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과제명
수종별 시용효과 평가 및 시용적량 구명
연구책임
함진관
등록일
2007-09-27
조회수
5226
연도
2006
연구과제명
소경목을 이용한 수도작용 지효성 비료 개발
과제구분
경상기본
첨부파일
ares060105.pdf
(다운로드 수: 866)
내용
과제구분 |
기본연구 |
수행시기 |
전반기 | ||
중장기 Code |
LS0201 |
RIMS Code |
2006B00110000070 |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연구실 |
책임자 | |
소경목을 이용한 수도작용 지효성 비료 개발 |
LS0201 |
04~06 |
작물경영연구과 |
함진관 | |
수종별 시용효과 평가 및 시용적량 구명 |
LS0201 |
04~06 |
작물경영연구과 |
함진관 | |
색인용어 |
우드칩, 지효성비료, 완효성비료, 페벌목 |
4. 적 요
본 연구는 산림 조림시 발생되고 있는 소경목(참나무류, 은사시나무, 소나무, 단수종3종을 혼합한 혼합수종)을 이용 목재칩을 제작, 3요소(질소, 인산, 칼리)를 주입, 지효성 비료를 제조한 후 벼 재배에 시용 그 효과를 검토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앙후 30일경 초장 및 경수는 참나무류>소나무>혼합수종>은사시나무 순으로 생육이 양호하였으나, 60일경에는 소나무에서 초장 및 경수가 증가되었을 뿐 기타 수종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 목재칩비료 시용시 최고분얼기 엽색도값은 평균 41.4~44.3으로 표준시비보다 높았으나, 출수기에는 평균 36.7~41.1로 표준시비구(41.9)보다 낮았다.
- 다. 목재칩 처리시 표준시비 대비 간장은 길었고, 수당립수는 평균 87개로 7립정도가 많았으며 등숙율은 3.6% 낮았다. 쌀 수량은 목재칩처리에서 평균 546kg/10a였고, 혼합수종 처리시에는 568kg/10a으로 표준시비 대비 6% 증수되었다.
- 쌀의 완전미율은 표준시비구에서는 68.9%였고, 소나무 및 혼합수종처리에서 평균 80.4%로 가장 높았고 기타 수종처리에서는 평균 78.8%를 보였다.
- 쌀 품질중 아밀로스와 백도(투명도)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고 단백질은 목재칩 처리에서 다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도요 식미치는 표준시비에서 68을 보인 반면, 목재칩 처리구에서는 76.8로 목재칩을 시용함으로서 밥맛이 좋아지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식물체 건물중은 최고분얼기에는 혼합수종, 출수기에는 소나무칩 시용구에서 가장 무거웠는데, 이는 목재칩 처리시 표준시비 대비 경수 및 수수 증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시험후 토양의 화학성분중 산도, 유기물, 인산 함량은 시험전보다 다소 감소되었으나 유기물함량은 목재칩 종류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평균 26.7g/kg로 표준시비보다 높아 목재칩 처리후 부숙에 의해 유기물이 증가된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