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연구결과활용자료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제목
수출용 오리엔탈나리 고랭지 억제재배에 적합한 신품종 선발
작성자
 
등록일
2011-03-10
조회수
1416
연도
2010
담당자
홍대기
구분
영농활용
첨부파일
2010young0603.pdf (다운로드 수: 297)
내용

부서: 원예연구과

담당자 : 홍대기, 고재영, 최강준, 노희선

(033)248-6076, flowloghong@korea.kr

수출용 오리엔탈나리 고랭지 억제재배에 적합한 신품종 선발

1. 현황 및 문제점

  ◦ 09년 강원도 나리 재배면적은 99ha 중 오리엔탈나리 재배면적은 76ha정도로 대부분이 고랭지에서 5~7월에 정식하는 억제재배 작형으로 재배되는 품종은 3~4품종으로 획일화 되어있어 일시적 물량 집중과 재배시기의 조절에 한계가 있어 새로운 품종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 품종의 소수집중화는 경쟁력 약화요인이므로 소수품종에서 탈피하여 출하시기와 작형의 차별화가 가능하도록 새로운 품종을 입식, 독자적 상품을 개발하여 고품질 절화생산 수출로 경쟁력 강화 및 농가소득 제고 가능(수출나리산학연협력단 심포지엄. 강원백합 2000만불 수출달성을 위한 전략과 정책방향. 2010)

4. 적  요

  ◦ 신품종의 품종간 정식기별 생육 및 절화 특성을 비교한 결과, 초장은 ‘님프’와 ‘롬바르디아’가 100, 80cm로 대비 품종인 ‘소르본느’, 시베리아‘의 81, 73cm에 비해 같거나 컸음.
  ◦ 줄기경도는 ’롬바르디아‘ 4530g/㎠, 님프’ 4304g/㎠에 비해 ‘소르본느‘ 5194g/㎠ 보다는 약했으나 ’시베리아‘ 4159g/㎠ 보다는 강한 결과를 보였음.
  ◦ 특히 억제재배에서 발생이 많은 블라인드가 ’소르본느‘ 0.4개, ’시베리아‘ 0.6개에 비해 ’롬바르디아‘와 ’님프‘는 거의 없어 고온기 억제재배에서 고품질 절화생산에 유리함
  ◦ 내수시장 출하 및 수출경매에서 절화 소비자의 강한 호평을 받아 고랭지 억제재배에 유리한 품종으로 추천함

2010young0603.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