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기본연구 |
수행시기 |
전반기 | |||
중장기 Code |
|
RIMS Code |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연구실 |
책임자 | ||
고품질 쌀 생산 연구 |
LS0201 |
02~10 |
작물경영연구과 |
함진관 | ||
1) 소비재배를 위한 벼 적품종 선발 |
LS0201 |
05~06 |
작물경영연구과 |
조윤상 | ||
2) 지대별 적응 벼 고품질 품종 선발 |
LS0201 |
02~10 |
〃 |
함진관 | ||
3) 고품질 쌀 인증을 위한 품질검정 |
LS0201 |
06~08 |
〃 |
조윤상 | ||
4)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논 유형별 중간낙수시기 설정 |
LS0201 |
06~07 |
〃 |
이안수 | ||
5) 추천시비 처방논의 쌀 품질 분석연구 |
LS0201 |
06~07 |
〃 |
이안수 | ||
색인용어 |
벼, 추천시비, 적정시비, 농가관행시비, 품질검정, 고품질 쌀, 완전미수량 |
4. 적 요
강원도 쌀의 품질 개선을 목적으로 춘천(보통답), 철원(식질답), 강릉(사질답) 3지역에서 추천시비 처방논의 생육, 수량 및 품질을 조사한 결과, 적정시비 대비 출수기 차이는 없고 간장, 수장, 수수 등 생육이 다소 왕성하였고 백미 및 완전미수량도 증가되었다. 품위조사 결과, 완전미율도 증가되어 금후 강원도 쌀의 품질 향상을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농가관행시비의 경우 시비량이 많았던 이유로 생육 및 완전미 수량이 가장 우수하였고 품질에서도 단백질 함량이 높은 점 외에는 크게 떨어지지 않았으나 이러한 다비재배는 도복 및 병해충 발생의 위험이 높아 평년의 기후조건이라면 큰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나 2006년은 특이한 기후로 인하여 도복 및 병해충 발생이 적었다.