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수종별 시용효과 평가 및 시비적량구명
연구책임
함진관
등록일
2005-06-18
조회수
2912
연도
2004
연구과제명
소경목을 이용한 수도작용 지효성 비료개발
과제구분
농특과제
첨부파일
s050105_소경목이용 비료.pdf (다운로드 수: 798)
내용
사업구분 : 농특과제Code 구분 : LS0201

벼(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연구기간연구책임자

소경목을 이용한 수도작용 지효성 비료개발

’02~’04

강원도원 작물경영연구과 함진관

수종별 시용효과 평가 및 시비적량구명

’02~’04

강원도원 작물경영연구과 함진관

색인용어

벼, 조생종, 소경목, 완효성, 수량, 품질, 병충해


[주요결과요약]
 

본 연구는 소경목(참나무류, 은사시나무, 소나무)목재 칩을 이용 친환경적인 지효성비료 개발, 비효 증진 및 노동력 절감을 목적으로 2003년부터 2년간 강원도농업기술원에서 답작포장 및 포트시험을 실시하였기에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보고하는 바이다.

  • 이앙 후 60일 토양별 생육은 사양토에서 초장 및 경수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고 포트재배에서는 사토가 점토보다 초장이 크고 경수가 많아 생육이 양호하였다.
  • 토성별 수종에 따른 생육은 은사시나무가 사양토>사토>점토 순으로 가장 양호하였고 소나무에서는 생육이 감소되었다.
  • 목재칩 종류별 수량은 표준시비 대비 은사시나무>소나무>참나무 순으로 높았고, 시비수준별로는 표준시비 대비 15% 감비까지는 차이가 크지 않았다.
  • 수확 후 식물체 건물중은 은사시나무에서 높고 소나무에서 낮았으며, 시비량이 감소될수록 건물중이 감소되었다.
  • 식물체 무기성분 중 총질소는 사토보다 점토재배에서 높았으며, 그 밖에 인산, 칼리 및 규산은 처리간 차이가 적었다.
  • 백미완전미율은 사양토>점토>사토 순으로 높았고 표준시비보다 목재칩 처리구에서 높고 수종별로는 참나무류가 가장 높았다.
  • 시험후 토양화학성 분석결과 pH, EC, 인산, 가리 함량은 시험전보다 감소되었으나 유기물은 목재칩 처리에서 감비구를 제외하고 증가되었다.
s050105_소경목이용 비료.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