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이미지

농업기술정보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농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서 분석한 농업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시험연구보고서

농업연구지도

본문 시작
세부과제명
컬러푸드 포장기술 개발
연구책임
허남기
등록일
2006-06-12
조회수
2417
연도
2005
연구과제명
농산물 저장기술 개발 연구
과제구분
경상기본
첨부파일
ares050402.pdf (다운로드 수: 564)
내용

사업구분

경상기본

수행구분

전반기

연구기간

05~(1년차)

연구과제명

 농산물 저장기술 개발 연구

연구책임자

허남기

세부과제명

컬러푸드 포장기술 개발

세부과제책임자

 농산물이용시험장  지방농업연구사  허 남 기(033-243-1822)

색인용어

컬러푸드, 신선채소, 포장, 샐러드, 유통


4. 주요결과 요약

  • 색깔별 샐러드 모델 구성
     - 모델 1 : 백색(컬리플라워), 황색(당근), 적색(비트), 녹색(샐러리), 노랑(파프리카) 모델 2 : 백색(컬리플라워), 황색(당근), 적색(비트), 녹색(샐러리), 보라(적채)
  • 저장기간에 따른 재료별 gas 농도 변화
    - CO2 농도는 모델 1, 2공히 각 재료별 처리시 파프리카와 셀러리는 저장직후 부터 72시간까지 증가하였으나 비트, 당근 등은 24시간 까지는 다소 증가 후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5색 혼합 저장 시에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급격하게 증가하였음.
    - O2 농도는 각 재료별 및 혼합처리 공히 대체로 처리 직후에 비하여 비슷하거나 완만히 감소였음.
    - 아세트알데히드와 에탄올는 저장 3일동안 0.01ppm 이하로 극히 적게 발생 되었고 당근이 다소 높은 편이 었으나 작물간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음.
  • 외관 및 이취
    - 구성 모델 1에서는 공시재료 중 파프리카는 수분탈수가 심하고 저장시간이 경과할 수록 조직 붕괴현상이 나타났으며, 샐러리 역시 저장시간이 경과 할수록 조직 붕괴현상이 나타났으며 기타 재료는 절단면에서 다소의 갈변 및 흑변현상이 나타났음
ares050402.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