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해안농업시험연구 총설
연구책임
김두열
등록일
2006-06-09
조회수
2284
연도
2005
연구과제명
과제구분
내용

    해안농업시험연구 총설

  해안농업시험장은 7과제 15세부과제를 수행하여 2세부과제를 완결하였다. 주년생산용 스프레이국화 2종(은성, 단아)을 2004년에 이어 품종출원하였고, 시클라멘 분화생산용 저가 고형비료 선발, 여름철 포도 단경기 생산을 위한 전정방법 구명 등 2과제에 대하여 영농 활용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작물연구분야

  동해안 지역의 냉조풍, 내재해 적응가능 벼 계통중 SR 26666, 26668, 26673, 26685 등 4계통은 수당립수와 등숙비율이 높았으며, OYT25, 강원4호 등은 수당립수와 천립중이 무거워 수량이 오대벼 대비 103~107%로 유망한 계통이었다. 논벼 재배 후 내한유채의 월동전 생육은 파종기가 빠를수록 초장이 길고 엽수가 많았으며 발아율은 96~97%로 양호하였으나, 배수가 나쁜 지점은 발아된 유채가 고사하여 침수고사율이 16~25%정도 되었다. 추후 수확 후 적정 유채 파종시기에 대해 검토 후 답리작 연계재배작형을 개발할 계획이다. 동해안 밭작물의 특성화를 위한 사구지 식용마 대량증식 연구에서 동해안 지역 우량계통 선발 시험을 수행한 결과 D.alata계통은 주당괴근수 및 수량에서 D.opposita계통, D.japonica 계통보다 우수하였으며, 특히  GWD3, GWD5 근형 및 상품성에서 유망하였다. 도입단마의 대량증식을 위한 액아조직배양의 배지선발시험에서 생장조정제 NAA와 Jasmoate를 단용 처리한 M2배지와 M3배지에서 소괴경 착생을 확인하였지만 형성율이 38.3%로 낮게 나타나 소괴경형성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생장조정제 농도 및 일장, 온도처리에 대한 연구가 필요 하였다. 밭작물 토양의 안정적관리 측면에서 객토와 비객토지의 작물생육을 비교해본 결과 감자, 단무지무 수량은 객토지보다 비객토지가 27~41%정도 수량이 많았고, 비객토지의 토양화학성은 객토지보다 EC, OM, CEC 등 이 높았는데, 이것은 객토지의 시비량이 적었거나 비료 유실이 보다 심하였던 것이 원인으로 사료되며 좀더 연차적인 관찰이 요구되었다.

나. 원예연구분야

  동해안 관광농업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로 해수욕철 출하용 포도 무가온 시설재배시험을 수행한 결과 시험품종 모두 개화기는 노지보다 시설 무가온재배가 4~13일 수확기는 약 6~11일 정도 빨랐으며, 수량성은 품종간 차이가 있으나 무가온 시설재배가 약 845~1,093kg로서 노지재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포도송이 적정 착과량 및 전정방법 시험에서 주당 착과량에 따른 수확기는 주당 8송이 착과처리보다 14송이 착과시 개화기 및 수확기가 늦어 졌으며 수량은 8송이 착과시 1,834kg이 14송이 착과시 2,258kg으로 증가하였으나 과방중은 8송이 착과시 530g, 14송이 착과시 435g으로 약 100g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생해국의 분화 재배기술 개발을 위하여 강릉 등 4개 지역에서 5계통을 수집하였고, 해국의 분화생산을 위한 적심은 2회 처리시 초장이 무처리에 비해 20.9cm가 작아졌으나 화수가 무처리에 비해 33개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상품화 생산을 위한 적심 및 생장조절물질을 이용한 왜화 효과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였다. 시클라멘의 해안지-고랭지 산올림 연계재배에 적합한 품종은 소형계의 Metis Magenta, 중형계의 Latinia Bright Rose, 대형계의 Halios Rose로서 생육이 양호하고 개화기가 빠르며 무름병 발생이 적어 고랭지 산올림 재배에 적합 하였다. 시클라멘 분화용 상토는 부숙왕겨+펄라이트+피트모스(1:1:1)처리구가 생력화재배에 효과적 이었으며, 또한 고온기 무름병 방제를 위한 약제 선발에서 소형종인 Metis Deep Magenta, 중형종인 Latinia 품종은 스트렙토이신+옥시테라마이신 합제 처리시 방제 효과가 높았고 대형종인 Halios Rose 품종은 스트렙토마이신 단용 및 혼용처리시 발병율을 10% 이하로  낮출 수 있었다. 고품질 분화생산을 위한 적정 시비시험에서 완효성 고형비료 처리는 처리간 생육 및 개화특성간의 큰 차이가 없었고, 가격이 저렴한 멀티-그로 사용시 경영비를 절감할 수 있었다. 딸기의 해안지 연계재배를 위한 고랭지의 여름 육묘시험에서 여봉과 조홍은 4월 하순 정식시 자묘 발생량이 각각 221개/주, 231개/주로 많았고, 채묘량도 148개/주, 156개/주로 가장 높았으며 정식시기가 늦어질 수 록 낮아졌다. 수출유망작목인 Spray국화의 품종육성 연구결과 ’05년 흰색 별모양의 아네모네형 추국, 은성(강원17호)과 화형 및 화색이 매우 우수한 분홍색의 아네모네형 추국󰡒단아󰡓(강원32호) 2종을 품종출원하였 으며, 앞으로도 내병성 및 기호성이 우수한 품종 육성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나아갈 것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