


• (적기 수확) 벼의 수확 적기는 외관상 충분히 익고 수분함량이 25% 이하일 때이며 출수 후 중생종 50~55일, 중만생종 및 만식재배는 55~60일

• (건조 및 저장) 일반용은 45℃, 종자용은 40℃ 이하에서 건조하며, 저온저장은 수분함량 15%, 저장온도 10~15℃, 상대습도 70~80% 정도 유지

• (땅심 높이기) 볏짚 3~4등분 절단 400~600kg/10a 시용, 깊이갈이 실시


밭작물

• (콩) 콩 꼬투리에 푸른빛이 없고 노란색이나 갈색으로 변할 때 수확하며 콤바인 수확적기는 수분함량 18~20% 정도에 실시  

• (가을감자) 예비저장은 온도를 12~15℃, 습도 80~85%에서 1주일정도 실시 본 저장은 3~4℃, 습도 80~85%에 보관

• (보리·밀) 지역별 파종시기 준수, 파종 전 종자소독으로 병해 예방

• (유채) 파종적기는 남부지역 10월 상순, 제주도 10월 중순


채소

• (마늘‧양파) 본밭 뿌리 활착과 양분흡수 증대를 위한 적정 수분관리 

• (시설채소) 10월~11월 상순 외부 매개충 유입 우려, 집중 예방관리

• (딸기) 보온초기 액화방 분화시기로 낮 30℃, 밤 13℃ 이상 되지 않도록 관리


과수

• (수확) 과실은 익음 정도에 따라 2~3회 나누어 수확하여 품질 확보  수확은 상처 나지 않도록 온도가 낮을 때, 비 그친 후 실시

• (배) 중만생종(신고, 추황배)은 과실 수확 직후~낙엽 전 가을거름 주기

• (전정) 묵은 측지를 쐐기형태로 절단하여 새로운 젊은 측지 양성


화훼

• (초화류) 내년 초봄 출하를 위한 초화류(시네라리아, 금잔화 등) 파종 준비


특작

• (인삼) 모밭과 직파재배 파종은 수확예정 시기를 감안하여 파종밀도를 조절하는데 되도록 가을파종 하고, 건조하지 않도록 관리함

• (약용) 황금, 더덕 등을 가을에 파종하는 경우 종묘의 특성을 감안하여 파종밀도나 복토두께 등을 조절함

• (버섯) 겨울 재배에서 투입되는 솜의 양은 1평당 60kg로 늘려주며, 입상 전 수분함량은 70% 정도로 유지하여 줌


축산

• (가축질병) 농장 출입 전 소독 생활화, 울타리 점검 등 차단 방역활동 철저

• (환절기) 큰 일교차 대비 축사시설 방풍 및 보온관리 철저, 축사 내부 청결관리

• (동계사료작물) 지역별 적정시기 고려 품종선택 및 파종(IRG, 청보리, 호밀 등)


다음 글
다음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