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특화03 - 새로운 산채 이고들빼기 소득화 연구
연구책임
안수용
등록일
2010-05-27
조회수
4069
연도
2009
연구과제명
새로운 산채 이고들빼기 소득화 연구
과제구분
지역특화기술개발
첨부파일
내용

과제구분

지역특화기술개발

수행시기

전반기

중장기 Code

 

RIMS Code

20070301035018

연구과제 및 세과제

연구분야(Code)

수행기간

연구실

책임자

새로운 산채 이고들빼기 소득화 연구

채소 LS 0208

’07~’09

특화작물시험장

안수용

1) 이고들빼기 발아생리 및 경종기술 확립

’07~’09

안수용

2) 이고들빼기 주년생산 작부체계 연구

’07~’09

김영진

3) 이고들빼기 이용 김치 가공기술 검토

’07~’09

김영진

색인용어

이고들빼기, 발아, 토성, 시비, 지대, 작부체계, 김치, 기능성

적 요

<제1세부과제> 이고들빼기 발아생리 및 경종기술 확립

이고들빼기 개화기는 9월 중순~하순 경이고 꽃색은 황색이며 산형화서이고 꽃잎이 13~18mm로 고들빼기 7~12mm 보다 약간 더 크며 종자는 미세종자로서 천립중이 0.1g이며 종자 길이는 2.7mm, 두께는 0.2mm이며 흑색임

◦ 저온저장보다 상온저장에서 발아율이 높았으나 9개월 이상 장기저장은 저온저장에서 발아율이 높게 나타나 24개월 장기저장에도 70% 이상 발아율을 나타냄

◦ 종자의 발아적온은 20~25℃이며 채종 후 저온처리 하는 것이 발아율이 향상되며 광처리 시간별로는 발아율의 차이가 없었으나 호광성 종자로 암처리에서 발아율이 낮았음

◦ 식토, 식양토 처리에서 출현과 초기생육이 양호하였으나 1년차 시험에서 여름철 잦은 강우로 인해 무름병이 발생하여 생육이 저조하였음

◦ 사토 처리는 출현이 늦고 생육초기 건조 피해가 나타나 생육이 저조하였음

◦ 고들빼기 시비 기준구에서 생육이 양호하였고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영양생장이 증가하였음

◦ 파종 후 40일경 추비시용 시 생육이 양호하였고 추비시기가 늦거나 무처리시 생육이 저조하였음

<제2세부과제> 이고들빼기 주년생산 작부체계 연구

◦ 지대가 낮을수록 엽장 등 지상부 생육이 양호하여 해안지대(15m)의 경우 조기 수확이 가능하였음

◦ 고랭지(600m) 지대는 지상부 생육이 다른 지대에 비해 저조하나 근경, 근중 등 지하부 생육이 양호하였음

◦ 고랭지(600m) 지대에서 노지재배 파종 한계기는 7월 중순으로 파종시기가 늦어질 경우 생육이 불량하고 상품성이 떨어짐

◦ 봄재배시 고들빼기는 4월 중순 파종까지 추대가 발생되었고 3월 중순엔 최고 92.6%가 추대되었으나 이고들빼기는 추대가 전혀 발생하지 않았음

◦ 해안지대(15m)의 경우 노지에서도 1년 2기작 재배가 가능하였음

◦ 가을재배 수확시기는 파종 후 90일경이 적정하였고 90일 이후에는 2차 출엽이 되고 지상부가 경화되며 근경이 굵어져 상품성이 떨어졌음

<제3부과제> 이고들빼기 이용 김치 가공기술 검토

◦ 이고들빼기의 일반성분은 수분 82.16, 탄수화물 11.28, 조단백 4.60, 회분 1.55, 조지방 0.40% 이었으며, 구성당은 Glucose, Arbinose, Galactose, Xylose 등 이었음

◦무기질성분은 K 464.35, P 66.40, Ca 76.77, Mg 26.37mg/100g 등 이었으며, 지방산은 Oleic, Linolelaidic, Stearic acid 순 이었으며 inulin 함량은 잎 보다 뿌리에서 29.8%로 많았음

◦가을재배에서 이고들빼기 김치 절임방법은 소금 농도 5%, 절임기간에서 1일, 숙성기간은 상온 1일 숙성이, 여름재배에서는 소금 농도 5%, 절임시간 24시간, 상온20℃ 2일 숙성이 고들빼기 김치 대용으로 식미검사에서 우수하였음

◦ 이고들빼기를 이용하여 김치, 장아찌를 담갔을 때 pH와 환원당은 낮아졌으며, 산도는 김치에서 기간이 경과할수록 상승하였으며 5℃ 보다 15℃의 경우 상승 폭이 컸음

◦ 김치, 장아찌의 저장기간 동안 총균수는 감소하였으며 장아찌의 경우 김치 보다 감소폭이 컸으며 총균수, 유산균수, 효모수가 김치 보다 적게 나타났음

◦ 이고들빼기로 부터 암 예방 활성 효과가 높은 Youngiaside A, B, C 화합물과 간보호 활성이 높은 Chlorogenic acid, 3,5-Di-O-Caffeoylquinic acid 화합물을 분석하였음

쥐의 간암세포에 대한 이고들빼기의 암 예방 활성은 추출물에서 암예방지수가 21.20으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인간 간암세포에 대한 간 보호 활성은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음

◦ H2O 추출물은 이고들빼기가 고들빼기에 비해 항산화활성이 좋게 나타났으며 고들빼기뿌리 EtOH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냈음

◦ 고들빼기 뿌리 H2O 추출물이 Nitric oxide 생성을 가장 많이 억제하나 활성이 적었고 항당뇨활성은 이고들빼기는 EtOH 추출에서 높았으나 대조구인 Acarbose와 비교시 미미하였음

◦ 모든 식중독균주에 대해서 항균활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음

2009-06특화작물-03 새로운 산채.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