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서: 원예연구과
담당자 : 서현택, 원재희, 전신재, 김재록
(033)248-6064, gusxor0000@korea.kr
치콘 생산을 위한 품종별 적정 생산시기
1. 현황 및 문제점
◦ ‘치커리’ 뿌리를 이용하는 서양채소 치콘은 우리나라는 전량 유럽에서 고가로 수입(8,000원/kg)되어 고급 레스토랑이나 호텔 등에서만 주로 소비되어 왔음.
◦ 주 생산국인 벨기에, 네덜란드, 프랑스 등의 유럽 전역에서 소비되고 있고, 동양에서는 일본, 중국, 대만 등에서도 수입하고 있는 수출 유망 작목임.
- 일본 소비량 : 1,300톤/년(’07 수입 : 474톤, 289백만엔, 단가 608엔/kg)
- 국내 소비량 : 전량 수입 의존(’08 수입 : 120톤, 960백만원, 단가 8,000원/kg)
- (’04)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수출 유망 채소로 보고 ⇒ 일본시장 230억원 추정
◦ 현재 치콘 생산 농가의 수가 증가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재배를 희망하는 농가들의 기술 지원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고품질의 치콘을 생산하기 위한 저장기술이 미흡하여 연구개발이 시급한 실정임.
4. 적 요
◦ 고품질의 치콘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품종별로 저온요구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종근 저장기간에 따라 치콘 품질이 변화하며, 이를 고려한 적정 치콘 생산시기는 다음과 같다.
- 빈토(Vintor) : 종근 저장 후 3~10개월, 포커스(Focus) : 6개월 미만,
- 메타포라(Metafora) : 7개월 미만, 노부스(Novus) : 5~8개월
- 레도리아(Redoria) : 4~7개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