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중북부지역 벼 생태형별 주요 재배기술 개발
연구책임
함진관
등록일
2005-06-18
조회수
2791
연도
2004
연구과제명
벼 고품질 향상 연구
과제구분
산학연공동
첨부파일
내용
사업구분 : 산학연공동Code 구분 : LS0201

벼(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연구기간연구책임자

벼 고품질 향상 연구

’02~’04

강원도원 작물경영연구과 함진관

중북부지역 벼 생태형별 주요 재배기술 개발

’02~’04

강원도원 작물경영연구과 조윤상

색인용어

벼, 고품질, 최적재배, 이앙기, 질소시비량, 수확적기


[주요결과요약]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중북부지역에 적합한 이앙기 및 질소시비량을 재설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앙기 차이에 대한 쌀 품위와 완전미 수량은 통계적 유의성이 컸다.
  • 등숙기 평균기온과 완전미수량을 기준으로 한 이앙적기는 춘천 오대 5월15일, 화성 5.21, 일품 5.19, 강릉 오대 5.19, 화성 5.20, 일품 5.16 이었다
  • 질소시비량 증가에 따라 완전미수율은 감소하고 분상질미는 뚜렷이 증가되었으며 식미치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 완전미수량 및 식미치를 기준으로 한 최적질소시비량은 춘천 오대 5~9, 화성 5~9, 일품 9~11, 강릉은 오대 5~9, 화성 6~10, 일품 6~9kg/10a이었다.
s050104_중북부지역벼 재배기술.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