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고랭지 오미자 생산체계 확립방안 연구
연구책임
박영학
등록일
2016-08-01
조회수
772
연도
2015
연구과제명
고랭지 오미자 생산체계 확립방안 연구
과제구분
기관고유
첨부파일
ex_2015_0707.pdf (다운로드 수: 280)
내용
어 젠 다 코 드 3 - 13 - 44 구 분 완결
기술분야코드 V2 기술유형코드 C04 작목구분코드 IC-03-1930
과 제 종 류 기관고유 세세부사업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 수행기간 소속 과제책임자
고랭지 오미자 생산체계 확립방안 연구 ’13~’15 산채연구소 박영학
1) 고랭지 오미자 고품질재배 기술 개발 ’13~’15 산채연구소 박영학
2) 고랭지 오미자 간작재배 기술 개발 ’13~’15 산채연구소 박영학
색인용어 오미자, 고랭지, 간작, 산채, 번식방법

 

4. 적 요


<제1세부과제 : 고랭지 오미자 고품질재배 기술 개발 >


(시험 1) 유인방법별 생육 특성 조사

가. 울타리형은 유인 특성상 수직인 형태로 내부에 열매가 결실되었고, 덕형 및 하우스형은 수평의 형태로 결실되었음

나. 덕형이 울타리형에 비하여 주당 송이수, 송이 중량, 송이당 과실수, 과장, 과폭, 과중이 모두 높았고, 수확량이 1.9배 정도 증가함

다. 하우스형은 송이 중량, 과실수, 과장, 과폭 및 과중이 월등히 높아 상품율이 높았음

 

(시험 2) 번식 방법별 생육 특성 조사

가. 오미자 대량 증식 방법을 구명하기 위한 고랭지 오미자 종자의 출현율을 조사한 결과 파종 후 80일 경과 후 출현이 완료되었고,

나. 오미자 종자는 젖은 모래와 혼합하여 5℃에 저장하는 것이 노천매장과 비슷한 출현율을 보였고,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출현율은 현저히 감소하였음

다. 농가에서 많이 이용하는 트레이 육묘를 위해 플러그 육묘상자를 이용하였을 때 출현율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트레이의 상토량이 적을수록 기간 경과에 따라 양분이 부족한 비절현상이 발생하였음

라. 오미자 우량 품종의 대량 증식에 필요한 번식기술로서 녹지접목 시 접목테이프를 이용하여 접목했을 때 활착률이 80%로 높았음
 

(시험 3) 오미자 우량 계통 수집

가. 오미자 주요 재배지역별 환경 및 농가기술 수준에 따라 다소 상이한 재배형태를 나타내었음

나. 오미자 재배지역별 전정정도를 투광율로 조사한 결과, 적정한 투광율은 10% 정도로 나타났음

다. 지역 수집종들의 수량특성, 영양성분 등을 분석한 결과 지역별 차별성을 구명하지 못하였고, 당산비를 이용하여 품질의 관리 및 차별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라. 지역별 수집종을 이용하여 고랭지에서의 오미자 우량계통 선발용 유전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육묘 중임


<제2세부과제 : 고랭지 오미자 간작재배 기술 개발 >

가. 고랭지에서 오미자 채종 종자를 노천매장하여 월동 후 원예상토를 넣은 162공 플러그 육묘상자에 파종 시 출현율이 85.9%로 높았음

나. 고랭지 오미자 하우스형 재배 시 정식 후 3년차 하부 간작작목으로 곰취를 선발하였으며 곰취를 재배하지 않은 오미자 하우스형 재배에 비하여 10a당 2,640천원의 소득을 추가로 얻을 수 있음

ex_2015_0707.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