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농촌지역 부존자원을 활용한 녹색관광 농촌마을 모델개발
연구책임
채영길
등록일
2005-06-17
조회수
2340
연도
2004
연구과제명
농산물 수입개방 대응방안 연구
과제구분
농경공동
첨부파일
내용
사업구분 : 농경공동Code 구분 : LS001

농업경영(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연구기간연구책임자

농산물 수입개방 대응방안 연구

’02~’04

강원도원 작물경영연구과 채영길

농촌지역 부존자원을 활용한 녹색관광 농촌마을 모델개발

’02~’04

강원도원 작물경영연구과 채영길

색인용어

농촌관광, 농촌마을, 민박, 펜션


[주요결과요약]
 

 본 연구는 농촌자원을 활용한 농촌관광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 농촌마을의 부존자원을 조사하고, 실제 운영중에 있는 마을을 사례분석하여 유형별 농촌관광 마을모델을 설계하여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농촌부존자원

  • 농촌부존자원을 조사하기 위해 30개마을을 조산한 결과 평균 가구수는 157호, 농가수는 116호로 농가비율이 73% 수준이며, 호당 농가인구는 2.2명, 연령대는 60대 이상이 28%, 청장년층이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마을주민의 직업분포는 농축업이 74%, 상업서비스 11%, 단순노무직이 9% 순이었다. 마을의 구심적 여할을 수행하는 마을회관은 평균 2개소 64평 규모이며, 농산물 생산 등 기타 조직화 현황은 평균 5개 회원수는 30여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농촌마을 정보화 시스템 구축현황은 무인통신국 0.7개, 광케이블 0.6개, 마을홈페이지 0.2개가 구축되어 있고, 가구당 PC 보유비율은 32% 정도로 저조한 편이었다.
  • 정보화 수준능력을 분석한 결과 마을주민의 20%인 84명이 정보화 교육을 이수하였고, 인터넷 사용 가능자는 20~30대에서 48%, 60대 이상에서는 3.9%가 사용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어 연령대가 높을수록 인터넷 사용이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조사마을의 위치는 5~60% 주로 유명산과 계곡을 중심으로 소재하며, 문화자원은 각 0.5, 0.6개씩 보유하고 있어 관광마을을 조성하가에 큰 무리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농촌마을에서 판매가능한 특산품의 종류는 32개이며, 이중 여름과 가을에 편중(54%)되어 다양한 농특산 관광상품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나. 운영사례분석

  • 조사마을의 촌관광마을중 용소마을은 연간내방객이 6,400명, 토고미마을 9.520명으로이 중 여름철(50%)에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경영성과는 용소마을 3,114만원, 토고미마을 4,028만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으며, 이중 숙박상품이 각 76.5%, 66%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주요 숙박시설의 특징은 성당교육관, 폐교를 개․보수 하여 기관이나 단체를 상대로 한 수련형 상품이 저렴한 가격으로 팔리고 있으며, 가족단위 등은 주로 시설이 깨끗한 펜션형 민박을 주로 선호하는 추세로 기존의 민박농가와 경합이 예상된다. 주요 체험농장 상품으로는 봄에 씨앗뿌리기, 가을에 수확하기 등 농작업 체험이 있으나, 고객유치 차원에서 실비만 받고 운영되고 있다. 마을특산물이 농산물 판매는 찾아오는 내방객을 상대로 직거래 형태로 이루어지며, 소비자가 홈페이지나 구전 마케팅을 통해 전화주문을 하면 택배로 물건을 발송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2003년도 용소마을 2억, 토고미 마을은 3.5억원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 녹색관광마을 모델개발(예시)

  • 마을개발원칙은 농촌의 경관보전 및 지속가능한 농업생산 기반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마을주민 모두가 참여하는 수익성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고, 개발유형은 산림자원을 활용한 산촌마을, 물과 깨끗한 생태환경을 이용한 계곡마을, 바다와 어촌자원 중심의 해안마을로 하였다. 마을기반 구축사업은 기존 마을회관을 지식정보화 센터로 개편하고, 마을홈페이지를 개설하여 마을의 발전전략과 도농간 교류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마을 중심축(허브)으로 배치하였다.
  • 마을의 단합과 지속적인 개발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공동기금 조성을 위해, 단지형 민박과 주말농장을 마을공동관리로 귀속시켜 재정의 안정을 도모하여 지속가능한 농촌마을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설계하였다.

라. 개발마을 경영성과 추정

  • 마을중심축을 구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은 총 5억2천만원, 운영비용은 인건비 등 5천 7백만원을 고려하였을 때 예상되는 연간 수익은 6천8백만원 정도를 마을기금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s050119_녹색관광농촌마을.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