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고랭지 채소 병해 조기진단 및 발생예찰 연구
연구책임
김승경
등록일
2005-06-15
조회수
1890
연도
2004
연구과제명
고랭지농업 안정생산기술 개발
과제구분
기관프로젝트
첨부파일
s050305_고랭지채소병해.pdf (다운로드 수: 387)
내용
사업 구분

기관프로젝트

수행구분전반기연구기간

’93~(12년차)

연구과제명

고랭지농업 안정생산기술 개발

연구책임자

김승경

세부과제명

고랭지 채소 병해 조기진단 및 발생예찰 연구

세부과제책임자

환경농업연구과 지방농업연구사  정 태 성(033-258-5742)

색인용어

고랭지채소, 병해, 예찰


[주요결과요약]
 
  • 금년도 고랭지 지역의 기상은 6월중순, 7월중순, 8월중순에 비가 많았음
  • 주요 병해로는 무름병, 무사마귀병, 바이러스병이 주로 발생되였으며 무름병은 7월하순과 8월하순에 무사마귀병은 6월중순, 7월하순, 9월상순에 주로 발병되였으며 바이러스병은 8월상순과 9월상순에 주로 발생되였음
  • ’97년부터 ’04년까지의 주요병해에 대한 월별 발생 상황을 분석한 결과 바이러스병은 7월하순부터 8월중순에 주로 발생되였으며 무사마귀병은 고랭지 지역의 배추 정식기 이후인 6월중순, 7월중순, 8월중순, 9월중순에 발생이 분산되어 나타났으며 뿌리마름병은 7월중순에서 9월상순까지 낮게 발생되였다.
  • 또한 ’94년부터 ’04년까지의 바이러스병등 주요병해의 발생추이를 조사한 결과 바이러스병과 뿌리마름병은 발생의 감소가 이루어졌고 무름병은 지속적으로 발생되었으며 아울러 ’97년부터 무사마귀병이 현재까지 무름병과 함께 주로 발생 되었다.
s050305_고랭지채소병해.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