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연구결과활용자료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제목
강원지역 6년근 논재배에 적합한 적정 해가림 자재 선발
작성자
 
등록일
2011-03-10
조회수
1641
연도
2010
담당자
정햇님
구분
영농활용
첨부파일
2010young0401.pdf (다운로드 수: 359)
내용

부서: 인삼약초시험장

담당자 : 정햇님, 정태성, 허수정, 방순배,하건수, 서정식

(033)450-8911, jhn5362@korea.kr

강원지역 6년근 논재배에 적합한 적정 해가림 자재 선발

1. 현황 및 문제점

 가. 인삼은 재작이 어려워 6년근 인삼재배면적이 강원 등 중북부 지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논을 활용한 재배지 또한 증가 추세에 있음
 나. 논 전환재배시 토양입단 파괴에 의한 배수불량 현상 및 이로인한 과습문제 등 토양환경이 기존의 밭재배 형태와 다르고, 6년근까지 재배할 경우 엽면적 지수(LAI)가 급격히 증가하여 광경합이 심한 문제 발생
 다. 기존의 차광율이 높은 PE4중직은 혹서기 기온상승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나, 누수에 의한 토양과습, 병 발생율 증가, 고년근의 광 경합 유발 등 문제점 발생
 라. 해가림 자재 개선시 광, 온도 및 토양수분 환경 등 미세기상 조절효과가 크며 특히 생육시기별 투광량 조절을 통하여 수량 및 품질 개선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됨
 마. 중북부지역 6년근 논재배 인삼에 적합한 해가림 자재 선발이 시급한 실정임

4. 적  요

  ◦ 논 대체작목으로 6년근 인삼을 재배할 경우 밭재배 관행 PE4중직(청색1+흑색3) 차광망 대신 비누수 청색 차광지(평균 투광율 29.4%)를 기본 해가림 자재로 활용하고(4~6월, 9~10월), 생육시기별 광량 조절(혹서기 PE2중직+차광지 추가 설치, 7~8월)시 누수에 의한 병 발생 및 토양과습 경감효과 및 광합성 효율 증대를 통하여 수량 증대(3.5%), 체형 우수개체 비율 증가로 조수익 19% 향상효과가 있음

2010young0401.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