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10대 약용작물 안전생산 표준재배 기술 개발
연구책임
공영준
등록일
2005-05-20
조회수
2034
연도
2004
연구과제명
국내 재배 10대 전략 약용작물 안전생산재배기준(GAP)설정연구
과제구분
산학연공동
첨부파일
s050905_10대 약용작물.pdf (다운로드 수: 643)
내용
사업구분 : 산학연공동Code 구분 :
LS0105
특약작(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연구기간연구책임자
국내 재배 10대 전략 약용작물 안전생산재배기준
(GAP) 설정 연구
’03~’04강원도원 고원농업시험장 공영준
1) 10대 약용작물 안전생산 표준재배 기술 개발’03~’04강원도원 고원농업시험장 공영준
강원도원 고원농업시험장 박천규
강원도원 고원농업시험장 안명훈
강원도원 고원농업시험장 서정식
강원도원 고원농업시험장 조수현
색인용어황기, 재배환경, 적심

 


[적 요]

국내 10대 전략약용작물인 황기의 표준재배기술 확립을 위해 주산지 재배환경 및 재배기술 실태조사와, 기술보완 연구로 다년근 황기 적심효과 구명 및 주요병해 발생양상을 조사하여 황기 안전생산 재배기준(GAP) 기술지침으로 활용하고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재배농가 토양조건은 경사지 44%, 토성은 참흙 44%, 표고 300∼500m 47%로 나타났다.
  • 비료사용은 계분시용 농가 69%, 퇴비 500∼1000kg/10a 시용 농가 47%, 밑거름 시용 농가 66%, 웃거름 1회 이상 시용 농가가 72%로 나타났다.
  • 농약은 농가 91%가 사용하고 있으며 제천과 포천은 100%농약을 사용하였으나 삼척과 정선은 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농가수가 33%와 18%이었다.
  • 농약사용횟수에서도 제천과 포천은 2회이상, 정선과 삼척은 2회 미만으로 나타났다.
  • 수확은 기계수확이 97%, 수확시기는 11월상순 53%, 판매는 건조후 판매하였으며, 건조는 열풍건조를 대부분 이용하였다.
  • 황기 파종시기는 4월상순, 파종량은 1-2kg이 59%, 파종방법은 기계파종이 72%로 나타났다.
  • 적심에 따른 건근수량은 30% 적심에서 가장 많았으며 뿌리썩음병 발생도 비슷한 경향이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도복정도는 적심량이 많을수록 감소하였다.
  • 뿌리썩음병 발생양상조사 결과 발병면적율은 10-60%로 높은 편이었고, 식양토에서 발생이 많았으며 병원균은 Fusarium oxyforum(시들음병)과 Rhizoctonia solani(줄기썩  음병)이었다.
s050905_10대 약용작물.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