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과제명
내재해 대응 안정생산 시스템 구축을 위한 주요 작물 형질개발 및 품종육성
연구책임
정우석
등록일
2016-08-08
조회수
655
연도
2015
연구과제명
내재해 대응 안정생산 시스템 구축을 위한 주요 작물 형질개발 및 품종육성
과제구분
공동연구
첨부파일
ex_2015_0105.pdf
(다운로드 수: 279)
내용
어 젠 다 코 드 | 2 - 9 - 26 | 구 분 | 완결 | ||
---|---|---|---|---|---|
기술분야코드 | V1 | 기술유형코드 | S02 | 작목구분코드 | FC-02-0203 |
과 제 종 류 | 공동연구 | 세세부사업 | 농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 |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 | 수행기간 | 소속 | 과제책임자 | ||
내재해 대응 안정생산 시스템 구축을 위한 주요 작물 형질개발 및 품종육성 |
’13~’15 | 건국대학교 | 정우석 | ||
1) 내재해 대응 다수확 밀 품종 육성 Ⅰ | ’13~’15 | 작물연구과 | 하건수 | ||
2) 사료작물(귀리, 수수, 청보리)의 내재해 대응 유용 유전자원 탐색, 분자마커 및 중간모본 개발 |
’15 | 작물연구과 | 변학수 | ||
색인용어 | 기후, 밀, 귀리, 수수, 청보리, 중간모본, 유전자원, 품종 |
4. 적 요
<제1세부과제 : 내재해 대응 다수확 밀 품종 육성 Ⅰ>
(시험 1) 유전자원 수집 및 특성 검정
가. 계통별 특성 검정 결과 성숙기가 6월5일부터 7월 2일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도복에 밀접한 연관을 갖는 간장은 37cm에서 124cm까지 계통별로 넓은 분포를 보였음.
나. 수량성에 영향을 주는 1수립수의 경우도 국내육성 품종인 금강밀의 경우 27.6개이나
검정 중인 계통에서 52.4개인 계통도 있으며, 그 정도가 다양하게 분포하였고 간장의
경우 대조품종인 금강밀이 57cm이었으나 검정 중인 계통에서는 37cm의 단간 계통을
비롯하여 104cm의 장간 계통까지 다양하였음.
가. 성숙기가 5일 빠른 계통과 18일 늦은 계통들이 혼재하였으며, 강원 7호는 금강밀 대비 성숙기가 6일 빨랐으며, 강원 54호의 경우 무망종으로서 내한성도 강하여 그 이용성이 높았음
나. 온도구배하우스는 RCP 8.5 시나리오에 근접한 3℃ 정도의 온도구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지점간 최대 3일 이상의 출수기 차이를 보여 향후 기후변화대응연구에 적합한 시설임
(시험 3) 밀 유망계통 몽골 현지 적응성 검정 시험
가. 몽골 현지 밀 품종에 비하여 국내육성 품종인 조경밀의 경우 출수기가 5일 정도 늦었으며 간장이 4cm 정도로 작았으나 상대적 수량은 20% 증수되었음
나. 시험한 계통들의 건조 적응도가 높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강원 75호는 수량성에서, 강원 89호는 성숙기에서 유망성을 보였음
<제2세부과제 : 사료작물(귀리, 수수, 청보리)의 내재해 대응 유용 유전자원 탐색, 분자 마커 및 중간모본 개발>
(시험 1) 수수 유전자원 수집 및 계통 육성 시험
가. 강원 1호 등 3계통을 육성하였으며, 강원 1호는 단간종으로, 강원 2호는 다수성으로 유망하였음
나. 강원 1호는 조섬유가 13.3±0.5%로 가장 높았고 상대적 사료가치 또한 92.9%로 가장 양호하였으며, 강원 2호는 대조품종인 황금 찰수수와 비슷한 정도의 사료가치를 보여 조섬유 함량 11.0±0.1, 상대적 사료가치는 82%이었음
(시험 2) 귀리 유전자원 수집 및 계통 육성 시험
가. 조사료 수량은 하이스피드의 건물중이 10a당 1,116kg으로 많았고, 생체중은 몽골국 수집자원들이 높았으며, 강원 2호는 경수가 많고 생체중과 건물중이 양호하여 유망하였으며, 출수기는 삼한귀리에 비하여 강원 1호는 17일정도 늦었음
나. 조사료 수량은 삼한귀리에 비하여 강원 1호가 11%, 강원 2호가 4% 많았으며, 종실 수량은 삼한귀리에 비하여 강원 1호호는 79%, 강원 2호는 90% 수준이었으나, 종실의 국내생산에는 문제가 없었음
(시험 3) 청보리 유전자원 수집 및 계통 육성 시험
가. 유전자원들의 성숙기는 6월 4일부터 6월 9일로 5일 정도의 차이가 있었으며, KB-7호의 종실수량이 368kg/10a으로 가장 많았음
나. 시험한 보리 자원들의 경우 종실 성숙기가 6월 상순으로 종실 생산에 문제가 없다면 사료용 생체 수확시기가 5월 하순이므로 작부체계 활용 시 경제성이 있을 것임
이전 글
다음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