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쌈채소용 고추냉이 친환경재배 기술 개발
연구책임
김경대
등록일
2016-08-02
조회수
1017
연도
2015
연구과제명
쌈채소용 고추냉이 친환경재배 기술 개발
과제구분
기관고유
첨부파일
ex_2015_0705.pdf (다운로드 수: 372)
내용
어 젠 다 코 드 3 - 12 - 35 구 분 완결
기술분야코드 V2 기술유형코드 GS02 작목구분코드 VC-04-1215
과 제 종 류 기관고유 세세부사업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 수행기간 소속 과제책임자
쌈채소용 고추냉이 친환경재배 기술 개발 ’14~’15 산채연구소 김경대
1) 쌈채소용 고추냉이 친환경 양분관리 기술 개발 ’14~’15 산채연구소 김경대
2) 쌈채소용 고추냉이 친환경 병해충 방제기술 개발 ’14~’15 산채연구소 박영학
색인용어 고추냉이, 친환경, 양분관리, 병해충, 방제

 

4. 적 요

<제1세부과제 : 쌈채소용 고추냉이 친환경 양분관리 기술 개발 >

가. 쌈채소용 고추냉이 친환경 양분관리 기술 개발을 위해 혼합유박, 퇴비, 퇴비와 석회고토를 기준량으로 처리한 결과, 혼합유박이 생육 및 수량이 가장 좋았다. 이는 유박에 질소등 영양성분이 퇴비 등에 비해 많이 포함하고 있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나. 친환경 기준 설정을 위한 시비량을 구명하기 위해 N, P, K 혼합처리에 대한 쌈채소용 고추냉이의 수량성은 질소는 13.5kg/10a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인산은 27.0kg/10a 수준에서, 칼륨은 27.0kg/10a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다. 시비처리량과 수량 특성의 상관관계는 질소와 중량이 유의확율 0.023으로 높은 유의성을 나타내었으며, 인산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칼륨은 엽수에서 유의확율 0.059로 다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비료 성분과 수량에 대한 관계식은 질소에서 Y = -0.3266 x2 + 0.8917 x + 2.4179 (R2 = 0.316**), 인산에서 Y = -0.1496 x2 + 0.5972 x + 2.1893 (R2 = 0.031), 칼륨에서 Y = -0.0290 x2 + 0.1639 x + 2.4179 (R2 = 0.007)으로 나타내었다.
 

<제2세부과제 : 쌈채소용 고추냉이 친환경 병충해 방제기술 개발>
(시험 1) 고추냉이 먹들이병 친환경 방제재 선발
가. 약효는 고추냉이 밭재배 시 먹들이병 친환경 병해 관리용 유기농업자재로서 태백 및 평창지역의 비타박스 500배액의 발병도 방제가는 86.6% 및 84.8%이고 이병엽율의 방제가는 73.0 및 79.7%, 토리 1,000배액의 발병도 방제가는 84.4% 및 83.5%이고 이병엽율 방제가는 70.7% 및 76.5%로서 우수하였음
나. 약해는 태백 및 평창지역 모두 시험약제별 기준량 및 배량으로 경엽처리 후 3일, 5일, 7일차에 약해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음
(시험 2) 고추냉이 벼룩잎벌레 친환경 방제재 선발
가. 약효는 고추냉이 밭재배 시 벼룩잎벌레 친환경 충해 관리용 유기농업자재로서 태백 및 평창지역은 마린톡킬러 1,000배액 처리 후 생충율 방제가는 3일차에는 각각 78.7% 및 62.2%, 7일차에는 85.9% 및 77.3%로서 우수하였음
나. 약해는 태백 및 평창지역 모두 시험약제별 기준량 및 배량으로 경엽처리 후 3일, 5일, 7일차에 약해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음
(시험 3) 고추냉이 배추좀나방 친환경 방제재 선발
가. 약효는 고추냉이 밭재배 시 배추좀나방 친환경 충해 관리용 유기농업자재로서 태백 및 평창지역 솔빛채 400배액 처리 후 생충율 방제가는 3일차에는 73.8% 및 81.4%, 7일 차에는 79.1% 및 86.3%였으며 어그리 2,000배액 처리 후 생충율 방제가는 3일차에는 61.5% 및 82.2%, 7일차에는 85.4% 및 86.4%로서 우수하였음
나. 약해는 태백 및 평창지역 모두 시험약제별 기준량 및 배량으로 경엽처리 후 3일, 5일, 7일차에 약해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음

ex_2015_0705.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