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콩 논재배시 시비기술 개발
연구책임
장은하
등록일
2005-06-17
조회수
2485
연도
2004
연구과제명
식용콩 논재배 종합기술체계 확립 연구
과제구분
산학연공동
첨부파일
내용
사업구분 : 산학연공동Code 구분 : LS0203

전․특작(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연구기간연구책임자

식용콩 논재배 종합기술체계 확립 연구

’02~’04

강원도원 작물경영연구과 장은하

콩 논재배시 시비기술 개발

’02~’04

강원도원 작물경영연구과 장은하

색인용어

콩, 논 재배, 논콩, 시비기술


[주요결과요약]
 

농산물 수입자유화로 인해 쌀의 수입이 증가되면서 휴경하게 되는 논에서의 콩 재배를 위해 논 콩재배시 시비방법에 따른 생육 및 수량을 ’02년부터 ’04년까지 3개년동안 강원도 춘천의 농가포장을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검정시비, 검정시비+추비 등의 시비처리는 관행복비 또는 무비, 무비+추비처리보다 경장, 주경절수, 분지수 등의 생육이 양호하였고 수량도 관행복비보다 7∼9% 증수되었다.
  • 논 콩 재배시 병해충이 발생되지 않았으며 시비방법에 따른 차이도 없었다.
  • 토양의 pH는 시험전보다 시험후가 높아졌으며 무비보다 검정시비, 관행복비 처리 등이 인산, 칼리, 칼슘, 마그네슘의 토양잔류량이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 시비방법에 따른 식물체내 무기성분은 무비보다 검정시비, 관행복비 등을 시비하는 것이 성숙기, 개화기 모두 증가하였다.
  • 논 콩 재배시 적정량의 삼요소를 시용하면 개화시(R1)의 근류건물중, 근류수 등이 무비보다 증가하여 왕성한 생육을 보였으나 착협성기(R4)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s050114_콩 논재배시 시비기술.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