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마추출물의 성분분석 및
in vitro 생물활성에 관한 연구
강태수*, 공영준1, 권혜정1, 최병곤1, 홍정기1, 박용길2
충북과학대학, 1강원도농업기술원 특화작목개발시험장, 2(주)천마산업
수록잡지 : 한국균학회지 30권 2호
본 연구는 천마의 성분과 생리활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성분분석과 다양한 생리활성(암세포 생육저해 효능, 항균력, α-glucosidase활성 저해효능,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효능, glutathion S-transferase활성)을 검토하였다. 천마의 일반성분은 조단백질 5.4%, 조회분 2.6%, 조지방 3.6%, 조섬유 3.3%, 수분 8.1%, 전당이 77%이었으며, 무기질함량은 칼륨(1,150㎎/100g)>인(300㎎/100g) 순이었다. 천마추출물의 암세포(간암; Hep3B, 유방암; MCF-7, 폐암; A549, 위암; AGS)에 대한 생육 저해능은 천마추출물 시료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1.0㎎/㎖에서 위암세포(AGS)에 대한 생육 저해능이 83%로 가장 높았다. 천마추출물의 항균활성은 Bacillus subtilis와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하여 미약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이외의 피검균에 대하여는 항균활성이 거의 없었다. α-glucosidase효소활성 저해능은 천마추출물 시료가 1.0㎎/㎖일 때 64%의 높은 저해능을 보였다. ACE활성 저해능은 시료가 0.2~1.0㎎/㎖의 농도 범위에서 63~89%이었고, 1.0㎎/㎖일 때 89%로 높은 저해능을 보였다. Glutathion S-transferase(GST) 활성능은 추출물 농도가 1.0㎎/㎖일 때 221%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천마는 건강식품이나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