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주요 농작물 병해 발생 예찰시스템 구축
연구책임
이재홍
등록일
2005-06-15
조회수
1786
연도
2004
연구과제명
주요 농작물 병해충 발생예찰 시스템 구축
과제구분
산학연공동
첨부파일
내용
사업 구분

산학연공동

수행구분 전반기 연구기간

’01~’04(4년차)

연구과제명

주요 농작물 병해충 발생예찰 시스템 구축

연구책임자

최동로

세부과제명

주요 농작물 병해 발생 예찰시스템 구축

세부과제책임자

환경농업연구과 지방농업연구사  이 재 홍(033-258-5742)

색인용어

벼, 고추, 병해, 발생예찰


[주요결과요약]
 

가. 벼 병해조사

  • 도열병 분생포자의 최초채집일은 춘천의 경우 15일 정도 늦은 7월 9일이었고 철원과 원주는 전년과 비슷한 각각 7월 5일, 6월 28일 이었으며 춘천과 원주는 전년에 비해 전체채집수가 1000개이상 줄어든 반면 철원은 2,404개로 전년에 비해 2,000개 정도 많이 채집되었으며, 채집시기에 있어서는 3개 시군 모두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사이에 많이 채집되었다.
  • 도원에서 실시한 잎도열병의 병반면적율 조사결과 6월 24일 조사에서는 병 발생이 조사되지 않았고, 7월 15일 조사에서는 전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춘천이 0.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도원에서 실시한 이삭도열병의 이병수율 조사결과 철원에서만 이병수율이 평균 0.67%로 조사되었고 나머지 시군에서는 조사되지 않았다.
  • 도원에서 실시한 잎집무늬마름병의 6월 24일 이병경율 조사에서는 철원과 홍천에서만 조사되어졌고 각각 0.4, 0.6%로 전년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7월 15일 조사한 병반고율에서는 홍천과 원주가 각각 9.9, 11.4%로 높게 나타났고 피해도 조사에서는 홍천이 10.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도원에서 실시한 흰입마름병 조사에서는 처음으로 철원 동송읍에서 발생이 조사되었다.
  • 시군센타에서 실시한 잎도열병의 병반면적율 조사에서 철원은 7월 13일부터 조사되었고 평균 병반면적율 0.002에서 0.01로 낮게 나타났으며, 원주는 7월 6일부터 조사되었고 7월 27일에는 0.02%로 조사되었으며 전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 시군센타에서 실시한 이삭도열병의 이병수율 조사에서 철원은 8월 30일 조사에서 0.28%로 전년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원주는 4차조사에서 3.75%로 다소 높았으나 전년에 비해서는 낮게 나타났다.
  • 시군센타에서 실시한 잎집무늬마름병의 조사에서 철원은 7월 6일부터 조사되어 전년에 비해 1개월 빨리 조사되었으나 병반고율에 있어서는 전년과 비슷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원주는 전년보다 2주정도 늦은 7월 6일부터 조사되었고 8월 24일 조사에서 25.4%로 전년에 비해 다소 낮았으나 피해도 조사에서는 전년보다 높은 37.3%를 나타냈다.
  • 시군센타에서 실시한 흰잎마름병조사에서는 철원 동송에서 8월 중순이후 0.2%의 병반면적율을 나타냈고 원주에서는 발생이 조사되지 않았다.

나. 고추 병해조사

  • 도원에서 실시한 탄저병 피해과율의 7월 24일 조사에서는 홍천, 영월에서 각각 2.6, 0.2%로 조사되었고, 8월 24일 조사에서 홍천 8.3%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전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 도원에서 실시한 역병 발병면적율의 7월 10일 조사에서 평창, 영월에서 각각 0.07, 6.28%로 조사되었고, 9월 10일 조사에서는 영월이 21.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탄저병과 마찬가지로 전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 홍천군센타에서 실시한 역병 발병면적율 조사에서는 전년에 비해 1개월 빠른 6월 15일부터 조사되었고 9월 14일 조사에서 30.77%로 전년에 비해 두배 높게 나타났으며, 탄저병 피해과율 조사에서는 전년보다 이주일 늦은 7월 20일부터 조사되었고 9월 14일 조사에서 9.28%로 역병과는 반대로 전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s050313_병해발생예찰시스템.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